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채굴' 열리나...전자폐기물에서 1초만에 귀금속 회수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1-10-07 08:07:02
  • -
  • +
  • 인쇄
美라이스대학 '플래시줄 가열' 전자폐기물에 적용 
순간적인 고열 가해 '중금속은 제거 금속은 회수'
▲전기충격을 가해 금속을 기화시키는 '플래시줄 가열' 방식. (사진=라이스대학 유튜브 캡처)


휴대폰 등 수명을 다한 전자폐기물에서 금속을 손쉽게 회수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미국 텍사스에 있는 라이스대학(Rice University)은 전자폐기물에 순간적인 고열을 가하는 '플래시 줄 가열'(flash Joule heating) 방식으로 그속에 있는 금속을 회수하는데 성공했다.

'플래시 줄 가열' 방식은 지난해 라이스대학이 개발한 것으로, 탄소를 함유한 모든 종류의 원료로 '그래핀'을 만드는 기술이다. 음식물쓰레기나 플라스틱 등 탄소가 함유된 물질에 2730도의 순간적인 열을 가하면 쓰레기는 순식간에 그래핀으로 변하고, 나머지 비탄소 요소는 기체로 날아간다.

라이스대학은 이 '플래시 줄 가열' 방식을 전자폐기물에서 로듐, 팔라듐, 금 및 은을 회수할 수 있도록 공정을 조정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이 공정에는 준비과정이 필요하다. 전자 회로기판은 분말로 만들어야 하고, 할로겐화물(테플론이나 식탁용 소금 등)을 첨가해야 한다. 또 회복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약간의 카본 블랙(천연가스를 불완전 연소시켰을 때 생기는 검댕, 인쇄 잉크 원료)도 첨가된다.

이런 과정을 거친 전자폐기물에 3127도의 순간적인 고열을 가하면 금속은 기화된다. 순간적인 고열을 가하는데는 1초도 걸리지 않는다. 한번의 고열로 기화된 금속은 '증발 분리'된다. 진공 상태에서 금속 증기는 플래시 챔버에서 다른 용기인 콜드 트랩으로 운반돼 구성 금속으로 응축된다. 라이스대학 연구원 빙 덩 박사는 "트랩에 있는 금속 혼합물은 개별 금속으로 정제된다"고 설명했다.

이 방식은 기존 방법보다 전력이 500분의1 이상 적게 든다. 배출되는 부산물도 깨끗하다. 연구진에 따르면 1톤의 전자폐기물을 가공하는데 약 939kWh의 에너지가 소요된다. 이는 일반 제련로를 이용하는 에너지의 80분의1 수준이고, 실험실 튜브 용광로를 이용하는 에너지의 500분의1 정도다. 제련하고 침출하기까지 긴 정제시간도 필요없다.

라이스대학 보고서에 따르면 고열을 가열할 때 크롬과 비소, 카드뮴, 수은, 납 등의 중금속이 제거되고, 최소한의 금속 함량만 부산물로 남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한번의 플래시 줄 반응으로 남은 납 농도가 농업용 토양에 안전한 수치인 0.05ppm 미만으로 줄었다고 보고했다. 비소, 수은 및 크롬 등의 중금속 수치는 플래시 횟수를 늘리자 모두 감소됐다.

라이스연구소의 제임스 투어 화학자는 "플래시 줄 방식은 귀금속을 회수하고 전자폐기물을 지속가능한 자원으로 바꾸는 방법"이라며 "도시 광산업으로써의 잠재력이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매년 4000만톤 이상의 전자폐기물이 발생하고 있다. 휴대폰과 같은 개인용 전자기기의 매출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덩달아 전자폐기물도 증가하고 있지만 재활용 비율은 20%에도 못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제임스 투어는 "폐기물이 오히려 보물이 될 수 있다"면서 "플래시 줄 가열 공정을 활용하면 지표면을 파내고, 수자원을 사용하고, 위험한 지역에서 광석을 채굴하는 것이 줄어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플래시 줄 방식은 유해 중금속까지 제거하므로 환경까지 보호할 수 있다고 했다.

라이스대학의 해당 보고서는 4일(현지시간) 네이처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색깔로 위험인지'...CJ제일제당, 안전예방 위해 '색채 디자인' 적용

CJ제일제당이 안전한 일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사업장과 물류센터에 '컬러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다.CJ제일제당은 이를 위해 지난 3일 서울 서초

[최남수의 ESG풍향계] '독립이사'로 명칭 바뀌면 '거수기' 벗어날까?

상법 개정안이 지난 7월 초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데 이어 공포됐다. 이번 개정안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주주로 확대하고 상장회사 감사위원의

카카오임팩트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 개최

카카오의 기업재단 카카오임팩트가 지난 9월 4일부터 3일간 기후기술 회의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을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기후기술과 AI, 미래

현대백화점 "장난감 기부하면 H포인트 증정"

현대백화점이 오는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7일까지 압구정본점 등 전국 점포에서 '플라스틱 장난감 업사이클'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기후/환경

+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2035 NDC' 감축목표 53%? 67%?...환경부, 이달내 2개로 압축

정부가 이달 내로 '202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해 복수의 안을 국회에 제시한다.환경부는 8일 국회에서 열린 기후위기특별위원회에 현재 각계

강릉 저수율 12.4%…비 안내리면 4주 내 바닥난다

남부 지방은 비 예보가 있지만 가뭄에 메말라가는 강릉은 아직도 비 소식이 없다. 지금 이대로 가면 4주 이내에 강릉의 저수율은 5% 밑으로 떨어질 것으

'최악 가뭄' 강릉 저수율 12.6%...평창 도암댐 물 활용논의

강원 강릉이 최악의 가뭄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연일 급수 지원이 이뤄지고 있음에도 상수원은 계속해서 말라붙고 있다.강릉의 오봉저수지의 저수

2만톤 급수에도 저수율 13% 붕괴 직전...강릉시, 아파트 수돗물 잠근다

이번 주말에 서울과 수도권에는 100㎜가 넘는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지만 정작 비가 절실한 강릉은 비소식이 전혀 없어 물 부족 사태는 주말 사

서울 온실가스 70% 건물서 배출..."건축물 녹색전환 위한 제도지원 시급"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가 건축물에서 비롯되지만 이를 관리 지원할 제도나 지원은 전무한 실정이어서 건축물에 대한 녹색전환 제도를 마련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