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환경과목 선택한 중고교 731곳...환경교사는 달랑 73명

김현호 기자 / 기사승인 : 2021-06-15 07:30:02
  • -
  • +
  • 인쇄
경기 28명, 서울 4명...부산과 울산은 'O'명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환경' 교과목을 선택한 학교가 731개교로 1년전에 비해 2배 늘었지만 이를 가르칠 수 있는 환경전공 교사는 73명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15일 뉴스트리가 교육부에 정보공개를 청구해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국의 5611개 중·고등학교 가운데 환경과목을 교과목으로 선택한 학교는 731개교로 집계됐다. 전국 중고등학교의 13%가 환경과목을 가르쳤다. 2019년 전국 5596개 중·고등학교 가운데 5.5% 정도인 312곳에서만 환경 과목을 가르쳤던 때와 비교하면 엄청나게 늘어난 것이다.

이처럼 환경과목을 선택한 학교는 2배가량 늘어났는데 이를 가르칠 교사는 턱없이 부족하다.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국 중고교에 재직중인 환경전공 교사는 73명이다. 환경과목을 가르치는 학교는 731곳인데 환경 교사는 73명이니, 10곳 가운데 9곳은 환경교사없이 환경과목을 가르친다는 결론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더 열악하다. 2020년 기준 707개 중·고등학교가 포진해 있는 서울지역의 환경교사는 4명이고, 1118개의 중·고등학교가 있는 경기도는 28명이다. 312개 중·고등학교가 있는 부산과 112개 중·고등학교가 있는 울산은 환경교사가 단 1명도 없다.


환경교사가 배치된 73개교를 제외한 나머지 658개 학교는 환경을 전공한 교사 대신에 상치교사 혹은 기간제 교사가 환경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상치교사란 중·고등학교에서 자신이 전공하지 않은 교과목을 가르치는 교사를 뜻한다.

전공이 아닌 과목을 가르치는 것이 법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교육의 질적 측면에서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교육계 관계자는 "지구과학 선생님이 생명과학을 가르칠 수는 있지만 당연히 전문성이 떨어지지 않겠느냐"며 "환경 부전공을 한 교사들이 많다고 해도 환경을 전공한 교사들의 숫자는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환경교사에 대한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되고 있지만 실제로 교사 임용과정에서 환경교사는 찬밥신세다. 교육부에 따르면 2021년 임용된 중등교사 수는 4225명으로, 이 가운데 환경교사 수는 사립학교를 포함해 8명에 그쳤다. 0.16%에 불과했다. 지난해 90%가 넘는 학교에서 환경을 전공한 교사없이 환경수업이 이뤄졌는데도 올해 임용에서 환경교사를 달랑 8명 뽑은 것이다. 73명에 7명을 더해봐야 80명이니, 651개 학교는 올해도 환경교사없는 환경수업을 받고 있는 셈이다.

일선 학교들도 어려움은 있다. 환경과목은 필수가 아니라 선택과목이기 때문에 모든 학생이 반드시 들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다보니 교육기관 입장에선 1주일에 몇 시간 수업하는 과목을 위해 교사를 채용하는 것이 재정적으로 부담이다.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관계자는 "사회적으로 기후위기 등 환경에 대한 중요함이 커지는 상황이지만, 필수 교과목이 아닌 환경 교과를 위해 전공교사 1명을 선발하는 것은 부담인 것이 사실"이라고 토로하며 "당장 교사 채용이 힘든 만큼 환경관련 수업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다방면으로 간접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일선 학교에서 부족한 환경교사는 현재 환경전문 교육기관들이 대신하고 있다. 환경전문 교육기관들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을 선언한 기업들의 지원을 받아 환경전문가들을 양성하고, 이들을 환경교육을 필요로 하는 학교에 보내 학생들에게 환경교육을 진행하는 식이다.

하지원 에코맘코리아 대표는 "교육기관이 환경교육에 대한 의지는 있지만 관련예산이 없으니 이를 추진할 여력이 없는 실정"이라며 "현재로선 부족한 교사를 대신해 환경교육기관이 환경교육을 진행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어 그는 "그냥 알고 있는 것과 실천하는 것은 다르므로, 어릴 때부터 환경교육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환경교육은 기후위기를 막는 중요한 시작이다"고 교육 현실을 안타까워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관련기사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간] ESG 전략 마스터 클래스: 실전 가이드

전략(S)–공시(D)–성과(P)를 연결하는 ESG 설계 기준서가 출간됐다. 이 책은 ESG 전략이 의무공시 체계에 부합하고 기업가치 제고의 실질적 도구로

KCC·효성중공업 건설PU '콘크리트 탄산화' 억제해 건물 부식 예방한다

응용소재화학기업 KCC가 효성중공업 건설PU와 손잡고 콘크리트 건축물의 탄산화를 억제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융복합 기술을 공동 개발했다고 29일

HD현대오일뱅크, 폐수 처리비 450억 아끼려다 1761억 과징금 '철퇴'

환경부가 특정수질유해물질인 페놀이 함유된 폐수를 불법적으로 배출한 HD현대오일뱅크에 대해 '환경범죄 등의 단속 및 가중처벌에 관한 법률'(이하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실사도 의무화해야"

올 6월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대응 관련조항이 빠져있어, 이를 추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기업인권환경실사법'은 기업의 인권과 환

아워홈, 실온에서 분해되는 ‘자연생분해성 봉투’ 2종 개발

아워홈은 ESG 경영 강화를 위해 친환경 제품 2종을 개발해 전국 단체급식, 외식 매장에 도입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친환경 제품은 자연생분

남양유업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참가 초등학생 1000명 모집

남양유업은 서울·경기권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하반기 교육신청을 오는 9월 9일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한다고 28일 밝

기후/환경

+

이 정도일 줄이야?...매일 미세플라스틱 6만8000개 '꿀꺽'

한 사람이 매일 6만8000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집안이나 차에서 흡입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28일(현지시간) 나디아 야코벤코 툴루즈대학 박사가

상반기 세계 온실가스 또 늘었다..."美 화석연료 사용 증가탓"

올 상반기동안 미국 제조업 분야의 탄소배출량이 증가하면서 전세계 탄소배출량이 늘어나는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나타났다.비영리단체 클라이밋 트

100년에 한번이던 유럽 대형산불..."기후변화로 10년꼴로 발생"

최근 그리스와 튀르키예, 스페인 등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한 가운데 앞으로 유럽에서 이같은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이 10배 높아졌다는 연구결과다.세

해상풍력 확대 필요하지만..."인권·환경 보호장치도 마련해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인권과 환경을 두루 고려해야 지속가능한 전환이 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이 입을 모았다.29일 국회 기후위기탈탄소경제

'톨루엔·자일렌' 화학물질...규제대상 아니라고 배출하다 '딱' 걸렸다

경기도의 일부 산업시설에서 미규제 오염물질을 계속해서 배출해온 것으로 드러났다.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경기 북부 산업시설 5종을 대상

'시베리아 흙탕물' 확산..."원인은 기후변화로 약해진 해류"

기후변화로 북극해 해류 흐름이 변하면서 시베리아 흙탕물이 수백km 밖까지 퍼지고 있다.극지연구소는 전미해·정진영·양은진 박사 연구팀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