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 대기업 37% "스코프3 고려해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10-19 17:17:00
  • -
  • +
  • 인쇄
기후행동100+, 글로벌기업 평가보고서 발간

다국적 대기업들 가운데 스코프3 배출까지 고려해 장기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한 곳은 3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최대의 기후변화 투자자그룹 기후행동100+(Climate Action 100+)이 18일(현지시간) 발표한 2023년 공개 기업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다국적 대기업의 82%는 장기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했고, 87%는 중기 감축 목표를 설정했다. 그러나 이 목표 중 각각 37%와 33%만이 '스코프3' 배출을 고려하고 있다. 스코프3는 직접 생산을 포함해 유통, 사용, 폐기에 이르기까지 전체 공급망에서 발생하는 모든 탄소배출을 뜻한다. 

이에 보고서는 "기업들이 장기 온실가스(GHG) 감축 목표, 중기 온실가스 감축 목표, 기후관련 재무공개(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TCFD)에서는 개선된 성과를 보이고 있다"면서 "그러나 단기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토지, 공장 등의 이윤창출 유형자산획득, 국가 기후정책 참여, 정의로운 전환 및 온실가스 배출감축에 있어서는 아직도 미진하다"고 평가했다. 이는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제시한 2050년 탄소중립 시나리오(NZE)에 부합하는 전략을 채택한 기업들이 부족하다는 점을 더욱 뒷받침한다는 것이다.

기업들은 탄소중립 전환 계획에 대한 세부정보를 공개하고 있지만 이를 위한 탈탄소화 수단에 대한 정량적 분석은 부족했다. 평가대상 기업의 59%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조치를 파악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는 2022년 조사결과인 52%에 비해 증가했지만 기업 정책들이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기여하는 정도를 정량화 하기 위해 큰 진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보고서는 "전기자동차, 재생에너지 등 기업 기후솔루션은 좋은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고 했다. 주요 다국적 대기업의 29%가 지난해 기업 기후정책에 투자한 금액을 공개하고, 32%가 향후 기후솔루션에 할당할 자본적 지출의 가치를 명시했다. 보고서는 "기업 기후정책이 지난해 도입됐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는 매우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미국 거대 싱크탱크 인플루언서맵(InfluenceMap)은 "함께 실시된 기후정책 평가에 따르면, 부분적으로 파리협정에 부합하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기업의  실제 기후정책 참여활동은 파리협정 목표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기후정책 참여활동이 파리정 목표에 완전히 부합하는 기업은 4%에 불과했으며, 66%는 부분적으로 부합한다"고 밝혔다.

기후회계 및 감사 부분의 경우, 탄소추적 이니셔티브(Carbon Tracker Initiative, CTI)의 모든 기준을 충족하는 주요 기업은 아직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보고서는 "평가대상 기업의 7%가 지난해에 비해 기후회계 및 감사공개에서 실질적인 진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CTI 자본배분 평가에 따르면, 다국적 대기업의 23%는 NZE에 따라 석탄 자산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겠다고 발표했거나 이미 폐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9%는 석탄 자산의 완전한 폐기를 발표했지만 NZE에 부합하기에는 너무 늦은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전반적으로 석유 및 가스 회사의 설비투자 계획이 파리협정 목표에 부합하지 않고 있다. 특히 석유 및 가스 탐사와 생산단계인 '업스트림'의 경우 업계 전부가 NZE에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 보면 전기차 생산계획을 발표한 주요 완성차 회사들이 가장 탄소중립에서 고무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다. 반면 보고서는 "시멘트와 항공기업들은 파리협정에 부합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에 대해 글로벌 보험 기업인 제네랄리 그룹(Generali Group)의 프랑수아 험버트(François Humbert) 이사회장은 "단순한 약속에서 실행으로 무게 중심을 옮기기 위해서는 긴급한 조치가 필요하다"며 "더 많은 기업이 탄소중립 전환 계획을 공개하는 것은 고무적이지만, 이러한 계획이 파리 협정 목표를 어떻게 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글로벌 신약개발 역량 고도화"

글로벌 항암제 개발기업 'HLB'와 펩타이드 기반 신약개발 기업인 'HLB사이언스'가 합병한다.HLB와 HLB사이언스는 17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두 회사의 합병

[르포] 플라스틱을 바이오가스로?...'2025 그린에너텍' 가보니

17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개막한 '2025 그린에너텍(GreenEnerTEC)'의 주요 테마는 '바이오플라스틱'이라고 할 수 있었다.올해 4회를 맞이하는 그린에너텍

현대이지웰, 글로벌ESG 평가기관에서 '우수기업' 인증획득

현대이지웰이 글로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기관에서 우수기업을 인증하는 '브론즈' 메달을 받았다.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복지솔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기후/환경

+

규제에 꽉 막혔던 '영농형 태양광' 숨통 트이나

인구소멸과 에너지전환 해법으로 제시됐지만 각종 규제에 가로막혔던 영농형 태양광이 숨통을 틔울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영

방글라데시, 폭염에 年 17억달러 손실…"국제 재정지원 시급"

방글라데시가 폭염으로 연간 17억달러가 넘는 손실을 입고 있다는 분석이다.세계은행(World Bank)이 16일(현지시간)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방글라데시

북극 '오존 파괴의 비밀' 풀었다...얼음 속 '브롬 가스'가 단서

얼음이 얼 때 발생하는 브롬가스가 북극 오존층을 파괴하는 원인으로 밝혀졌다.극지연구소는 북극 대기 경계층의 오존을 파괴하는 '브롬 가스'의 새로

'가뭄에 단비' 내리는 강릉...저수율 16.7%로 상승

지난 주말 내린 비로 최악의 사태는 피해간 강릉에 또 비가 내리면서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7일 오전 6시 기준 16.7%로 전일보다 0.1%포인트(p) 높아졌다

구글 DC 하나가 57만톤 배출?…AI로 英 탄소감축 '빨간불'

영국에 설립될 구글의 신규 데이터센터(DC)가 연간 57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할 것으로 추정되자, 환경단체와 기후전문가들이 환경 영향에 대해 강력히

인천 온실가스 49% 비중 영흥화력..."2030년 문 닫아야" 촉구

수도권 내 유일한 석탄발전소인 인천 영흥화력발전소의 2030년 폐쇄를 촉구하는 시민사회 목소리가 모였다. 기후위기인천비상행동과 전국 시민연대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