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차' 플라스틱컵 재활용 '빨간불'...재질 다르고 비닐까지 접착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09-15 08:00:02
  • -
  • +
  • 인쇄
컵 재질은 페트 아닌 PP 재질로 녹는점 낮아
컵의 빨간색 로고와 접착비닐도 재활용 방해

▲PP소재인 플라스틱 컵과 LDPE 소재인 비닐뚜껑에 음료를 제공하는 '공차' ⓒnewstree


오는 12월 2일부터 국내 프랜차이즈 매장에서 '일회용컵 보증금제도'가 시행되지만 티음료 브랜드 '공차'는 다른 프랜차이즈와 플라스틱컵과 뚜껑의 재질이 달라 재활용에 '빨간불'이 켜졌다.

'일회용컵 보증금제도'는 전국 3만8000여곳의 프랜차이즈 매장에서 일회용컵에 음료를 구매할 때 자원순환보증금 300원을 부과하고, 소비자가 이 컵을 반납하면 보증금을 돌려주는 제도다. 각 매장에서 수거된 플라스틱 일회용컵은 재활용업체에서 재활용된다.

이 제도 도입에 앞서 스타벅스, 이디야, 투썸플레이스, 커피빈 등 국내 20여곳의 프랜차이즈들은 플라스틱 컵과 뚜껑의 재질을 페트(PET)로 통일했다. 해당 업체들은 지난 2018년 5월 환경부와 '일회용품 줄이기 자발적 협약'을 체결한 것을 계기로 플라스틱컵의 재질을 페트로 통일시킨 것이다.

당시 이 협약에 참여하지 않았던 공차는 여전히 일회용 플라스틱 재질을 PP로 사용하고 있다. 게다가 일회용 플라스틱컵에 접착하는 비닐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재질이다. 공차의 대표 제품인 버블티는 음료를 흔들어마셔야 하는 특성상, 내용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컵에 비닐을 접착하고 있다. 공차는 이 비닐이 컵에 잘 접착되도록 하기 위해 PP재질의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있다.

문제는 플라스틱 재질이 서로 다르면 재생원료 품질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점이다. 김현수 ACI 대표는 15일 뉴스트리와의 통화에서 "페트의 녹는점은 260°C이고, PP는 160°C, LDPE는 115°C"라며 "이를 한데 모아서 녹이면 녹는점이 낮은 PP와 LDPE는 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품질이 떨어지는 재생원료로 만든 플라스틱은 깨지거나 색깔이 불투명해진다는 것이다.

일회용 플라스틱컵에 인쇄된 빨간색의 공차 로고도 재활용의 방해요소다. 다른 프랜차이즈업체들은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로고 크기를 축소하고 색상도 흰색으로 통일했지만 공차는 여전히 빨간색을 고수하고 있다. 유색으로 인쇄된 플라스틱컵은 재생원료 순도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재활용 대상에서 제외된다.

뿐만 아니라 공차는 플라스틱컵 열을 가해 비닐을 붙인다. 비닐을 제거하더라도 색이 들어가 있어 전혀 재활용되지 않는다. 김현수 대표는 "공차 플라스틱컵은 오히려 재활용을 방해한다"며 "99.99% 고순도 재생원료를 생산하려면 이런 컵 사용은 금지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껏 수거해서 재활용센터로 옮겨진 공차 플라스틱컵은 이런 여러가지 이유로 결국 소각되거나 매립된다.

그런데 공차도 '일회용컵 보증금제도' 대상 프랜차이즈업체다. 올 4월 기준 공차의 매장수는 800여곳에 이른다.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커피프랜차이즈인 스타벅스 매장이 1700여곳인 것과 비교해도 결코 작은 매장수가 아니다.

환경부가 지난 13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주요 커피전문점과 패스트푸드점에서 소비된 일회용컵은 10억개가 넘었지만 매장에서 회수된 일회용컵은 19%에 불과했다. '일회용컵 보증금제도'는 매장의 일회용컵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시행되는데, 공차의 경우는 회수된 컵이 오히려 플라스틱 재활용을 방해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같은 지적에 공차 관계자는 "플라스틱컵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플라스틱컵 재질 변경을 논의중"이라며 "LDPE 재질의 비닐도 최대한 사용하지 않는 방안을 고려중"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일회용컵 보증금제가 시행되는 12월 이전까지 재질변경이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확답을 하지 못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2035년 NDC 61.2% 정해야...산업 경쟁력 강화할 기회"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최소 61.2%로 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15일 국회 기후행동의원모임 '비상'은 성명을 통해 "20

환경부 '낙동강 녹조' 독성조사 착수...공기중 조류독소도 조사

환경부가 환경단체와 함께 낙동강 녹조 조사에 착수한다.환경부는 15일 오후부터 낙동강네트워크,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 녹조 심화지역에 대한 조류

국립공원 개구리 산란시기 18일 빨라졌다...기후변화 뚜렷한 징후

국내 서식하는 개구리들이 기후변화로 산란시기가 앞당겨진 것이 확인됐다.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내 산림과 무인도서에서 장기간 생

호주 시드니 3°C 오르면..."온열질환 사망자 450% 급증할 것"

지구 평균기온이 3℃ 상승하면 호주 시드니에서만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약 450% 급증할 것으로 나타났다.15일(현지시간) 호주 기후청과 기후변화

美 온실가스 배출량 '깜깜이 국가' 되나...기업 의무보고 없앤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대형 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기후정책의 핵심자료였던 배출 데이터가 사라질 경

단비에 강릉 저수율 16.3%로 상승...아직 '가뭄의 끝' 아니다

이틀간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최악의 사태를 면했다. 하지만 가뭄이 해갈되기까지는 아직 갈길이 멀어보인다. 15일 강릉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