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로 생업 이어가는 150만명 생계 위협

아프리카 말라위공화국에서 두번째로 큰 호수 '칠와호'(Chilwa Lake)가 기후변화로 말라붙으면서 이 호수에 의지해 살고 있는 인근주민 150만명의 생계도 위태해지고 있다고 영국 가디언이 최근 보도했다.
칠와호는 이전에도 25~40년 주기로 자연 건기가 발생했다. 관측이래 건기가 발생했던 연도는 1940년대와 1973년, 2012년, 2018년이다. 과거와 달리 최근들어 건기 주기가 급격하게 짧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2012년에는 폭염과 가뭄으로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았다. 2018년 호수는 약 60% 줄어 대부분의 어업 종사자들은 생존을 위해 말라위 호수로 이주해야 했다.
호수가 수위를 유지하려면 매년 분지 전체에 1m 이상의 수위를 채울 만큼 비가 내려야 한다. 그러나 올 상반기 칠와호 유역의 강수량이 1000mm 미만이어서 올해도 이러한 추세가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우기에도 사정이 좋지 않은 건 마찬가지다. 말라위의 어업보조책임자인 프라이데이 은자야에 따르면 비가 오는 시기의 호수면적은 2000km² 이상이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면적은 1200km² 미만으로 줄었다.
1859년 선교사이자 탐험가인 데이비드 리빙스톤이 보고했던 호수의 길이는 60~80마일(약 97~129km)이었다. 이 길이가 오늘날 호수의 약 2배임을 감안하면 호수 크기가 엄청나게 줄어든 것이다.
점점 더 예측하기 힘들어지는 이상기후로 칠와호는 말라가고 있고, 이 호수에 의지해 생업을 꾸려가고 있는 사람들의 생계도 위험에 처해있다. 어획량도 2012년에 이후 절반으로 줄었다. 한때 어업과 농업 측면에서 연간 약 1700만달러였던 호수의 생산가치가 지금 약 500만달러로 떨어졌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러한 이상강우는 인간활동의 결과다. 특히 삼림 벌채는 환경 파괴와 기후 위기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좀바의 선임수산관리인 닉슨 카메테 마시는 "일부 사람들은 호숫가나 강기슭에서 작물을 재배하며, 그 과정에서 토양 침식과 호수의 침식을 방지하는 갈대와 식물들을 베어낸다"며 바람직하지 않은 농업 관행이 피해를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환경보호론자인 알루페요 음왈로모는 "벼 재배가 칠와호 수위감소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농경지를 확보하려고 호수와 강기슭의 나무들을 베는 일은 경제적, 사회적으로 악영향을 초래한다"고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