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온종일 주운 폐지 104kg이 7280원…반토막 난 '삶의 무게'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1-13 09:27:34
  • -
  • +
  • 인쇄
1년전 1kg 142원 폐지값이 지금은 70원
폐지 줍는 어르신들 "한끼 밥값도 못벌어"
▲고물상 앞에 대놓은 김모씨 수레. 폐지 무게만 100㎏이 넘는다. ©newstree


경기도 고양시 일산의 한 고물상 앞. 오전 7시 무렵인데도 고물상 앞에는 이미 폐지와 고물이 가득 실린 수레들이 줄줄이 서 있다. 고물상은 오전 8시에 문을 열지만 한시라도 빨리 계산하고 동네를 한바퀴 더 돌려는 급한 마음에 이른 아침부터 고물상 앞에 사람들이 진을 치고 있었다.


고물상에 제일 먼저 도착한 김모씨(72)는 수레를 문 앞에 바짝 붙여놓고 근처 골목길로 들어갔다. 잠시 화장실이라도 가나 싶었는데 골목 어귀에 떨어진 폐지를 발견하고 줍기 위해서였다. "잔뜩 모아 오셨는데도 부족하시냐"는 기자의 질문에 김 씨는 "폐지값이 많이 떨어져서 덩치만 컸지 실속은 없어"라며 "가만히 기다리는 것도 아까우니 이렇게 짜잘한 거라도 줍는 거지 뭐"라고 답했다. 그는 이후로도 고물상 문이 열릴 때까지 40여분을 골목 구석구석 돌아다니며 골판지 박스와 양철 기름통 등을 더 주웠다.

이렇게 꾹꾹 쌓아올린 김씨의 폐지 무게는 104kg. 몸무게의 2배나 되는 폐지를 수레에 싣고 왔지만 그의 손에 쥐어진 것은 고작 7280원이었다. 1년전만 해도 1kg당 142원하던 폐지 가격이 지금은 70원으로 절반 이상 떨어지면서 김씨의 수입도 절반으로 줄었다. 오히려 운좋게 주운 자전거 1대로 4200원을 벌었다. 김 씨가 하루종일 동네를 돌며 고물과 폐지를 주워 번 돈은 1만1500원이었다.

한때 밥벌이가 됐던 폐지값이 폭락하자, 고물상에서는 종종 실랑이가 벌어지기도 한다. 박모씨(76)도 이날 "종이값이 왜 이러냐"며 고물상 주인에게 푸념을 늘어놨다. 해가 뜨지도 않은 새벽 5시부터 일산시장을 돌면서 폐지를 주웠는데 고생한 보람이 없었다. 박 씨는 "작년까지만 해도 1㎏에 120원~130원 해서 한 수레 모아오면 하루 밥값은 됐다"며 "그런데 지금은 밥값은 올랐는데 폐지값은 떨어지니 답답하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3년째 새벽마다 폐지를 주운 박모씨 ©newstree

폐지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에게 올겨울은 유난히 춥고 허전하다. 온종일 동네를 돌아다니며 주운 폐지값이 한끼 밥값도 안되기 때문이다. 

자원순환 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22년 12월 수도권 폐지 가격(골판지)은 1㎏당 평균 85원이다. 하지만 고물상에서 매입하는 폐지 가격은 이보다 조금 낮은 60~70원 정도다. 서울시에 있는 일부 고물상들은 1㎏당 40원에 매입하는 경우도 있다. 지난해 1월 1kg당 142원 했던 때와 비교하면 거의 폭락 수준이다.

이처럼 폐지 가격이 폭락한 이유는 경기침체 영향으로 폐지 수요가 급감했기 때문이다. 고물상을 통해 수거된 폐지는 제지 공장으로 옮겨져 재생용지로 만들어지거나 해외로 수출하게 된다. 그런데 전세계가 경기불황에 빠지면서 폐지 수요가 감소했다. 환경부 통계에 따르면 국내 폐지 수출량은 2022년 3월 5만톤(t)에서 11월 2만2000톤(t)까지 감소했다. 연초에 비해 절반이나 줄어든 것이다.

이 때문에 전국 고물상과 제지공장에는 폐지 재고가 쌓여있다. 2022년 12월 기준 국내 제지공장의 폐지 재고량은 20톤(t)에 육박했다. 지난해 10월 환경부가 넘쳐나는 폐지를 보관하기 위해 경기 양주와 안성 등 전국 6곳에 공공 비축창고를 마련했지만 역부족이다. 결국 폐지 재고가 쌓이면서 폐지 가격은 더 떨어지고 있다. 이 피해는 고스란히 폐지 수거로 생계를 이어가는 사람들에게 돌아가고 있다.

▲자기 몸보다 3배 큰 폐지를 모아 끌고오는 노인들 ©newstree

고물상을 하루에 6번 들른다는 이모씨(80)는 원래 폐지만 줍다가 얼마전부터 음료수 캔과 플라스틱 병도 줍기 시작했다. 알루미늄 캔은 1㎏당 1500원이나 되지만 모으기 어렵고 폐지처럼 차곡차곡 쌓기도 힘들어서 여태까지 줍지 않았다고 했다. 그런데 폐지 가격이 터무니없이 떨어지면서 음료수 병까지 줍고 있다. 이 씨는 "나이가 있으니 힘도 없어서 폐지만 조금씩 주웠는데 이젠 힘들어도 음료수 병까지 줍는다"면서 "배운 거 없는 노인네가 먹고 살려면 이것밖에 없으니…"라며 씁쓸한 표정을 지었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 따르면 폐지 수집만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노인은 전국에 1만5000여명이다. 이들은 하루 평균 11시간씩 수레를 끌고 12.3㎞를 이동하며 폐지를 줍는다. 그렇게 하루종일 움직여서 버는 돈은 평균 1만428원. 시급으로 환산하면 948원이다. 최저임금의 10%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

게다가 폐지 수집 노동시장에는 이 씨처럼 다른 수입원없이 온종일 폐지 수집에만 전념하는 노인, 공공일자리에 참여하거나 수급을 받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한 노인들이 있다. 대부분 저학력에 부양해줄 가족이 없고, 나이 때문에 할 수 있는 일이 없으니 건강이 나빠져도 폐지 줍기를 멈추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얼마 안있으면 설날인데 좀 쉴 수 있으시냐'는 기자의 질문에 이 씨는 "하루 벌어 먹고 사는 사람들이 쉬는 날이 어딨어요"라며 "오히려 설날 선물 덕분에 쓰레기가 많이 나오니까 부지런히 돌아요. 체력 좀 되는 사람들은 옆동네까지 원정가요, 거긴 주말에도 열거든요"라는 답이 돌아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