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육 꼭 먹어야 할까?...MZ세대 67.6% 긍정적 평가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2-02-03 10:09:14
  • -
  • +
  • 인쇄
▲대체육 브랜드 '배러미트' (사진=신세계푸드)


MZ세대의 67.6%가 식물성 고기인 대체육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세계푸드가 올 1월 여론조사기관 엠브레인을 통해 MZ세대인 2030세대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7.6%가 대체육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이는 이용의사가 없다고 응답한 14.6%의 4.5배가 넘는 비중이다. 

또 대체육을 소비해야 되는 이유(복수응답)로 '환경보존'이 71.4%로 가장 많았다. 동물복지(53.0%), 건강한 식습관(43.5%), 식량난 대비(36.5%) 등도 대체육이 필요한 이유로 꼽았다.

실제로 대체육을 먹어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중은 42.6%에 달했다. 경험이 없다는 응답자 가운데 앞으로 경험해볼 의향이 있다는 답변은 무려 78.2%로 나왔다. 대체육을 먹어본 경험이 있지만 앞으로 대체육을 찾을 의향이 없다는 응답자 중 72.3%는 맛과 식감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MZ세대들이 대체육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이유는 가치나 신념에 따라 소비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국내 비건 인구는 2009년 15만명에서 2019년 150만명으로 10년 사이에 10배 가까이 증가한 것도 MZ세대의 가치소비 경향이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채식을 선택하는 이유가 다이어트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도 있지만 환경보호와 동물윤리 등 자신의 신념에 따라 채식주의자로 탈바꿈하는 경우들이 많다는 것도 이번 설문조사 결과에서 드러났다. 

비건 인구가 증가하면 채식전문 식당도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 2009년 100여곳에 불과했던 채식전문 식당은 2019년 400여곳으로 늘어났다.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에서 비건인을 위해 채식 메뉴를 취급하는 식당은 채식전문 식당을 포함해 총 948곳에 달한다.

▲대체육 인식 조사 (사진=신세계푸드)


전세계적으로 육류소비량이 늘어나면서 축산업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비중도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체 탄소배출량의 약 16.5%가 축산분야에서 발생했다.

또 육류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축산업은 엄청난 환경오염을 초래한다. 전세계 식품업종에서 발생하는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 173억톤 중 60%가 육류에서 생긴다. 가축을 키우고 도축 및 유통하는 과정 그리고 소비 과정에서 탄소가 배출되기 때문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ESG;스코어] 韓 해운사 탄소효율…벌크선사 팬오션이 '꼴찌'

팬오션, 현대글로비스가 우리나라 해운사 가운데 '탄소집약도지수'(CII)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현대LNG와 코리아LNG, KSS해운은 CII 위

카카오 '장시간 노동' 의혹...노동부, 근로감독 착수

카카오가 최근 불거진 장시간 노동 문제를 두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됐다.고용노동부 관할지청인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이달초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JYP, 美 타임지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

JYP엔터테인먼트가 미국 타임지 선정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에 올랐다.JYP는 미국 주간지 타임과 독일 시장분석기업 스태티스타가

우리은행, 1500억 녹색채권 발행…녹색금융 지원 확대

우리은행이 15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친환경 분야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우리은행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

기후/환경

+

[ESG;스코어] 韓 해운사 탄소효율…벌크선사 팬오션이 '꼴찌'

팬오션, 현대글로비스가 우리나라 해운사 가운데 '탄소집약도지수'(CII)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현대LNG와 코리아LNG, KSS해운은 CII 위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예정대로 내년부터 시행

내년부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땅에 매립하지 못한다. 17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따르면 기후부 및 수

미세플라스틱 '만성변비' 유발한다…장 건강 영향 첫 규명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면 변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 황대연 교수 연구팀은 캐나다 토

"공적금융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하면 일자리 2배 증가"

공적 금융기관들이 화석연료 대신 청정에너지 사업에 투자를 늘리게 되면 국내 일자리가 대폭 늘어나 취업난의 새로운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이 왜 받아?...엉뚱한 나라로 흘러가는 기후재원

부유국 기후자금이 최빈국보다 중소득국에 더 많이 흘러간 것으로 나타났다.1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과 카본브리프가 공동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