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문별 책임자가 제도·사업 연계해야
이산화탄소보다 84배 강력한 온실가스 '메탄'을 감축하기 위한 재원이 실제 필요한 양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현지시간) 환경자문단체 클린에어 태스크포스(CATF)는 '메탄금융 확대를 가로막는 장벽과 해결책'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까지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2℃로 제한하기 위해 매년 1190억달러(약 157조원)가 투입돼야 하지만, 현재 '메탄금융'은 120억달러(약 16조원) 수준에 머물고 있다. 매년 1070억달러(141조원)의 결손이 발생하는 것이다.
조너선 뱅크스 CATF 메탄오염방지 글로벌 총괄이사는 "메탄 저감은 기후위기 대응 관점에서나 투자 관점에서 향후 20년간 가장 빠르게 효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이지만, 현재 메탄 저감에 투입할 수 있는 국제기금은 우려스러울 정도로 부족한 상황"이라며 "이번 보고서는 '메탄금융'을 가로막는 장애요인을 밝혀내고, 메탄 저감 수요와 금융 공급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메탄의 온실효과는 이산화탄소보다 최대 84배 강력하다. 대기중 메탄 농도는 이산화탄소의 200분의 1 수준이지만 지구온난화 기여도는 20%에 달한다. 하지만 대기중에 200년간 잔류하는 이산화탄소와 달리 메탄은 12년이면 사라지고, 적은 저감 실적으로도 큰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낮게 매달린 과일'로 불린다.
실제로 현행 기술만으로도 2030년까지 메탄배출량을 45%가량 감축할 수 있고, 2040년까지 기온 상승폭을 0.3℃가량 억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이에 지난 2021년 '글로벌 메탄 서약'에 150개국이 동참해 2030년까지 전세계 메탄 총배출량을 2020년 대비 30% 줄이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다자개발은행이나 주요국 정부에서 농업, 에너지, 폐기물 등 메탄 배출량이 높은 부문을 관장하는 별도의 책임자가 없어 메탄 배출에 대한 규제나 인센티브 등 제도적 지원도 미비하고, 이를 금융과 연결시킬만한 요인도 떨어지는 상황이다.
일례로 폐기물 부문의 경우 쓰레기를 발생시키는 생산자가 부담하는 처리비용이 적거나 수거와 선별 작업에 대한 보상이 매우 적다. 결국 폐기물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매립량이 늘어나고,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메탄 배출량도 늘어나게 된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심점을 만들어 투명성을 제고하고, 고부가가치로 연결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게 보고서의 주장이다.
뱅크스 이사는 "기금 마련도 중요하지만, 기금이 접근 가능하고, 실제 강력한 메탄 저감 실적을 갖춘 사업 모델과 연계될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며 선진국이나 다자개발은행이 리더십을 구축할 것을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