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26] 100여개국 정상들 "2030년까지 벌목 안하겠다" 서약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1-11-02 11:57:53
  • -
  • +
  • 인쇄
세계 최대 벌목국가 브라질, 인디 등 서약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 참석한 각국 정상들은 오는 2030년까지 삼림 벌채를 중단하고 22조원에 달하는 복구 자금을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이는 COP26에서 도출된 첫번째 합의사항이다.

1일(현지시간) COP26에 참석한 브라질, 러시아, 인도네시아 등 100여개국 정상들은 2030년까지 삼림 벌채를 전면 중단하기로 약속하는 서약서에 서명했다. 이 100여개국의 삼림 면적은 전세계의 85%를 차지한다. 삼림벌채를 중단하는 국가에 대해서는 삼림복구와 농업지원을 위해 192억달러(약 22조원)에 달하는 자금이 지원될 예정이다.

COP26 주최국인 영국의 보리스 존슨 총리는 "이번 벌채중단 협정은 지구의 허파인 숲을 보호하고 되살리기 위한 기념비적인 협정"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협약에는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 그동안 삼림자원을 파괴해온 나라들이 포함됐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 팜유 수출국으로 팜유생산을 위해 열대우림을 지속적으로 벌목했다. 브라질의 경우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이 집권한 2020년 이래로 아마존의 벌채가 12년만에 최고에 이르렀을 정도다.

영국 채텀하우스(왕립국제문제연구소)의 애나 양 지속가능성 이사는 "브라질은 많은 열대 우림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브라질이 협정에 서명한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실질적인 벌목 중단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저소득층과 노동자에 대한 실효성 있는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합의가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지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유니버시티 칼리지런던(UCL)의 사이먼 루이스 지리학과 교수는 "많은 나라가 벌채를 끝내기로 한 것은 분명 좋은 소식"이라고 환영했다. 이어 그는 "하지만 이 서명만으로 열대우림을 개간해 축산업을 하는 사람들을 제한하지 못한다"며 "이는 영국, 미국같은 서방국가에서 여전히 육류에 대한 수요가 많기 때문"이라고 우려했다.

삼림은 중요한 온실가스 흡수원 중 하나다. 지구 전체의 삼림은 매년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3분의 1가량을 흡수한다. 그러나 현재 삼림은 1분마다 축구장 27개 크기의 숲이 사라지고 있다. 지난해 주요 열대우림 면적에서 소실된 숲의 크기는 4만2000㎢에 이른다. 이는 네덜란드의 국토면적(4만1540㎢) 보다 넓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2035년 NDC 61.2% 정해야...산업 경쟁력 강화할 기회"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최소 61.2%로 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15일 국회 기후행동의원모임 '비상'은 성명을 통해 "20

환경부 '낙동강 녹조' 독성조사 착수...공기중 조류독소도 조사

환경부가 환경단체와 함께 낙동강 녹조 조사에 착수한다.환경부는 15일 오후부터 낙동강네트워크,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 녹조 심화지역에 대한 조류

국립공원 개구리 산란시기 18일 빨라졌다...기후변화 뚜렷한 징후

국내 서식하는 개구리들이 기후변화로 산란시기가 앞당겨진 것이 확인됐다.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내 산림과 무인도서에서 장기간 생

호주 시드니 3°C 오르면..."온열질환 사망자 450% 급증할 것"

지구 평균기온이 3℃ 상승하면 호주 시드니에서만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약 450% 급증할 것으로 나타났다.15일(현지시간) 호주 기후청과 기후변화

美 온실가스 배출량 '깜깜이 국가' 되나...기업 의무보고 없앤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대형 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기후정책의 핵심자료였던 배출 데이터가 사라질 경

단비에 강릉 저수율 16.3%로 상승...아직 '가뭄의 끝' 아니다

이틀간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최악의 사태를 면했다. 하지만 가뭄이 해갈되기까지는 아직 갈길이 멀어보인다. 15일 강릉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