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성 곰팡이에 사람이 첫 감염..."온난화로 돌연변이 등장"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4-03 15:05:21
  • -
  • +
  • 인쇄
인도 남성 '자색꽃구름버섯' 진균 감염
"진균성 질병의 판도라 상자 열리는 것"
▲자색꽃구름버섯에 의해 감염된 남성의 목을 CT촬영한 사진. 빨간 동그라미가 감염으로 인한 기관지성 낭종이다. (사진=의학균류학사례보고)


인간이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감염되는 최초의 사례가 보고됐다.

2일(현지시간) 인도매체 다운투어스(DownToEarth) 등 외신에 따르면 인도 콜커타에 거주하는 61세 남성은 식물 병원체인 자색꽃구름버섯(Chondrostereum Purpureum) 곰팡이균에 감염됐다. 자색꽃구름버섯은 주로 장미과 식물들의 잎을 은백색으로 변색시키는 '은잎병'을 유발하는데, 사람이 감염된 사례로 보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남성은 석달간 쉰 목소리, 기침, 피로, 목넘김 어려움 등의 증상으로 고통을 호소하다 병원을 찾았다. 병원에서 CT촬영결과, 이 남성의 목에서 기관지성 낭종이 발견됐다. 원인을 쉽사리 특정할 수 없었던 담당 의사는 낭종에서 짜낸 고름 샘플을 세계보건기구(WHO) 협력센터에 보내 검진을 의뢰했다.

그 결과, 남성은 곰팡이의 일종인 자색꽃구름버섯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행히 이 남성은 두달간 항진균제 치료끝에 완치됐지만, 전문가들은 남성이 매우 건강한 상태였다는 점, 특히 식물에게만 병을 옮기던 식물 병원체 곰팡이가 인간에게 병을 옮긴 첫 사례라는 점을 들어 우려스러운 상황이라고 짚었다.

진균감염은 면역력이 약화된 상태에서 발생한다. 대식세포가 식균작용을 통해 곰팡이균을 충분히 먹어치우지 못했을 때 감염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2021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코로나19에 감염돼 면역력이 약화된 환자들은 털곰팡이에 의한 2차감염으로 4500여명이 사망했다.

하지만 자색꽃구름버섯에 감염된 이 남성은 당뇨, 신장병, 만성질환, 후천성면역결핍증, 면역억제제 복용 등의 이력이 없는 매우 건강한 상태였다. 이에 따라 식물 병원성 곰팡이인 자색꽃구름버섯이 우리 면역체계가 학습되지 않은 새로운 방식으로 체내에 침투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사례가 우연에 의한 것이 아니라 지구온난화에 의한 새로운 현상으로 진단하고 있다. 학계에 보고된 15만여개 곰팡이류 가운데 인간의 체온을 견딜 수 있는 소수의 곰팡이만 인간을 감염시킬 수 있다. 곰팡이는 통상 12~30℃에서 가장 잘 번식한다. 즉 '자연선택설'에 따라 변화하는 환경에 잘 적응한 개체가 살아남듯, 지구온난화에 따라 기온이 올라가면서 인간의 체온도 견딜 수 있는 '열 선택'을 받은 돌연변이 곰팡이들이 생겨났다는 것이다.

이번 사례를 찾아낸 콜커타병원의 소마 두타 의사는 국제학술지 '의학균류학사례보고'(Medical Mycology Case Reports)에서 "지난 수십년간 수많은 병원성 곰팡이들이 새롭게 나타났다"면서 "지구온난화와 인간활동으로 진균성 질병의 판도라 상자가 열리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간] ESG 전략 마스터 클래스: 실전 가이드

전략(S)–공시(D)–성과(P)를 연결하는 ESG 설계 기준서가 출간됐다. 이 책은 ESG 전략이 의무공시 체계에 부합하고 기업가치 제고의 실질적 도구로

KCC·효성중공업 건설PU '콘크리트 탄산화' 억제해 건물 부식 예방한다

응용소재화학기업 KCC가 효성중공업 건설PU와 손잡고 콘크리트 건축물의 탄산화를 억제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융복합 기술을 공동 개발했다고 29일

HD현대오일뱅크, 폐수 처리비 450억 아끼려다 1761억 과징금 '철퇴'

환경부가 특정수질유해물질인 페놀이 함유된 폐수를 불법적으로 배출한 HD현대오일뱅크에 대해 '환경범죄 등의 단속 및 가중처벌에 관한 법률'(이하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실사도 의무화해야"

올 6월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대응 관련조항이 빠져있어, 이를 추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기업인권환경실사법'은 기업의 인권과 환

아워홈, 실온에서 분해되는 ‘자연생분해성 봉투’ 2종 개발

아워홈은 ESG 경영 강화를 위해 친환경 제품 2종을 개발해 전국 단체급식, 외식 매장에 도입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친환경 제품은 자연생분

남양유업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참가 초등학생 1000명 모집

남양유업은 서울·경기권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하반기 교육신청을 오는 9월 9일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한다고 28일 밝

기후/환경

+

이 정도일 줄이야?...매일 미세플라스틱 6만8000개 '꿀꺽'

한 사람이 매일 6만8000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집안이나 차에서 흡입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28일(현지시간) 나디아 야코벤코 툴루즈대학 박사가

상반기 세계 온실가스 또 늘었다..."美 화석연료 사용 증가탓"

올 상반기동안 미국 제조업 분야의 탄소배출량이 증가하면서 전세계 탄소배출량이 늘어나는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나타났다.비영리단체 클라이밋 트

100년에 한번이던 유럽 대형산불..."기후변화로 10년꼴로 발생"

최근 그리스와 튀르키예, 스페인 등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한 가운데 앞으로 유럽에서 이같은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이 10배 높아졌다는 연구결과다.세

해상풍력 확대 필요하지만..."인권·환경 보호장치도 마련해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인권과 환경을 두루 고려해야 지속가능한 전환이 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이 입을 모았다.29일 국회 기후위기탈탄소경제

'톨루엔·자일렌' 화학물질...규제대상 아니라고 배출하다 '딱' 걸렸다

경기도의 일부 산업시설에서 미규제 오염물질을 계속해서 배출해온 것으로 드러났다.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경기 북부 산업시설 5종을 대상

'시베리아 흙탕물' 확산..."원인은 기후변화로 약해진 해류"

기후변화로 북극해 해류 흐름이 변하면서 시베리아 흙탕물이 수백km 밖까지 퍼지고 있다.극지연구소는 전미해·정진영·양은진 박사 연구팀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