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커넥트포럼] 이유진 소장 "탄소중립 2.0 시대...한국은?"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11-25 15:24:54
  • -
  • +
  • 인쇄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소장이 25일 서울 서초구 한국컨퍼런스센터에서 '글로벌 탄소중립 2.0 시대 한국의 과제'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newstree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소장은 "탄소중립 2.0 체제는 이미 시작됐고 우리가 피할 수 없는, 도달해야 할 미래"라며 "탄소중립 목표와 이행에 있어 에너지 전환과 연결해 적극적으로 움직여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이유진 소장은 25일 뉴스트리와 유니원커뮤니케이션즈 주최로 서울 서초구 한국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2024 ESG커넥트포럼: 2025 기후통상과 에너지전환 전망과 전략'에서 '글로벌 탄소중립 2.0시대 한국의 과제'을 주제로 한 기조연설을 통해 "에너지 산업이 탄소중립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이 소장은 세계선거의 해를 거치며 기후위기 대응이 우선순위에서 밀려나긴 했지만 이것이 세계 정세를 깨뜨리진 않을 것이라며, 화석연료사회의 관성과 그린래시가 발생해도 탄소중립을 향한 목표는 흔들리지 않고 기후위기가 심해지며 기후이행 점검체계는 강화될 것이라고 보았다.

이 소장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공약에서 에너지를 핵심으로 내세우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에 따르면 재당선된 폰 데어 라이엔의 EU와 트럼프가 집권할 미국의 정책은 방향성이 다르지만 목표는 같다. 인플레이션을 잡는다, 그리고 저렴한 에너지 가격을 확보해 제조업을 강화하겠다는 점이 공통점이다.

이런 가운데 중국은 청정에너지 부문에서 압도적으로 성장하며 청정에너지 부문이 GDP 성장의 40%를 차지했다. 2025년 청정에너지 1200GW 확대 목표를 6년 앞당겨 달성했으며 EU, 미국 등이 관세를 통해 중국을 막으려 하지만 어려울 것이라고 이 소장은 분석했다.

문제는 이렇게 급변하는 세계 정세에서 한국이 대응할 준비가 되어있느냐다. 이 소장은 "한국은 주요한 산업전환 정책이 부재해 급변하는 세계 정세를 읽지 못하고 있다"며 모든 국가가 탄소중립을 경제정책으로 도입하고 있는 와중에 벌어지는 격차를 한국은 과연 준비가 되어 있는지에 큰 우려를 드러냈다.

한국은 2024년 탄소중립 국가기본계획 사업 예산으로 17.2조원을 목표했으나 정부는 14조 원 밖에 편성하지 않았고, 국회에서 이마저도 더 깎여 13.8조 원으로 확정됐다. 계획에 3.4조 원(19.8%)이나 미달된 셈이다. 여기에 한국의 재생에너지 전력비중은 최하위다.

이 소장은 "국내 정책에서 그린뉴딜은 사라지고 기후테크만이 남았다"며 "2027년부터 본격화될 국제 정책에 대비할 방안, 산업 전반에 대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내년에 2035년 NDC 목표를 제출하고 공시체계도 정부 지원으로 빠르게 갖춰 제품 생산 전과정에서 탄소관리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소장은 이미 EU가 만든 제도가 공급망을 통해 세계적으로, 우리나라 기업들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주요 규제가 시행되는 2027년이 되기 전에 준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2025 그린에너텍' 17일 개막...환경·에너지 기술 한자리에

환경산업 전문 B2B 전시회 '2025 그린에너텍(GreenEnerTEC)'이 오는 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다.올해 4회째를 맞이하는 그린에너

"화력발전 최소발전용량이 재생에너지 가로막아"...공익감사 청구

화력발전을 과도하게 우대한다고 비판받는 최소발전용량과 관련해,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가 제기됐다.기후솔루션과 당진환경운동연합은 3일 서울

가축분뇨를 농촌 에너지로 활용...기아, 홍성에 시설 지원

기아가 홍성에서도 온실가스 감축과 지역사회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가축분뇨의 자원화 및 에너지화에 나선다.기아는 지난 2일 충남 홍성군청에서

삼성전자도 구글처럼 '워터 포지티브' 사업...환경부와 '신풍습지' 개선

기업이 사용하는 물보다 더 많은 물을 자연에 돌려보내는 '워터 포지티브' 사업이 국내에서 첫 착공식을 가졌다.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2일 오후

마실 물도 부족한 강릉 시민들...지자체와 기업들 생수기부 '쇄도'

4개월 넘게 비가 내리지 않고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 시민들에게 전국 각처에서 생부 기부가 끊이지 않고 있다. 강릉시는 기부받은 생수를 취약

한국의 탄소발자국 검증제도, 이탈리아와 상호인정 첫 사례 탄생

우리나라가 이탈리아와 탄소발자국 상호협정을 체결한 이후 양국에서 상호인정을 받은 첫 사례가 나왔다.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기업 지클로(G.CLO)의

기후/환경

+

해초 덩어리 '넵튠 볼'...미세플라스틱 필터가 된다고?

바다에 미세플라스틱이 만연해지면서, 해초와 미세플라스틱이 공처럼 뭉쳐진 이른바 '넵튠 볼'이 지중해 해변에 떠밀려오고 있다.스페인 바르셀로나

중앙아시아 빙하도 남극의 빙산도 '빠르게 줄고 있다'

기후변화로 지구 평균기온이 계속 상승하면서 견고하기로 소문난 중앙아시아의 빙하가 녹기 시작했고, 세계 최대 빙산의 하나로 꼽히는 남극의 '메가

"화력발전 최소발전용량이 재생에너지 가로막아"...공익감사 청구

화력발전을 과도하게 우대한다고 비판받는 최소발전용량과 관련해,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가 제기됐다.기후솔루션과 당진환경운동연합은 3일 서울

아프간 동부 연속 지진에 '폐허'...사망자 하루새 2배 늘어

2년만에 아프가니스탄에서 또 지진이 발생해 수천명이 목숨을 잃고 있다.이번 지진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오후 11시47분쯤 아프간 동부 낭가르하르주

태풍 '페이파' 日 향해 북상...강릉에 '가뭄에 단비' 될까?

일본 오키나와 남쪽 해상에서 생성된 열대저압부가 곧 제15호 태풍으로 발달해 북동진한다는 이동경로가 발표되면서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을

강릉 저수율 14% 붕괴...제한급수인데 수돗물 사용량이 그대로?

강릉 시민들에게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3.9%까지 내려갔다. 소방차와 물탱크 차량까지 동원해 저수지에 물을 쏟아붓고 있지만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