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 해양 생물에 '육지 질병' 감염시킨다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04-28 16:20:25
  • -
  • +
  • 인쇄
육지 병원체, 미세플라스틱 타고 바다 오염 가능
▲미세플라스틱 알갱이에 달라붙은 병원체 톡소플라스마 곤디이 (사진=nature)

미세플라스틱이 육지 병원체를 해양으로 옮길 수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27일(현지시간)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 데이비스) 캐런 샤피로(Karen Shapiro) 교수팀은 과학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서 게재한 보고서에서 육지 병원체가 미세플라스틱에 붙어 해양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는 인간과 야생 생물 모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서 연구팀은 "매년 수백만개의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해양으로 유입돼 잘게 쪼개져 크기가 5㎜ 이하인 미세플라스틱이 된다"며 "이러한 미세플라스틱을 물고기와 조개와 같은 무척추동물들이 섭취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미 해양거북, 벨루가, 물개 등 거대 동물들 뿐만 아니라 외진 남극 지역에 서식하는 젠투펭귄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발견, 더이상 자유로운 곳은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고 경고했다.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사례도 제시했다. 팀은 캐나다 온타리오 호에 서식하는 새끼 피라미가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이후 기형인 형태를 많이 띄었다고 설명했다. 또 먹이사슬의 하단에 위치하는 해양생물들이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고 이 물고기를 또 포식자가 섭취해 결국 사람에 이르게 된다는 실증적인 연구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미세플라스틱들이 해양으로 유입되고 이에 육지 병원체가 달라붙어 해양 생물을 감염시킬 수 있다고 연구팀은 우려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연구팀은 해양표유류에서 흔히 발견되는 병원체들인 '톡소플라스마 곤디이'(Toxoplasma gondii)와 기생충의 하나인 '크립토스포리디움'(Crypto), '편모충'(Giardia) 3가지를 실험에 사용했다. 

미세플라스틱은 2가지 종류로 나눠 알갱이 형태의 폴리에틸렌(PE) 미세플라스틱과 실 형태의 폴리에스터 미세섬유로 구성했다. 그 결과 3종류의 육지 병원체는 알갱이 형태의 미세플라스틱과 미세섬유에 모두 달라붙을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중 알갱이 형태보다는 미세섬유에 더 잘 달라붙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플라스틱은 다양한 방식으로 병원체가 해양 생물에 도달하는 것을 쉽게 만든다"며 "이는 플라스틱이 바다 위에 뜨는지 아니면 바닷속에 가라앉는지에 따라 달라진다"고 밝혔다.

물에 뜨는 미세플라스틱은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어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까지 병원체를 퍼뜨릴 수 있으며 가라앉는 플라스틱은 식물성 플랑크톤과 조개류 등이 서식하는 해저 생태계의 병원체 밀도를 높일 수 있다.

샤피로 교수는 "조개와 같은 무척추동물은 미세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해 섭취한다"며 "사람의 편리를 위해 사용되는 플라스틱이 치명적인 기생충을 옮길 수 있는 미세플라스틱을 만들어 해양 먹이사슬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의 공동저자인 토론토 대학교 첼시 로흐만(Chelsea Rochman) 교수는 "바닷속 미세플라스틱의 영향을 줄일 방법은 여러가지"라며 "미세섬유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세탁기·건조기 필터, 빗물 처리시설, 산업·공사 현장의 미세플라스틱 배출 방지 관리 등을 도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나무를 '녹여서' 만든다?…기후산업박람회 눈길 끈 친환경 기술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린 '2023 기후산업국제박람회(World Climate Industry EXPO·WCE)'에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친환경 기술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카카오 'RE100' 가입...2040년까지 100% 재생에너지 전환

네이버에 이어 카카오도 글로벌 이니셔티브 'RE100'에 가입했다.카카오는 RE100 가입을 기점으로 오는 2040년까지 사용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

[르포] "에펠탑이 잠긴다구요?"...10대 교육의 장이 된 기후산업박람회

범정부 차원에서 처음 열리는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개막 당일인 25일 부산 벡스코 앞은 이른 아침부터 시끌벅적했다. 단체로 참가하는 듯 보이는 고등

"셰브론의 넷제로는 쓰레기"...꼼수 딱 걸린 美석유재벌

미국의 석유 대기업 셰브론(CHEVRON)의 탄소중립 계획이 엉망친창일 뿐만 아니라 '그린워싱'을 일삼는 것으로 드러났다.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셰브론의

KGC인삼공사, 월드비전 아동환경교육에 2억 기부

KGC인삼공사가 지난 24일 한국월드비전에 아동 환경교육을 위해 2억원을 전달했다고 25일 밝혔다.KGC인삼공사는 2021년도부터 매년 초등학교에 '참여형 환

범정부 주최 첫 '기후산업박람회' 개막...기후위기 대응 기술 '한자리'

기후위기 대응과 관련된 기술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2023 기후산업국제박람회'(World Climate Industry EXPO, WCE)가 25일 부산 벡스코에서 개막됐다. 오는 27

TECH

+

LIFE

+

순환경제

+

Start-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