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월 초부터 극심한 폭염으로 전력 수요도 치솟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여름철 전력수급 전망 및 대책'을 발표하면서 "이번 여름철 최대 전력수요가 97.8GW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지만 작년보다 1.2GW 증가한 총 106.6GW의 공급 능력을 확보한 상태"라고 말했다.
지난 9일 최대 전력수요는 92.6GW를 기록했다. 8일 기록한 역대 7월 최고치 95.6GW에 이어 통계 작성 이후 네 번째로 높은 7월 수치인 것이다. 앞서 7일에도 93.3GW를 기록하며 종전 최고였던 2022년 7월 7일의 92.9GW를 넘어섰다. 이처럼 7일, 8일, 9일 연속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올해 기록들이 역대 7월 최대 전력 수요 순위의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기상청이 올 6월부터 9월까지 평년보다 높은 기온을 전망하면서 정부는 최대전력 수요가 8월 2주차에 97.8GW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최대수요는 역대 최대치였던 작년 피크(97.1GW, 24.8.20일)보다 높을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밝혔다. 이는 한번 냉방기기 사용을 시작하면 지속하는 경향이 있고 8월 초 기온이 7월보다 통계적으로 더 높기 때문이다.
정부는 충분한 전력공급능력을 확보해 최대 전력수요가 상한치인 97.8GW까지 높아지더라도 예비력은 8.8GW로 전력당국이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폭우나 태풍 등으로 설비가 고장나거나, 역대급 폭염이 지속되어 수요가 더 높아질 가능성 등에 대비해 약 8.7GW의 비상자원도 별도로 준비했다고 밝혔다. 설비 고장 가능성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노후화된 설비는 미리 교체하고, 취약설비는 전수 조사하여 사전에 보수작업을 마친 상황이다.
정부는 수요 관리를 위해 저소득·복지시설 무상 냉방기기 설치, 고효율 가전 구매 지원 등 공공기관 에너지이용 합리화 방안을 시행하고 대국민 에너지절약 홍보 및 인센티브 활용(에너지캐시백) 등의 노력도 병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폭염에 전력 사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7월 1일부터 연간 전체 에너지 바우처 지원액(최대 70만 1,300원)을 일괄 지급하고, 이와 동시에 전기요금 감면 한도를 확대(최대 월 2만원)하여 지원한다. 또한, 7~8월에 전기요금 누진제 구간을 완화하여 냉방사용에 따른 전기요금 부담을 전체적으로 줄이고 있다.
정부는 이날부터 9월 19일까지 72일간을 여름 전력 수급 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한국전력 등 전력 유관 기관과 전력 수급 종합 상황실을 운영하면서 비상 대응 체계를 강화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아직 예비력이 충분해 예상보다 높은 기온에도 전력 수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며 "폭염, 태풍, 대규모 설비 고장 등 어떠한 위기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미리 준비한 위기 대응 수단을 적시에 가동해 전력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