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단상] "쓰려면 피로 써라" 니체가 던진 말

황산 (칼럼니스트/인문학연구자) / 기사승인 : 2024-02-26 10:51:15
  • -
  • +
  • 인쇄


쓰려면 피로 써라!

니체가 던진 유명한 말이다. 피로 쓴다는 것은 어떻게 쓰는 것일까? 우리는 잉크가 담긴 펜으로 쓰고, 손가락으로 자판을 두드리며 쓴다. 잉크 대신 피를 찍어 쓴다는 이미지가 풍기기도 한다. 대개 피는 생명을 의미한다. 일부 독자들은 피땀을 쏟는 열정 혹은 치열함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받아들인다. 그럼 니체가 단지 글쓰기의 열정을 표현하기 위해 '피'라는 메타포를 사용했을까?

수유너머의 니체 연구자와 '피로 쓴다'가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대화했다. 우리 두 사람은 니체가 '피'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는 '삶의 체험'이라고 해석했다. '차라투스트라'의 강조점은 언제는 천상에서 땅으로, 피안의 세계에서 대지로, 관념에서 몸으로, 형이상학에서 삶과 체험으로 향한다. 그러므로 '피로 쓴다'는 것은 자신의 몸으로 직접 체험하고 직접 사유하고 깨달은 것을 쓰는 뜻으로 보았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제1부 '읽기와 쓰기에 대하여'에 담긴 원문은 다음과 같다.
"일체의 글 가운데서 나는 피로 쓴 것만을 사랑한다. 쓰려면 피로 써라. 그러면 너는 피가 곧 넋임을 알게 될 것이다. 다른 사람의 피를 이해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나는 게으름을 피워가며 책을 뒤적거리는 자들을 미워한다."

자신의 체험과 삶을 그대로 담을 글이 곧 피로 쓴 글이다. 우리는 글을 잘 쓰려고 하고, 꾸미려 하며, 온갖 정보와 자료를 취합해 인용하고 편집하는 데 익숙하다. 글작업에 그러한 일이 필요하기도 하다. 하지만 니체의 말은 우리의 쓰기 방식에 일격을 가한다. 자신의 끈끈한 체험이 담긴 붉은 피의 잉크로 쓴 글이야말로 진정한 글이다.

피로 쓴 시를 읽었다.

희망과 야합한 적 없었다 결단코
늘 한발 앞서 오던 체념만이 오랜 밥이고 약이었음을

고백한다 밤낮 부레끓는 숨과 다투던 폐암 말기의 어머니
착같이 달아 펄떡이던 몸뚱이를
일찍이 반지하 시린 윗목에 안장한 일에 대하여
마지막 구원의 싸이렌마저 함부로 외면할 수 있었던 조숙한 나약함에 대하여
방 한 귀퉁이 중고 산소호흡기를 들여놓고
새벽마다 동네 장의사 명함만 만지작거렸다
그 어떤 신념보다 더욱 견고한 체념으로, 어김없이 날은 밝아
먼 산 기울어진 해도 저토록 가쁘게
가쁘게 도시의 관짝을 여밀 수 있음을 알았다 습관처럼
사랑을 구하던 애인이 어느 막다른 골목에서 뒷걸음질쳐 갈 때도
시험에 낙방하고 아무 일자리나 찾아 낯선 가게들을 전전할 때도
오로지 체념, 체념만을 택하였다 체념은 나의 신앙
그 앞에 무릎 꿇고 자주 빌었으며 순실히 경배하였다
체념하며 산 것이 아니라 체념하기 위해 살았다 어쩌면
이제 와 더 깊이 체념한다 한들 제 발 살 려 다 오
[후략]
출처 : 심장에 가까운 말(박소란 시집), 창비

박소란의 시 '체념을 위하여'의 앞부분이다. 그의 시들을 읽으며 아팠다. 시집을 손에서 놓을 수 없었다. 시적 화자는 불행에 익숙해져 있는 '우리'이자 '나'이기도 해서 더 깊이 공감했다. 특히 '체념을 위하여'는 체념 경험을 진술하고 고통을 노래하는 쓴 맛 나는 절망의 찬가로 느껴졌다. '사회적 약자와 시대적 아픔을 개성적 언어로 끌어안았다'는 문단의 좋은 평가보다 독자들의 심장이 더 우렁차게 공명하였으리라. 체념이 굳센 신념이 되어 버린 우리들의 자화상을 그대로 담아 생생하고 절묘하게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박소란의 시들에는 생생한 언어와 현장감이 느껴진다. 전체 이미지가 매우 현실감이 있고, 실재 경험으로 읽혀진다. 읽는 내내 시인과 시적 화자가 거의 구분되지 않는 듯 느껴졌다. 시 속의 화자는 불행과 상처에 매우 익숙해져 있다. 꾸민 고통이 아니라 경험한 불행으로 여겨진다. 여느 시들이나 작품들에서 흔히 읽을 수 있는 과장된 아픔이나 미화되고 조작된 고통과는 전혀 맛이 다르다. 우리들 내면에서 침묵하고 있는 침묵의 체념을 그대로 드러내는 시적 화자의 비명에서 우리는 숭고한 '피'를 맛본다.

글을 쓰다가 울었다. 작년 12월 어느 날, 동네 카페에서. 글을 쓰다가 순간 눈물이 울컥거리는 것을 감지하고는 머뭇거렸지만 쏟아져 내리는 눈물을 멈출 수가 없었다. 나는 두 손으로 눈을 감싸고 오래 흐느꼈다. 나의 서사를 쓰는 중이었다. 아, 그 때 나는 정말 힘겨웠구나, 아팠구나, 두려웠구나, 외로웠구나, 슬펐구나! 눈물을 흘린 후 나는 맑아졌다. 이후 며칠 내내 나 자신에 대해 사유했다. 나를 공부했다.

"인간이 배우기 가장 어려운 것은…바로 타인의 슬픔이다."

평론가 신형철이 <슬픔을 공부하는 슬픔>에서 말한 대목이다. 그 이유는 우리가 '타인의 몸속에서 뛸 수도 없고 타인의 슬픔 때문에 멈추지도 않는 한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는 이렇게 말한다. "나는 오늘도 당신의 슬픔을 공부한다. 그래서 슬픔에 대한 공부는, 슬픈 공부다."

나는 나의 슬픔을 공부한다. 그리 슬프지도 아프지도 않다. 타인의 슬픔에 대해 냉정하리만큼 무감각하면서 오히려 드라마를 보면서 울기를 잘 하는 우리, 정반대로 타인의 슬픔과 비극을 목격하면서 분노하며 복수의 기획을 하기도 하는 우리, 과연 자신의 슬픔의 깊은 곳에 닿아 본 적이 있을까? 나는 나의 슬픔을 공부하고 있다. 때늦은 공부이다. 타인의 슬픔이 더 잘 보인다.

피로 글을 쓴다는 것은 자신의 삶을 쓰는 것이다. 자신의 삶을 살아낸다는 것은 자기 삶의 서사를 쓰는 일이기도 하다. 피로 쓴 글, 작품, 말은 체험적이며 간증적이며 고백적이다. 그런 의미에서 글쓰기는 삶쓰기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하나금융, 장애인 거주시설 개보수·친환경 차량 지원

하나금융그룹이 장애인의 건강한 일상과 이동권 보장을 위해 노후화된 장애인 거주시설 개보수 및 친환경 차량 지원사업을 실시한다고 24일 밝혔다.이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 25일까지 개최

자동차 부품산업의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하는 '2025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가 서울 서초동 aT센터에서 23일부터 25일까

KB국민은행, 서울숲에서 어린이 꿀벌 체험 프로그램 진행

KB국민은행은 생태계 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자 서울숲 꿀벌정원에서 어린이 꿀벌체험 '안녕, 꿀벌'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이번 프로그램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기후/환경

+

화석연료 기업들 배출한 온실가스...30년간 28조달러 폭염피해 유발

지난 30년동안 전세계 화석연료 기업들로 인한 폭염 피해가 28조달러(약 4경185조원)에 달한다는 분석이다.미국 스탠퍼드대 크리스토퍼 캘러핸 박사와

습지 미생물 메탄배출량 대폭 증가...원인은 기온상승

기온이 오를수록 습지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메탄배출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3일(현지시간) 미국 스미소니언 연구소는 메릴랜드주 스미소니

美 원격진료가 의료와 교통의 탄소발자국 줄였다

미국에서 '원격진료'가 증가하면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해 기후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UCLA 데이비드 게펜 의과

"새끼는 안굶겨"...남극 '아델리펭귄'의 영리한 사냥전략

남극에 사는 아델리펭귄이 주변환경 변화에 따라 사냥 전략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24일 극지연구소는 남극 로스해 아델리펭귄 약 50여마리의 이

대지진 참사 2년만에 또?...이스탄불 인근서 규모 6.2 지진

튀르키예 이스탄불 인근 해상에서 규모 6.2의 지진이 발생해 151명이 부상을 입었다.23일(현지시간) 낮 12시49분경 독일지구과학연구센터(GFZ)는 이같이 밝

한반도 바다 이대로 괜찮나?...해수온 벌써 1.58℃ 상승

1968년부터 2024년까지 지난 57년간 지구의 표층 수온은 0.74℃ 상승했는데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은 이보다 2배 높은 1.58℃까지 상승했다.해양수산부 국립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