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태평양 쓰레기섬 범인 찾았다…한국이 3위 배출국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2-11-09 08:54:02
  • -
  • +
  • 인쇄
6일간 10톤 수거…80% 이상이 어업 폐기물
日 34%·中 32%·韓 10%…동아시아가 주범
▲대형 그물을 U자로 펼쳐 부유 폐기물을 모으고 있다(사진=오션클린업)

해양 쓰레기들로 이뤄진 '태평양 쓰레기 섬'의 폐기물 발원지 조사 결과 한국 폐기물이 세번째로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10월 11일 네덜란드 비영리 환경단체 '오션클린업'(Ocean Cleanup)이 '태평양 거대 쓰레기 지대'(Great Pacific Garbage Patch, GPGP)에서 6일간 플라스틱 쓰레기 10여톤을 끌어 올렸다. 이는 단일 수거 최고 기록이다. 

태평양 쓰레기 섬이라 불리는 쓰레기 지대는 미국 하와이와 캘리포니아 사이 약 160만㎢ 넓이에 바다를 떠다니는 해양 폐기물들이 모인 장소로 남한 면적의 16배나 된다. 오션클린업은 이 쓰레기 섬을 제거할 기술 개발을 위해 설립됐다. 오션클린업은 플라스틱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해 대형 선박 두 척으로 대형 그물을 U자 모양으로 펼쳐 바다 위에 표류중인 플라스틱 쓰레기를 모았다.

오션클린업이 쓰레기 표면에 적힌 언어와 상표, 로고 등을 이용해 플라스틱 6000여 점을 확인해 본 결과, 태평양 플라스틱 쓰레기 3분의 2가 일본(34%)과 중국(32%)였다. 나머지는 한국(10%), 미국(6.5%), 대만(5.6%), 캐나다(4.7%)가 차지했다.

또한 태평양 연안 해역의 쓰레기 대부분은 강을 통해 유입된 육지 쓰레기지만, 쓰레기 섬의 80% 이상은 그물, 부표 등 어업 폐기물이었다.

이에 대해 로랑 르브르통 오션클린업 연구책임자는 "우리는 대개 개발 도상국이 해양 플라스틱 오염의 원인 국가로 보고 있었지만 조사 결과는 정반대였다"며 "해양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강을 통해 바다로 유입되는 쓰레기를 막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말했다.

이어 "산업폐기물 처리 과정을 철저히 감시하고 어업과 양식업 종사자들의 인식 개선과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도시의 벌집 분석했더니...'미생물 정보' 고스란히 담겨

꿀벌로 도시의 미생물 분포를 추적하고, 이 정보를 공중보건에도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뉴욕 탠던 이공과대학교 엘리자베스 에나

'닭발 가로수' 사라지나...환경부 "가로수잎 75% 유지해야"

나무 몸통만 남을 정도로 가지를 싹둑 자르는 무분별한 가지치기를 제한하는 지침이 생겼다.31일 환경부와 국립생물자원관은 가로수 가지치기를 할 때

식물도 소리를 낸다고?...물부족하거나 줄기 잘리면 '딸칵' '펑'

식물도 소리를 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30일(현지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대학 연구팀은 식물이 물이 부족하거나 갑작스러운 손상을 입는 등 스트

친환경 가구부터 대체육까지…'커피박' 어디까지 변신할까?

식후커피를 즐기는 직장인 A씨는 점심을 먹은 뒤 챙겨온 텀블러를 들고 커피 전문점을 찾았다. 그런데 A씨는 문득 점원이 '커피 찌꺼기'를 처리하는 모

차량 배기필터 의무화됐지만...'초미세먼지' 못거른다

차량 배기가스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필터가 초미세먼지는 거의 거르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로이 해리슨(Roy Harrison) 영국 버밍엄대학

석유·천연가스 위험 간과한 손보사...9곳중 8곳 보험·투자정책 '0점'

기후리스크가 최대의 안보·경제 위협으로 지목받는 가운데 국내 손해보험사는 석유와 천연가스에 대한 보험 인수심사나 투자정책을 갖추지 못한

TECH

+

LIFE

+

순환경제

+

Start-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