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인준 기자가 쓴 기사

thumbimg

"경제는 믿었건만"…트럼프 대통령 경제 지지율까지 '폭삭'
▲미국 전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반(反)트럼프 시위(사진=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경제정책 지지율이 1기를 포함해 재임기간을 통틀어 가장 낮은 수준으로 주저앉았다. 한때 70%에 달했던 경제정책 지지율은 최근 43%까지 떨어진 것이다.20일...2025-04-21 16:37:37 [조인준]

thumbimg

LG유플러스, 27일까지 '캐치! 티니핑' 한정판 굿즈 출시
▲LG유플러스 모델이 캐치! 티니핑 굿즈 세트를 소개하는 모습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가 어린이날을 앞두고 SAMG엔터의 인기 IP(지식재산권) '캐치! 티니핑' 한정판 굿즈 세트를 선보인다고 21일 밝혔다. 5000세트 한정으로 '유플러스닷컴'에서 ...2025-04-21 12:20:53 [조인준]

thumbimg

"숲속에서 힐링해요"...SKT, 장기고객 대상 '숲캉스' 시행
▲SKT가 장기 고객을 대상으로 '숲캉스'를 진행한다. (사진=SKT) SK텔레콤이 10년 이상 장기 우수고객들을 대상으로 에버랜드 포레스트 캠프에서 진행하는 '스페셜 T 숲캉스'를 펼친다고 21일 밝혔다.봄과 가을 두차례에 걸쳐 진행하는 고객감사 이벤트인 숲...2025-04-21 11:49:20 [조인준]

thumbimg

현대 美제철소에 포스코 지분투자...현대車-포스코 '맞손'
▲현대기아자동차그룹 양재 사옥 ⓒnewstree 포스코가 현대제철이 미국 루이지애나에 설립하는 제철소에 지분을 투자하는 등 현대자동차그룹과 포스코그룹이 철강과 이차전지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손을 맞잡았다.현대차그룹과 포스코그룹은 21일 서울 양...2025-04-21 11:33:52 [조인준]

thumbimg

LG전자, 텀블러 세척기 출시...2000여곳 스타벅스 매장에 설치
▲LG전자가 새로 내놓은 텀블러 세척기 '마이컵' (사진=LG전자) LG전자가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업 시장을 겨냥한 텀블러 세척기 '마이컵'(MyCup)을 출시한다고 21일 밝혔다. '마이컵'은 카페, 사무실 등에서 일회용컵 대신 간편하고 깨끗하게 ...2025-04-21 11:00:02 [조인준]

thumbimg

"여름부터 美관세發 경제침체 온다"…시카고 연은 총재의 '경고'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사진=AP 연합뉴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미국 경제가 여름부터 침체에 빠질 것이라고 경고했다.20일(현지시간) CBS 시사 프로그램 '페이스 더 네이션'에...2025-04-21 10:29:59 [조인준]

thumbimg

네이버, 유니버설뮤직과 라이선스 계약...210만곡 클립에 활용
▲네이버의 '클립에디터' 화면 (사진=네이버) 네이버가 세계 최대 음반사인 유니버설뮤직과 음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에 따라 네이버 클립에서 비틀스부터 테일러 스위프트, 빌리 아일리시 등 유니버설뮤직이 소유한 210만곡에 달하는...2025-04-18 11:19:20 [조인준]

thumbimg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홍수로 물에 잠긴 마을에 홀로 멀쩡한 집(영상=X캡처)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일~7일까지 엄청난 양의 비가 쏟아지면서 플로리다, 아...2025-04-18 11:00:14 [조인준]

thumbimg

美, 中 해운사와 중국산 선박에도 '족쇄'..."10월부터 입항수수료 부과"
미국이 이번에는 중국산 선박에 대해 태클을 걸었다. 중국 해운사와 중국산 선박이 미국에 입항할 때마다 거액의 수수료를 내도록 한 것이다. 이같은 결정은 17일(현지시간)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내렸다. 이에 따라 오는 10월 14일부터 미국에 ...2025-04-18 10:28:27 [조인준]

thumbimg

LG유플러스, 3만원대 로밍상품 '아시아 로밍패스' 출시
▲LG유플러스 직원이 '아시아 로밍패스'를 소개하는 모습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가 아시아 여행지를 방문하는 고객을 위한 3만원대 전용 로밍상품 '아시아 로밍패스'를 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요금제는 일본과 베트남, 대만, 홍콩 및 마카오를 포함...2025-04-18 09:59:27 [조인준]

thumbimg

콜드플레이, 내한공연서 '생수병 반입금지'..."당황했지만 오히려 좋아"
▲탄소중립 콘서트를 만들기 위해 일회용품 반입을 금지한 록밴드 '콜드플레이'(사진=콜드플레이 X 캡처) 8년만에 국내에서 열린 영국 4인조 록밴드 콜드플레이 내한공연에 일회용 플라스틱 생수병 반입이 금지돼 화제다. 콜드플레이는 지난 16일부터 오는 2...2025-04-17 17:34:31 [조인준]

thumbimg

아름다운가게 '서울그물코센터' 개소..."기부물품 되살리는 공간"
▲경기 의정부에 문을 연 아름다운가게 '서울그물코센터' (사진=아름다운가게) 사회 곳곳에서 기부한 옷가지와 물품을 분류하고 보관하고 수선하는 아름다운가게의 재사용 물류거점 '서울그물코센터'가 새로운 모습으로 문을 열었다.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는 지난 20년간 운...2025-04-17 17:06:01 [조인준]

Video

+

ESG

+

정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 활성화 대책 하반기 발표"

정부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을 활성화하는 대책을 하반기 발표하겠다고 밝혔다.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탄소크레딧 유

화석연료 보험 늘리는 국내 손보사들...기후위험 대응력 높이려면?

글로벌 주요 보험사들은 화석연료 배제를 선언하고 있지만 국내 석탄 보험은 1년 사이에 82%가 늘어날 정도로 기후위기에 둔감하다는 지적이다. 이승준

네이버·국립생태원, 생물다양성 보호 나선다

네이버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생물다양성 대응 및 생태계 보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네이버 본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립생태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기후/환경

+

'루돌프' 못보는 거야?...세기말 온난화로 80% 줄어든다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북유럽과 북극 등에 서식하는 야생 순록 개체수가 지난 수십 년간 3분의 2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추세로 간다면 세기말

신라때 만든 저수지 인근 공장화재로 유해물질 '범벅'...물고기 떼죽음

신라 시기에 만들어진 국보급 저수지가 인근 화장품 공장 화재로 발생한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다.14일 연합뉴스에 따르

"현 2035 NDC는 위헌"...국가온실가스 결정절차 가처분 신청

정부의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결정절차에 가처분 신청이 제기됐다.14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환경보건위원회와 기후위기 헌법소원

에어로졸의 반전...지구 식히는줄 알았더니 온난화 부추겨

햇빛을 반사해 지구를 식히는 '냉각효과'로 지구온난화를 억제한다고 알려진 에어로졸이 오히려 온난화를 부추기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광

[연휴날씨] 폭우 끝 폭염 시작…낮에는 '찜통' 밤에는 '열대야'

물벼락을 맞았던 서울과 수도권은 광복절인 15일부터 또다시 불볕더위가 찾아온다. 폭우 끝에 폭염이 시작되는 것이다. 광복절을 시작으로 이번 연휴

잠기고 끊기고 무너지고...수도권 200㎜ 물폭탄에 곳곳 '물난리'

7월 경남과 광주를 할퀴었던 집중호우가 이번에는 수도권 일대를 강타하면서 많은 피해를 낳았다.13일 서울과 수도권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내린 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