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망치는 습식사료…건식사료 8배 탄소 뿜는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11-21 08:45:01
  • -
  • +
  • 인쇄
육류함량 풍부…탄소배출량 年6541kg
탄소발자국, 브라질 국민과 맞먹는 수준

습식 반려동물 사료가 건식사료보다 기후에 훨씬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현지시간) 브라질에서 습식사료의 탄소배출량이 건식사료 대비 8배나 더 많다는 연구결과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학술지에 발표됐다.

브라질의 연구팀은 반려견 전용식품 618가지와 반려묘 전용식품 320가지를 분석해 온실가스 배출, 토지 및 물 사용량, 비료로 인한 화학오염 등 각 식품의 성분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조사된 제품들은 브라질의 주요 반려동물 사료 소매업체 3곳에서 제공됐으며 가정에서 만든 수제식단도 일부 포함됐다.

분석 결과 습식이 환경적 영향을 가장 크게 미치는 반면 건식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제식단의 탄소발자국은 이들 사이에 있었다. 습식은 전체 칼로리 중 동물성 성분이 90%나 차지하는데 비해 건식은 45%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10kg 무게의 반려견에게 하루 약 500칼로리의 건식을 먹이면 연간 828kg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만 습식을 먹일 경우 배출량이 6541kg으로 증가한다고 밝혔다. 이는 연간 탄소발자국이 6690kg인 브라질시민의 평균과 거의 맞먹는 수준이다. 일반적인 습식사료를 먹는 동물은 인간과 동일한 수준의 탄소발자국을 낸다는 것이다.

일본에서도 개의 탄소발자국이 일본시민과 비슷할 수 있다는 연구가 나온 바 있다. 미국의 한 연구에서는 개 사료가 육류생산의 약 1/4를 차지한다고 분석했다.

오늘날 전세계 반려견·반려묘 수는 8억 4천만 마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그 수가 계속 증가하면서 반려동물 먹이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주목되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반려동물 사료는 대개 육류를 기반으로 하며 모든 식품 중 단연 환경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일부 반려동물 사료는 사람이 먹지 않는 내장, 뼈, 선지 등을 사용해 도축 부산물을 비교적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브라질에서는 도축 부산물의 약 13%만이 반려동물 사료에 쓰인다고 연구는 밝혔다.

전문가들은 곤충생산에 따른 CO2 배출량이 일반 육류보다 10배 낮아 곤충 등 대체단백질로 반려동물 사료를 보다 친환경적으로 만들 수 있다고 제안했다. 또 연구팀은 분석된 모든 제품이 반려동물 권장량보다 더 많은 양을 제공해 단백질과 지방의 공급을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식물성 단백질은 육류에 비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적다. 올해 4월에는 채식주의 식단이 영양학적으로 완전할 경우 오히려 개에게 더 건강하고 안전하다는 연구도 나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바다커튼·유리구슬...지구공학 방법론 온난화 억제 "효과없다"

지구공학 기술을 이용해 지구온난화를 대처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온난화를 막기는커녕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평가다.영국 엑스터대학 마

경기도민 89% "기후위기 심각…적극대응 필요하다"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기후위기 심각성을 인지하며 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경기도는 지

강릉시, 평창 도암댐 비상방류 한시적 수용..."20일 시험방류"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이 평창 도암댐의 물을 한시적으로 수용하기로 했다.강릉시는 환경부 장관 방문 이후 거론됐던 도암댐 도수관로 비상 방

강릉 저수율 12% '간당간당'...단수 상황에 곳곳에서 '아우성'

18만명 강릉 시민의 생활용수 87%를 책임지고 있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 12%가 붕괴되기 직전이다. 10일 오전 6시 기준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전일 같은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