미국 정부가 기후관련 예산과 조직을 대폭 축소하면서, 민간 기후데이터 기업들이 이를 빠르게 대체하면서 급성장하고 있다.
22일(현지시간) 글로벌 분석매체 모던 디플로머시(Modern Diplomacy)에 따르면, 미국 연방정부가 최근 수년간 기후 연구와 위성 감시, 대기 분석 프로그램 등의 예산을 지속적으로 삭감하면서 정부가 담당하던 관측 기능에 공백이 발생했고, 이 틈새를 민간 기후데이터 기업들이 빠르게 파고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 관측망 축소로 기후데이터 업데이트가 지연되거나 일부 중단되기까지 하면서, 보험·농업·에너지 등 주요 산업이 기후리스크 평가를 위해 민간 기후데이터 서비스를 대거 이용하기 시작했다. 폭염, 홍수, 산불 등 기후위험이 커지면서 고해상도 정보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정부시스템이 이를 충분히 뒷받침하지 못하자 민간 기업들이 이 시장을 대체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이미 상당수의 기후데이터 기업들은 자체 위성을 발사하거나 인공지능(AI) 기반 예측기술을 개발해 정부가 제공하던 수준을 뛰어넘는 초정밀 기후데이터 상품을 내놓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기후데이터 시장 규모도 빠르게 커지고 있다. 일부 업체는 산업별 맞춤형 재난위험 지도, 지역 기후민감도 분석, 장기예측 솔루션 등을 고가 구독서비스로 제공하며 시장점유율을 넓히고 있다.
민간 기후데이터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정보격차'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민간서비스의 값비싼 이용요금을 감당하지 못하는 소규모 농가·지방정부·비영리기관 등은 기후데이터 접근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환경단체들은 "기후데이터는 공공재 성격이 강한데 정부가 기능을 축소하면 정보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하지만 민간기업들은 정부의 후퇴로 인해 오히려 기술혁신이 촉진되고 있다. AI 예측모델과 민간 위성 기술 경쟁이 가속화되면서 데이터의 정밀도는 더 높아지고 있으며, 기업·금융기관·도시계획 부문의 수요 증가로 시장은 계속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모던 디플로머시는 "미국 정부가 손을 놓고 있는 사이에 민간 기후데이터 시장은 더 커질 것"이라며 "이는 데이터 접근권 격차·모델링 투명성·기후과학의 공공성 약화 등을 쟁점화시킬 것"이라고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