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에 달라붙어 물속에서 생존하는 바이러스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6-29 08:00:02
  • -
  • +
  • 인쇄
英스털링대학 연구진, 전염성 3일 존속 확인
폐수처리장에서 바다까지 이동하는데 '3일'


바이러스가 물속 미세플라스틱에 붙어 3일간 전염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27일(현지시간) 영국 스코틀랜드 스털링대학 연구진은 로타바이러스 등 설사와 위장장애를 일으키는 장내 바이러스가 길이 5mm 미만의 미세플라스틱에 달라붙어 물속에서 생존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이 상태의 바이러스는 전염성이 남아있어 건강에도 잠재적인 위험성이 있다는 것이다.

리처드 퀼리엄(Richard Quilliam) 스털링대학 연구책임자는 "미세플라스틱은 바이러스가 부착되면 수중에서 3일, 혹은 그 이상 바이러스를 생존시키고 전염성을 유지시켰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3일은 폐수처리장에서 공공해변까지 이동하기에 충분한 시간이다.

연구진은 독감바이러스처럼 지질막으로 둘러싸인 바이러스와 로타바이러스나 노로바이러스처럼 막이 없는 바이러스 두 가지 유형을 실험했다. 그 결과, 막이 있는 바이러스는 막이 빠르게 용해되면서 사멸하지만 막이 없는 바이러스는 미세플라스틱에 들러붙어 생존했다. 퀼리엄 교수에 따르면 바이러스는 환경의 자연표면에도 붙을 수 있지만 플라스틱오염에 붙을 경우 자연물질보다 훨씬 오래 지속된다.

이번 연구는 물속에서 바이러스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최초로 밝힌 것이다. 퀄리엄 교수는 바이러스가 미세플라스틱에 들러붙는 현상을 가리켜 '히치하이킹'이라고 표현했다.

퀼리엄 교수는 표준적인 실험실 연구법을 통해 바이러스가 어떻게 행동하는지 연구하고, 물속 미세플라스틱에서 발견된 바이러스의 전염성을 확인했다. 그 결과 미세플라스틱이 병원체를 이동시킨다는 결론을 내렸다.

문제는 폐수처리시설이 미세플라스틱을 걸러낼 수 없다는 것이다. 퀼리엄 교수는 "폐수처리장이 모든 노력을 동원해 하수폐기물을 정화해도 미세플라스틱은 걸러지지 않고 강을 따라 해변까지 흘러들어간다"고 지적했다.

폐수처리장에서 해변으로 유입된 미세플라스틱 입자들은 크기가 매우 작아 수영하는 사람들이 삼킬 위험이 있다. 퀼리엄 교수는 "해변에 떠밀려오는 렌틸콩 크기의 밝은 색 플라스틱 알갱이는 아이들이 주워서 입에 넣을 수 있다"며 "이런 식으로 소량이라도 바이러스를 섭취하게 될 경우 건강에 유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세플라스틱 자체가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불확실하지만, 미세플라스틱 조각이 병원체를 전달하는 매개가 되어 건강을 크게 위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실험은 3일에 그쳤지만, 연구진은 향후 바이러스가 얼마나 오랫동안 전염성을 유지할 수 있을지 추가로 연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달 퀼리엄 교수의 연구팀은 해변에 버려진 물티슈와 면봉의 대변 박테리아 수치가 건강상 위험한 수준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들은 2019년 스코틀랜드 해변의 플라스틱 알갱이에서 하수박테리아의 '히치하이킹' 현상을 처음 발견했다.

이번 연구는 자연환경연구위원회(Natural Environment Research Council)가 후원한 185만파운드 규모의 프로젝트 일환으로 진행됐으며, 연구결과는 환경오염(Environmental Pollution) 학술지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英자산운용사, HLB에 2069억 투자…"신약허가 모멘텀 탄력 기대"

영국계 글로벌 자산운용사 LMR파트너스가 HLB그룹에 1억4500만달러(약 2069억원) 규모의 전략 투자를 진행한다. HLB의 간암신약 재신청과 담관암 신약허가

인적분할 완료한 삼성바이오...'순수CDMO' 도약 발판 마련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인적분할 절차를 마치고, 본연의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순수(Pure-play) CDMO' 체제로의 전환을 완료했다고 3일 밝

[ESG;NOW] 재생에너지 12% 롯데칠성...목표달성 가능할까?

우리나라 대표 음료회사인 롯데칠성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을 60%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2025년을 두달 남겨놓고 있는 현 시점

CJ제일제당, 유럽 인조잔디에 '생분해 플라스틱' 공급

CJ제일제당이 유럽서 생산되는 인조잔디 충전재에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를 공급한다.CJ제일제당은 스웨덴 바이오소재 컴파운딩 기업 'BIQ머티리얼

남양유업, 포장재 전환 '속도'…42종 ‘지속가능성 A등급’ 달성

남양유업이 주요 제품 포장재 42종에 대해 '지속가능성 A등급' 인증을 받았다.남양유업은 사단법인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으로부터 대표 제품

"한달짜리 계약에 CCTV로 감시까지"...런베뮤 산재 '63건'

직원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이 오픈 이래 63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근로계약을 매달 작성하고, CCT

기후/환경

+

또 새벽에 '흔들'...아프간 규모 6.3 지진에 주택 '와르르'

9월과 10월에 세차례에 걸쳐 지진이 발생했던 아프가니스탄에서 11월 초부터 또 규모 6.3의 지진이 발생했다.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3일(현지시

中 '기후리더' 노리나?...'석탄 1.5억톤과 탄소 4억톤 감축' 깜짝 발표

중국이 향후 5년간 석탄 사용을 1억5000만톤 줄이고 이산화탄소 4억톤을 감축하겠다는 탄소절감 계획을 깜짝 발표했다.중국 신화통신과 차이나데일리

호주 야당 '2050 넷제로' 지지 철회…총선 앞두고 입장 뒤집기?

호주 보수 야당이 당론으로 채택했던 '2050 넷제로(Net-zero)' 목표를 공식 철회했다. 이는 호주 정부가 수립한 '2050 넷제로'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으로

철새들 월동지 '주남저수지' 11월 생태관광지로 선정

기후에너지환경부가 11월 이달의 생태관광지로 창원 주남저수지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한국의 습지는 시베리아․몽골고원 등의 대륙과 일본·

삼성물산, 카타르 탄소압축·이송설비 공사수주..."최소 1.9조"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카타르의 초대형 탄소 압축·이송설비 건설공사를 수주했다. 삼성물산은 카타르에너지LNG(QatarEnergy LNG)가 발

[날씨] 또 찾아온 '가을 한파'...강풍에 체감온도 '뚝'

'가을 한파'와 함께 11월 첫주를 맞이했다.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2일부터 찾아온 추위는 4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아침 기온이 5∼10℃가량 크게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