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값' 또 도미노 인상?...농심, 14개 라면가격 일제히 올렸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3-06 12:09:16
  • -
  • +
  • 인쇄
▲농심이 신라면 등 라면값을 다시 인상했다. (사진=연합뉴스)

농심이 이달 17일부터 신라면과 안성탕면 등 가격을 일제히 올리기로 함에 따라, 삼양식품과 오뚜기 등 다른 라면업체들도 줄줄이 가격을 인상할 것으로 보인다. 

6일 농심은 "그동안 라면과 스낵 원가에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팜유와 전분류 등의 구매비용이 증가했지만 원가절감과 경영효율화 등을 통해 견뎠다"면서 "하지만 이로 인해 경영여건이 더 악화되기전에 가격을 인상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농심 신라면 등 14개 라면 브랜드와 3개 스낵 브랜드의 출고가가 평균 7.2% 인상된다.

사실 라면업계는 원재료값 인상에 따라 지난 2022년 8~9월 사이에 가격을 줄줄이 인상했다. 당시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면서 원자재값이 폭등한 데다, 기상이변까지 겹치면서 곡물 수확량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밀 자급률이 1% 미만인 우리나라는 글로벌 시장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에 당시 농심과 오리온 등 라면과 스낵업체들은 원가부담을 더이상 견디지 못하고 가격을 줄줄이 올렸다.

그러나 이듬해인 2023년 정부는 '밥상물가' 안정을 이유로 라면을 콕 집어서 '가격인하'를 압박했다. 당시 추경호 기획재정부 장관 겸 부총리는 라면업체를 정면으로 겨냥하면서 압박했고, 업체들은 정부의 계속되는 압박에 일부 제품의 가격을 찔끔 인하했다. 농심도 당시 신라면 가격을 1000원에서 950원으로 내렸고, 새우깡도 1500원에 1400원으로 내렸다. 

농심이 가격을 내리자, 삼양라면도 12개 라면제품의 가격을 4.7% 내렸다. 오뚜기도 스낵면과 진짬뽕 등 15개 제품의 가격을 평균 5% 인하했다. 스낵업체들도 가격인하 행렬에 동참했다. 롯데웰푸드와 해태제과, SPC까지 제품가격을 인하하겠다고 발표한 것이다. 이 업체들이 원재료 비용상승 부담을 이기지 못하고 가격을 인상하겠다고 발표한지 9개월만이었다.

그런데 당시 내렸던 가격이 이번에 다시 오르게 생겼다. 농심은 일시적으로 가격을 내린지 1년 8개월만에 또다시 '원가상승 부담'을 이유로 신라면과 새우깡 등 17개 브랜드에 대한 가격인상을 단행했다.

동종업체들이 농심의 행보를 따라갈지는 아직 미지수다. 오뚜기, 하림산업, 삼양식품 등 식품업체들은 "아직 인상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으면서도 원재료값 상승과 고환율 부담 등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이날 뉴스트리와의 통화에서 "국내에서는 라면으로 순이익을 내기가 매우 어려운 구조"라고 설명하며 "모두 비슷한 입장이지만 우리는 아직까지 가격 인상이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KT 판교·방배 사옥 경찰 압수수색…서버폐기로 증거은닉 의혹

해킹사고 처리과정에서 서버를 의도적으로 폐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KT가 압수수색을 당했다.1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

셀트리온, 美에 1.4조 韓에 4조원 투자..."4Q 실적 턴어라운드"

일라이 릴리로부터 미국 공장을 인수해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에 생산기지를 확보한 셀트리온은 의약품에 대한 미국 관세리스크를 털어내고

한국ESG기준원, ESG평가 'A+등급' 20곳...올해도 S등급 'O'

하나금융지주와 KB금융, 신한지주와 현대백화점, 현대로템 등 20개 기업이 한국ESG기준원에서 주관하는 '2025 ESG 평가'에서 통합등급 'A+'를 획득했다. 이

CJ제일제당 '빨대없는 스토어' 캠페인...대체소재로 PHA 제안

CJ제일제당이 자원순환사회연대(NGO), CJ푸드빌과 함께 일회용 석유계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줄이기 위한 '빨대없는 스토어 만들기(Be Straw Free)' 캠페인을

호텔신라, 친환경 운영체계 구축 나선다

호텔신라의 모든 호텔 브랜드가 친환경 호텔로 도약한다.호텔신라는 글로벌 친환경 인증기관인 '환경교육재단(FEE; Found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과 업

KT 새 대표이사 후보군 33명...본격 심사 착수

KT의 대표이사 후보 공개모집이 마감되면서 차기 대표이사 후보군이 33명으로 확정됐다.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 4∼16일 진행한 대표이사 후보

기후/환경

+

[COP30]"BTS에 영감받아"...K팝 팬들도 '탈탄소화' 촉구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가 열리고 있는 브라질 벨렝에서 케이팝(K-팝) 팬들이 '문화 분야의 탈탄소화'를 촉구하는 목소리를 냈다.K-팝

내년부터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1700톤 쓰레기 어디로?

내년부터 수도권 지역에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가 시행됨에 따라, 소각장 설비를 아직 마련하지 못한 경기도와 서울 등 지방자치단체들은 예기치 못

[COP30] 산림지키는 기후총회에...농업 로비스트 300명 활동

브라질 벨렝에서 열린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 300명이 넘는 농업 로비스트가 몰리자, 원주민과 환경단체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COP30] AI는 기후위기 해결사? 새로운 위협?

인공지능(AI) 기술이 기후대응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동시에 막대한 전기수요를 발생시켜 기후위기를 악화시키는 요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18일(현

섬에서 새로 발견된 미기록 곤충 55.5% '열대·아열대성'

국내 섬 지역에서 발견된 미기록종 곤충 가운데 약 절반이 열대·아열대성 곤충인 것으로 나타났다.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농촌 기후대응 직불금' 도입되나...기후보험 대상 확대

기후변화로 인해 농작물을 재배하기 적합한 지역이 바뀌는 경우나 기후변화 대응 품종을 도입할 때 직불금을 주는 방안을 정부가 추진한다.정부는 19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