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thumbimg

[기후테크]'열경화성 폐플라스틱' 재활용 길 열렸다...수소 원료로 전환 가능
▲ 열경화성 폐플라스틱 재활용 연구에 활용된 용인 파일럿 플랜트 (사진=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재활용이 어려운 열경화성 폐플라스틱을 수소 생산의 원료인 합성가스로 전환하는 공정이 개발됐다. 열경화성 폐플라스틱에서 타르를 최소화하면서 원료 투입, 전처리, 가스화까...2025-05-29 10:34:55 [장다해]

thumbimg

LS 머트리얼즈, 국내 최초 '전기차 충전소용 ESS' 개발했다
▲ LS머트리얼즈의 전기차 충전용 하이브리드 ESS 시스템 (사진=LS 머트리얼즈) 국내 최초로 전기차 충전소 전용 하이브리드-에너지저장장치(H-ESS)가 개발됐다. LS 머트리얼즈는 LS전선과 공동으로 전기차 충전소에서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2025-05-29 10:25:36 [장다해]

thumbimg

SK이노베이션 신임 대표에 SK E&S 추형욱 대표 선임
▲추형욱 SK이노베이션 신임 대표 SK이노베이션이 추형욱 SK이노베이션 E&S 사장을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에는 장용호 SK(주) 대표이사가 신규 선임됐다.SK이노베이션은 28일 이사회를 열어 추형욱 대표이사와 장용호 총괄사장...2025-05-28 16:27:01 [조인준]

thumbimg

"탄소중립 정책, 韓 규제 중심인데 美日은 성장지향형 전략"
▲'산업 성장지향형 탄소중립 정책세미나'가 28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렸다. ©newstree 한국의 탄소중립 정책이 규제에 갇혀있는 사이, 미국과 일본은 탄소감축을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우리나라도 이제 탄소중립을 규제가 아닌 산업전...2025-05-28 15:51:50 [송상민]

thumbimg

EU '탄소세' 2027년으로 연기...적용대상도 '50톤 이상 기업'
유럽연합(EU)이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적용시점을 2027년으로 1년 미뤘다. 또 적용대상 기업도 연간 50톤 이상의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비료 등을 수입하는 기업으로 축소했다. 27일(현지시간) EU 회원국 장관들이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회의에...2025-05-28 15:35:29 [장다해]

thumbimg

"중국제품 관세 줄여줍니다"...美관세폭탄에 '세관사기' 기승
▲ 올 4월 새로운 관세정책을 발표하는 트럼프 (사진=AP)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산에 대한 관세율을 높이면서 이를 피하는 방법을 안내하거나 중개하는 등의 불법행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즈(NYT)는 27일(현지시간) 중국 해운기...2025-05-28 14:58:21 [장다해]

thumbimg

우리은행, 국내 최초 '기후금융포털' 사이트 오픈
▲ 우리금융경영연구소 기후금융포털 모습 (사진=기후금융포털 사이트 캡처) 우리금융은 국내 처음으로 기후금융을 테마로 한 종합정보포털인 '기후금융포털'을 오픈했다고 28일 밝혔다.이 기후금융포털은 △뉴스와 정책 △리서치 △마켓 △미디어 셀렉션 등 4가지 섹션으로...2025-05-28 10:30:41 [장다해]

thumbimg

냉매없는 냉장고와 에어컨 나오나?...삼성전자, 친환경 냉각기술 확보
▲삼성전자가 연구한 나노 박막 펠티어 소자와 고효율 펠티어 냉장고(사진=삼성전자) 머지않아 냉매가 없는 냉장고와 에어컨이 등장할 전망이다. 삼성전자가 냉매가 필요없는 차세대 친환경 냉각기술을 확보했기 때문이다.삼성전자는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응용물리학연구소와 산...2025-05-28 10:09:23 [조인준]

thumbimg

LG전자 美혁신센터, 이번엔 AI 에너지관리솔루션 스타트업 스핀아웃
▲LG NOVA 이석우 부사장 (사진=LG) LG전자의 미국 스타트업 육성조직인 북미이노베이션센터(North America Innovation Center, NOVA)가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에너지 관리솔루션을 개발하는 클린테크 스타트업 '파도 AI 오케스...2025-05-28 10:00:06 [김나윤]

thumbimg

삼성물산, SMR 핵심기술 'SC모듈' 실증…글로벌 시장 '정조준'
▲삼성물산이 SMR 설치를 위한 SC 모듈 실증에 성공했다.(사진=삼성물산0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소형모듈원전(SMR) 구조물을 모듈 단위로 시공하는 공법을 앞세워 글로벌 SMR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삼성물산은 일본 대표 중공업 기업 IHI사와 SMR을 위한 ...2025-05-28 09:55:44 [조인준]

thumbimg

하나은행, 외국인 전용적금 '하나더이지' 출시...최고금리 5%
하나은행이 해외송금 실적에 따라 최고 5% 금리혜택을 제공하는 외국인 전용적금 '하나더이지(Hana the EASY) 적금'을 28일 출시했다.이 적금은 정기적으로 해외에 돈을 보내는 국내 거주 외국인에게 목돈마련의 기회를 제공하는 외국인 전용상품이다. 특히...2025-05-28 09:37:02 [장다해]

thumbimg

[새 정부에 바란다] "에너지전환 서둘러야 경쟁력 회복 가능"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가적 성장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요구들이 빗발치고 있습니다. 이에 6월 4일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뉴스;트리가 기후환경 부...2025-05-28 08:00:02 [장다해]

Video

+

ESG

+

정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 활성화 대책 하반기 발표"

정부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을 활성화하는 대책을 하반기 발표하겠다고 밝혔다.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탄소크레딧 유

화석연료 보험 늘리는 국내 손보사들...기후위험 대응력 높이려면?

글로벌 주요 보험사들은 화석연료 배제를 선언하고 있지만 국내 석탄 보험은 1년 사이에 82%가 늘어날 정도로 기후위기에 둔감하다는 지적이다. 이승준

네이버·국립생태원, 생물다양성 보호 나선다

네이버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생물다양성 대응 및 생태계 보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네이버 본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립생태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기후/환경

+

'루돌프' 못보는 거야?...세기말 온난화로 80% 줄어든다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북유럽과 북극 등에 서식하는 야생 순록 개체수가 지난 수십 년간 3분의 2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추세로 간다면 세기말

신라때 만든 저수지 인근 공장화재로 유해물질 '범벅'...물고기 떼죽음

신라 시기에 만들어진 국보급 저수지가 인근 화장품 공장 화재로 발생한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다.14일 연합뉴스에 따르

"현 2035 NDC는 위헌"...국가온실가스 결정절차 가처분 신청

정부의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결정절차에 가처분 신청이 제기됐다.14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환경보건위원회와 기후위기 헌법소원

에어로졸의 반전...지구 식히는줄 알았더니 온난화 부추겨

햇빛을 반사해 지구를 식히는 '냉각효과'로 지구온난화를 억제한다고 알려진 에어로졸이 오히려 온난화를 부추기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광

[연휴날씨] 폭우 끝 폭염 시작…낮에는 '찜통' 밤에는 '열대야'

물벼락을 맞았던 서울과 수도권은 광복절인 15일부터 또다시 불볕더위가 찾아온다. 폭우 끝에 폭염이 시작되는 것이다. 광복절을 시작으로 이번 연휴

잠기고 끊기고 무너지고...수도권 200㎜ 물폭탄에 곳곳 '물난리'

7월 경남과 광주를 할퀴었던 집중호우가 이번에는 수도권 일대를 강타하면서 많은 피해를 낳았다.13일 서울과 수도권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내린 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