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단상] 나와 그녀의 <세월>

황산 (칼럼니스트/인문학연구자) / 기사승인 : 2024-04-02 08:30:03
  • -
  • +
  • 인쇄


"나는 체험한 것만 쓴다."

2022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프랑스의 작가 아니 에르노의 말이다. '직접 체험하지 않은 허구를 한 번도 쓴 적이 없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단언하는 그녀는 자전적인 이야기를 솔직하고 투명하게 여러 작품에 풀어냈다. 에르노는 그녀의 대표작 <세월>에서 자신이 살아온 세월을 회상하며 온갖 기억들의 조각들을 시간 순서에 따라 이야기한다. 오래된 '사진' 장면에 대해서 말하기도 하고, 자신이 체험한 어떤 일의 기억을 묘사하기도 하고 '비디오영상'을 설명하기도 한다. 마치 일기와 아포리즘, 인용문들과 메모 조각을 편집한 듯한 느낌을 주는 작품이다. 그래서 전혀 소설처럼 느껴지지 않는다.

1. 소설 <세월> 속 그녀

소설 속 화자는 '그녀'다. 그녀는 '개인의 것이지만 세대의 변화가 녹아있는 삶'을 다룬 이야기를 쓰고 싶었다. "여자의 운명같은 것에 대한 글"(210), "오늘을 살아온 한 여성에 대한 이야기"(272)를 모으고 싶었다. 그녀는 그런 글을 쓰고자 하는 생각과 열망을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1940년과 1985년 사이, 여성의 운명같은 것에 대한 글을 써야겠다는 생각이 그녀의 머릿속에 떠올랐다." 1985년
"그녀는 태어나면서부터 2차 세계대전을 거쳐 지금까지 분리되고 조화가 깨진 그녀만의 수많은 장면들을 서사의 흐름, 자신의 삶의 이야기기로 한데 모으고 싶어한다." 1992년
"1940년부터 오늘을 살아온 한 여성에 대한 글을 써야겠다는 그녀의 계획은, 실현하지 못했다는 설움에 죄책감마저 더해져 점점 더 그녀를 붙잡는다." 1993년
"20년째 자신의 분신이자 동시에 앞으로 점점 더 긴 시간을 보내게 될, 아직 미완성인 수천개의 메모 상태에 불과한 이 책을 시작해야만 한다." 1999년 추정
"영감을 받은 단어들이 마법을 부려 등장하는, 형언할 수 없는 세상은 없으며 그녀는 자신을 분노하게 만드는 것들에 대항할 수 있다고 믿고 있던 유일한 도구, 오직 자신의 언어 안에서만, 모두의 언어 안에서만 쓸 것이다 그러므로 써야할 그 책이 투쟁의 수단인 것이다. 그녀는 이 야망을 버리지 않았다.…"
"생각하고, 말하고, 글을 쓰고, 일하고, 다른 방식으로 존재하기"

에르노는 인터뷰집 <진정한 장소>에서 <세월>을 쓴 이유와 과정을 세세하게 언급하며 일종의 구원의 충동과 같은 것을 고백한다.

"40세 즈음에 제 인생을 생각하면서 전 세계와 프랑스에서 전쟁 후부터 1980년 사이에 일어났던 변화들을 놀라워하며 지각하기 시작했어요. 특히 여성들에게 일어났던 변화들을요. 제가 써야 했던 책은 바로 그것, 저의 내부와 저의 외부에서의 시간의 흐름에 대한 것이었죠. … 저는 전쟁 이후부터 오늘날까지, 제가 의식하게 된 순간부터 일어났던 모든 일들을 구하지 않는다면 제 인생의 무언가를 구원할 수 없다고 생각했어요."

2. '나'와 '그녀' 사이

"그녀의 가장 큰 고민은 '나'와 '그녀' 사이의 선택이다. '나' 안에는 너무나 확고부동한 것들, 편협하고 숨막히는 무언가가 있고, '그녀' 안에는 너무 많은 외재성과 거리감이 있다.' <세월>, 238

소설 속 이야기는 '그녀'의 이야기로 전개된다. 에르노는 글 쓰는 자신과 글에 등장하는 자신을 분리시키고 있다. 왜 자신과 소설 속 인물 사이에 거리를 두고자 했을까? 먼저 자기 자신을 관찰하는 성찰적 거리를 확보하려는 것일 게다. 적절한 거리를 둘 때 보다 냉정하고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자신의 작품이 개인의 진실을 넘어 역사 및 사회적 진실을 담아내기를 바라는 기대가 담겨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녀'의 이야기로 전개되므로 작가 자신이 주인공 혹은 특별한 존재로 초점화 되지 않는다. 에르노와 작품 속 화자 사이의 이러한 거리는 역설적으로 이야기의 순도를 높여준다. 사실성과 진실성의 농도 말이다.

나의 이야기를 3인칭으로 말하고 자신의 서사를 다른 사람의 이야기로 말하는 일은 단지 문학적 기법에 불과한 것이 아니다. 이는 1인칭 주체를 내던지고 '나'라는 틀을 벗어나는 탈주이자 새로운 자신을 생성하는 창조적 배치이기도 하다. 누구든 자신의 이야기를 3인칭으로 들려줄 수 있고, 자신의 '세월'을 서사로 쓸 수 있다.

정신분석학에서는 자기 생각이나 자기 이야기를 '그' 혹은 '그녀'의 것으로 말하면 병리적인 징후로 본다. '엄마, 철수가 배가 고파요." 서너 살 먹은 아이가 엄마에게 이런 식으로 말하는 것은 용인되지만 학령기 어린이나 성인이 그렇게 말하면 다들 화들짝 놀란다. 하지만 글 쓰는 이는 그런 식으로 말할 자유와 권리를 지녔다. 아니 그런 거리 만들기와 분열적 배치가 글쓰기의 역동을 일으킨다. 이를 통해 글을 쓰는 이는 자기 자신으로부터 벗어난다. 자기 삶을 조망하고 스스로를 이해하고 재해석하게 된다. 이는 일종의 해방의 경험이자 힐링의 순간들이다. 그래서 작가는 쓰기를 멈추지 않는다. '나'를 벗어나는 희열과 자기 자신을 발견하고 재구성하는 힘이 쓰기 과정에서 솟구치기 때문일 것이다. 사르트르가 말했듯이 과연 글쓰기는 글 쓰는 자신을 구원한다.

"우리의 작품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은 우리 자신일 따름이다. 작품을 판단하는 규준을 만든 것은 우리 자신이며, 우리가 거기에서 알아볼 수 있는 것은 우리의 역사이며 우리의 사랑이며 우리의 기쁨이다." 사르트르, <문학이란 무엇인가>

3. 나의 세월과 서사

<세월> 속의 그녀는 누구인가? 한 여성 아니 에르노다. <세월>을 읽는 독자는 에르노가 '그녀'에 대해 그랬던 것처럼 약간 거리를 두고 소설 속 '그녀'를 볼 수 있다. 그녀는 고유하고 유일하다. 그녀는 20세기 후반의 프랑스에서 살았던 한 사람의 유럽인이자 지식인 여성이다. '그녀'를 현대인이라는 보편적 주체나 모든 여성을 대표하는 여성으로 볼 순 없다. 무엇보다도 '그녀'는 나와 다르다. 그녀 아니 에르노는 그녀의 세월을 살았다. 우리는 우리의 세월을, 나는 나의 세월을 산다.

<세월>을 읽으면서 나의 <세월>을 조망하고자 하는 열망이 생긴다면 큰 행운이다. 이 소설이 우리에게 던지는 가장 고귀한 선물이 하나 있다. 자신의 세월을 기억하고 쓰도록, 지금의 세월을 맘껏 살아가도록 나의 시간과 서사 감각을 일깨우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셀트리온, 근로자 건강증진활동 우수사업장에 선정

셀트리온은 최근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으로부터 '근로자 건강증진활동 우수사업장'에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근로자 건강증진활동 우수사업장은 한

ESG펀드 성과 지속향상 추세..."금융배출량 관리가 관건"

국내 ESG펀드 성과가 지속적으로 향상되는 가운데 이들 펀드는 탄소배출량과 그에 따른 리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탄소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

하나금융, 금융권 최초 지속가능 '임팩트 공시협의체' 가입

하나금융그룹이 국내 금융권 최초로 미국 JP모건(JPMorgan Chase & Co)과 프랑스 나틱시스은행(Natixis CIB)이 2023년 4월 공동 발족한 임팩트 공시협의체(Impact

'자연자본이 기업 핵심가치'...ISSB '생물다양성 공시' 기준 마련 착수

국제지속가능성표준위원회(ISSB)가 생물다양성 리스크 공시 기준을 세우기 위한 조사에 착수했다.국제회계기준(IFRS) 산하 ISSB는 지난 23일(현지시간) 성

함께 달리며 나무기부...현대차 '롱기스트 런' 참가자 모집

현대자동차가 '함께 달려 나무를 심는 롱기스트 런'이라는 슬로건 아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달리기 캠페인 '롱기스트 런 2024'를 실시한다.지난 2016

'탄소중립포인트' 카카오머니로 받는다...카카오-환경부, 협약체결

환경을 지키기 위해 카카오, 카카오페이, 카카오모빌리티가 환경부와 함께 탄소중립 실천에 함께한다.카카오는 26일 경기도 카카오 판교아지트에서 환

TECH

+

LIFE

+

순환경제

+

Start-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