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칫거리 '굴껍데기'의 변신...탄소 99% 줄이면서 수입대체 효과도 기대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3-06 09:57:02
  • -
  • +
  • 인쇄
PMI바이오텍, 굴껍데기로 '고순도 탄산칼슘' 생산
용액공정으로 불순물 제거..."글로벌 시장 노린다"
▲굴 껍데기로 순도 99.5%의 탄산칼슘을 생산하는 PMI바이오텍의 박정규 대표 ©newstree

"여름철 통영 거제쪽 해안가 안 가보셨죠? 굴 썩는 냄새가 어마어마합니다."

우리나라 굴 껍데기 발생량은 연간 30만톤에 달한다. 굴 껍데기는 강력한 플라스틱 코팅사(絲)로 칭칭 감겨있다. 떼어내기 어렵다고 그대로 바닷속에 투기하는 바람에 해양·미세플라스틱 오염원으로 국제적인 지탄을 받고 있다. 건져서 쌓아두자니 악취가 난다.

그렇다고 태워버릴 수도 없는 노릇이다. 코팅사에 첨가된 가소재는 발암물질 2군으로 분류된 휘발성 유기물질(VOC)이다. 게다가 소각하면 굴 껍데기 1톤당 400kg가량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에서만 해마다 20만톤의 굴 껍데기가 소성로에서 1000℃ 이상의 열로 태워지고 있다.

이처럼 처치곤란한 굴 껍데기를 활용도가 무궁무진한 자원으로 탈바꿈시키는 곳이 있다. 바로 PMI바이오텍이 그 주인공이다. 이 회사의 박정규 대표는 "굴 껍데기는 92%가 탄산칼슘으로 이뤄져있다"면서 "태우면 부산물로 탄산칼슘이 남기 때문에 이를 활용할 수 있지만 소금기나 모래 등 불순물이 섞여있어 순도가 매우 낮은 편"이라고 말했다. 순도가 낮은 탄산칼슘은 쓰임새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그래서 PMI바이오텍은 굴 껍데기를 태우지 않고 녹이는 방식을 택했다. 굴 껍데기를 '용액공정'으로 탄산칼슘을 추출하는 기업은 PMI바이오텍이 세계에서 유일하다.

박 대표는 "굴 껍데기를 녹이면 소금기 등 불순물을 쉽게 걸러낼 수 있기 때문에 고순도 탄산칼슘을 얻을 수 있다"면서 "처리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고부가가치 산업과 연계하면 수익성도 보장된다"고 강조했다. 골칫덩이가 된 굴 껍데기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이라는 것이다.

PMI바이오텍이 굴 껍데기를 녹이는 용액공정 원리는 간단하다. 묽은 염산으로 굴 껍데기를 녹이면 칼슘이 이온 상태로 바뀐다. 어디든 통과할 수 있는 칼슘은 필터를 통과하게 된다. 굴 껍데기에 달라붙어 있는 모래가루, 뻘, 철가루 등의 불순물은 필터에 걸러진다. 이 찌꺼기는 위탁업체에 맡겨 절차에 맞게 처리한다.

굴 껍데기를 녹이면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는 포집해 정제작업을 거친 칼슘과 반응시킨다. 이렇게 하면 순도 99.5%의 '시약급' 탄산칼슘이 만들어진다. 순도 97.5%인 독일 화학기업 바스프(BASF)의 탄산칼슘 제품보다 순도가 더 높다. 바스프는 암석을 소성로에서 태워 탄산칼슘을 추출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만, PMI바이오텍은 이산화탄소를 99% 저감할 수 있다. 1kg당 단가도 바스프의 70% 수준으로 저렴하다.

▲용액공정을 거쳐 제조된 구연산칼슘(왼쪽)과 탄산칼슘 정제시설 (사진=PMI바이오텍)


순도가 높은 탄산칼슘은 활용처가 매우 많다. 제지를 만들 때 탄산칼슘은 종이 속의 빈틈을 채우는 '충전재'로 쓰인다. 종이의 원료인 펄프를 줄이기 위해 탄산칼슘 충전재가 약 40%가량 사용되고 있다. 이밖에도 두부나 우유 등에 식품첨가물로도 활용되고, 건강기능식품이나 세제, 사료, 친환경 비료 등의 원재료로도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고순도 탄산칼슘을 구연산과 결합시킨 구연산칼슘 시장만 놓고 보더라도 2017년부터 26% 성장해 2023년 시장규모가 8억7230만달러(약 1조14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국내 업체들과 관세청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2020년 국내 탄산칼슘 시장규모는 781억원에 이르지만, 98% 이상 고순도 탄산칼슘은 전량 수입하는 실정이다.

현재 PMI바이오텍은 거제에 굴 껍데기로 300톤 규모의 탄산칼슘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다. 박 대표는 "2027년에 거제에서 배출하는 굴 껍데기 5만톤 전량을 처리할 수 있는 규모로 시설을 확장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프랑스, 미국, 일본, 호주, 중국 등 전세계적으로 굴 양식 규모가 커지고 있어 굴 껍데기 문제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중국만 해도 굴 생산량이 500만톤을 넘어선 상황이다. 박 대표는 "수산부산물 자원가치가 어마어마하고, 해양환경을 지키는 일이 갈수록 중요시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가기보다 PMI바이오텍과 같은 시도를 통해 충분히 환경보전, 재활용, 온실가스 저감 부문에서 세계적으로 앞서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사업이 안정화되면 어업부산물 쓰레기 문제와 자원순환을 위한 지원금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체계적으로 지자체와 협업해 실리콘밸리와 같은 세계적인 친환경 단지를 만들어 지역균형 발전에도 기여하고 싶다"고 포부를 드러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