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해변가 뒤덮은 '미스터리 물질'...정체 밝혀졌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11-08 16:25:25
  • -
  • +
  • 인쇄
▲캐나다 동부 뉴펀들랜드 해안에 나타난 미스터리 물질 (사진=필립 그레이스 페이스북)

캐나다의 한 해안가를 뒤덮은 미스터리 물질의 정체가 밝혀졌다.

7일(현지시간) 화학자 크리스 코작 박사가 이끄는 뉴펀들랜드 메모리얼대학 연구팀은 뉴펀들랜드 해안에 떠밀려온 흰색 덩어리가 석유공장 파이프 청소에 사용되는 물질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 미스터리 물질은 지난달 해안가 46km에 걸쳐 수백개씩 떠밀려 들어왔고, 동전 크기부터 접시 크기까지 다양했다. 연구에 사용된 물질 샘플은 플라센티아만에서 채취됐다.

코작 박사가 가장 먼저 한 일은 찔러서 냄새를 맡는 것이었다. "이 간단한 첫 관찰이 많은 정보를 주었다"고 코작 박사는 말했다. 그는 "찔러보니 확실히 고무질이었고, 과하게 익은 빵 반죽 같아 엘라스토머 폴리머로 의심됐다"면서 "냄새는 철물점에서 나는 것과 비슷했다"고 설명했다. 방출된 물질의 성격과 규모로 봤을 때 산업 과정에서 만들어진 인공물이라고 코작 박사는 추정했다.

연구팀은 처음에 이 물질이 어업용 보트 단열재로 쓰이는 폴리우레탄 폼이라고 가정했다. 하지만 폴리우레탄에 함유돼 있는 탄소, 수소, 질소, 산소 중 질소가 발견되지 않았다. 유황도 발견되지 않아 폴리우레탄과 유황이 포함된 모든 천연소재를 배제했다고 코작 박사는 설명했다.

이 사실은 지난달 캐나다 환경부가 해당 물질이 식물성일 수 있다고 밝힌 것과는 다르다. 이어 코작 박사는 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해 운송업계에서 접착제로 자주 사용되는 폴리염화비닐과 일치하는 화학 결합을 발견했다. 질량분석 시험에서는 해당 물질이 합성고무의 특성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코작 박사는 "8가지 테스트 결과 합성물질로 판명났다"고 말했다.

이번 발견은 해당 물질이 유조선에 석유를 공급하는 파이프를 청소하는 데 사용되는 부틸 고무 PVA 복합재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연구팀의 이론을 뒷받침했다. 이로써 지역주민과 전문가 모두를 당혹스럽게 만들었던 미스터리가 풀렸다.

코작 박사는 "아무도 화학자에게 연락할 생각을 하지 않은 게 웃기다"며 "다들 각자의 의견과 추측이 있었지만, 아무도 과학적이고 실험적인 관점을 취하지 않았다"고 웃었다.

부틸 고무 PVA 복합재는 독성이 없고 안전한 물질이다. 다만 코작 박사는 "이는 분명한 플라스틱 오염"이라고 지적하며 물질의 밀도가 물보다 높아 대부분 해저 깊이 가라앉는다는 점을 우려했다.

코작 박사는 "물질의 상당수는 바다 밑바닥에 가라앉아 조수의 흐름에 따라 휘저어지고 있을 것"이라며 "모양 때문에 해양생물이 먹이로 오인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코작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를 연방정부에 전달했지만 아직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캐나다 법률에 따르면 수중에 유해물질을 방출한 기업에게는 최대 600만 캐나다달러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코작 박사는 "이 물질이 무엇인지 밝히고 주민들에게 마음의 평화를 줄 수 있어서 기쁘다"며 "이제 이 물질이 어디에서 왔는지, 누구에게 책임이 있는지 알아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산업은 지역발전에 중요하지만 동시에 끔찍한 환경오염을 남길 수도 있다"고 힘줘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간] ESG 전략 마스터 클래스: 실전 가이드

전략(S)–공시(D)–성과(P)를 연결하는 ESG 설계 기준서가 출간됐다. 이 책은 ESG 전략이 의무공시 체계에 부합하고 기업가치 제고의 실질적 도구로

KCC·효성중공업 건설PU '콘크리트 탄산화' 억제해 건물 부식 예방한다

응용소재화학기업 KCC가 효성중공업 건설PU와 손잡고 콘크리트 건축물의 탄산화를 억제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융복합 기술을 공동 개발했다고 29일

HD현대오일뱅크, 폐수 처리비 450억 아끼려다 1761억 과징금 '철퇴'

환경부가 특정수질유해물질인 페놀이 함유된 폐수를 불법적으로 배출한 HD현대오일뱅크에 대해 '환경범죄 등의 단속 및 가중처벌에 관한 법률'(이하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실사도 의무화해야"

올 6월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대응 관련조항이 빠져있어, 이를 추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기업인권환경실사법'은 기업의 인권과 환

아워홈, 실온에서 분해되는 ‘자연생분해성 봉투’ 2종 개발

아워홈은 ESG 경영 강화를 위해 친환경 제품 2종을 개발해 전국 단체급식, 외식 매장에 도입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친환경 제품은 자연생분

남양유업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참가 초등학생 1000명 모집

남양유업은 서울·경기권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하반기 교육신청을 오는 9월 9일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한다고 28일 밝

기후/환경

+

이 정도일 줄이야?...매일 미세플라스틱 6만8000개 '꿀꺽'

한 사람이 매일 6만8000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집안이나 차에서 흡입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28일(현지시간) 나디아 야코벤코 툴루즈대학 박사가

상반기 세계 온실가스 또 늘었다..."美 화석연료 사용 증가탓"

올 상반기동안 미국 제조업 분야의 탄소배출량이 증가하면서 전세계 탄소배출량이 늘어나는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나타났다.비영리단체 클라이밋 트

100년에 한번이던 유럽 대형산불..."기후변화로 10년꼴로 발생"

최근 그리스와 튀르키예, 스페인 등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한 가운데 앞으로 유럽에서 이같은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이 10배 높아졌다는 연구결과다.세

해상풍력 확대 필요하지만..."인권·환경 보호장치도 마련해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인권과 환경을 두루 고려해야 지속가능한 전환이 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이 입을 모았다.29일 국회 기후위기탈탄소경제

'톨루엔·자일렌' 화학물질...규제대상 아니라고 배출하다 '딱' 걸렸다

경기도의 일부 산업시설에서 미규제 오염물질을 계속해서 배출해온 것으로 드러났다.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경기 북부 산업시설 5종을 대상

'시베리아 흙탕물' 확산..."원인은 기후변화로 약해진 해류"

기후변화로 북극해 해류 흐름이 변하면서 시베리아 흙탕물이 수백km 밖까지 퍼지고 있다.극지연구소는 전미해·정진영·양은진 박사 연구팀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