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야생에서 치타가 태어났다...멸종선언 70년만의 경사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3-31 14:32:25
  • -
  • +
  • 인쇄
인도 야생치타는 서식지 감소와 남획에 멸종
아프리카에서 들여온 치타 자연 교배로 출산
▲인도 쿠노 국립공원으로 이송된 아프리카 치타 (사진=연합뉴스)

치타가 멸종된지 70년 된 인도에서 야생에서 치타가 태어났다.

30일(현지시간) 힌두스탄타임스 등 인도 매체에 따르면 지난해 9월 아프리카 나미비아에서 인도 마디아프라데시주 쿠노 국립공원으로 데려온 야생 치타 8마리 가운데 암컷 한 마리가 최근 4마리의 새끼를 낳았다.

인도에서 치타 멸종이 공식 선언된 1952년 이후 처음으로 새끼 치타가 야생 환경에서 태어난 것이다.

JS 차우한 마디아프라데시주 삼림보호국장은 "한 암컷이 5일간 보이지 않아 암컷 몸에 부착된 무선송신기로 위치를 추적했고 서식처에서 새끼 4마리와 함께 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인도 정부는 지난해 9월 8마리에 이어 올 2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야생 치타 12마리를 더 들여왔다. 이들이 서식하는 쿠노 국립공원은 인도의 대표적 야생동물 보호지역으로 면적이 750㎢로 서울(605㎢)보다 넓다. 이 공원은 최고 시속 113㎞로 달릴 수 있는 치타가 먹이사냥을 하며 생활하기에 안성맞춤인 곳으로 알려져 있다.

아프리카에서 온 야생 치타 20마리 중 나미비아에서 온 한 마리는 최근 죽었지만, 나머지는 대체로 순조롭게 적응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나미비아에 온 다른 암컷 치타 한 마리도 현재 새끼를 가진 상태다.

동물전문가인 YV 잘라는 "치타는 스트레스가 없는 환경에서만 짝짓기한다"며 "새끼 4마리가 태어났다는 것은 치타들이 쿠노 국립공원에서 편하게 적응하고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인도의 치타는 한때 야생 생태계 먹이사슬의 최상위 포식자로 군림했지만 서식지 감소와 남획 등으로 멸종됐다. 인도 정부는 치타 복원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다가 수년 전부터 치타 도입에 다시 박차를 가하고 있다. 멸종위기에 처한 치타는 현재 전세계적으로도 7000마리 정도만 남은 것으로 추정된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두나무, 사내 ESG캠페인으로 1년간 1만8000kg 탄소감축

두나무가 임직원 대상 ESG 캠페인을 통해 지난 1년간 약 1만8000kg의 탄소를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24일 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기업 두나무는 지난 1년

HLB글로벌, 자원환경사업 소비재기업으로 물적분할

HLB글로벌이 모래 등 골재를 채취해 판매하고 있는 자원환경사업부를 물적분할해 B2C, D2C 등을 주력으로 하는 소비재 전문기업으로 분사시킨다.HLB글로

'재활용 기저귀' 일본에서 판매...'세계 최초'

재활용 기저귀 제품이 세계 최초로 일본에서 출시됐다.최근 마이니치신문은 일본의 위생용품 기업 유니참이 20일부터 규슈의 쇼핑센터와 자사의 온라

국제온실가스 감축인증, 이제 국내서도 받을 수 있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이 온실가스 감축 및 배출 검증분야에 대한 국제적인 통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오는 24일 국제인정협력기구(IAF)와 다자간상

[르포] '기후변화주간' 개막...일상속 탄소중립 실천방안 '한자리'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기후변화주간' 행사가 성황리에 개최됐다. 개막식부터 청중들이 좌석을 가득 메웠고, 개막

'ESG공시' 기후분야부터 의무화 추진...공개초안 주요내용은?

금융당국은 '기후' 분야부터 ESG 공시 의무화를 우선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지배구조가 기후리스크를 제대로 관리하는지 투자자들이 알 수 있도록 하고

TECH

+

LIFE

+

순환경제

+

Start-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