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랄프로렌, 칼하트 등 유명 의류브랜드를 사칭한 해외쇼핑몰로 인한 소비자 피해가 다수 발생해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9일 시즌 오프, 봄맞이 할인 등을 내세워 유명 브랜드를 과도하게 할인한 뒤 제품을 배송하지 않거나, 환불해주지 않아 소비자 피해가 46건 발생했다며 피해확산 방지를 위해 사기사이트의 국내 접속을 차단했다고 밝혔다.
해외 유명 브랜드 사칭 사이트는 유명 브랜드 공식 명칭과 로고를 사용해 공식 홈페이지와 유사한 사기 사이트를 만들어 소비자를 유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한 소비자는 칼하트 브랜드 80% 할인 광고를 보고, 사기사이트에서 여러 개의 제품을 구입한 후 약 17만 원(USD 120)을 지불했다. 이후 사이트의 신뢰성에 의문을 품고 결제 취소를 하려고 했으나, 결제 취소 버튼이 보이지 않았고 고객센터도 연결되지 않아 환불받지 못했다.
접수된 상담 46건을 분석한 결과, 소비자의 90% 이상(43건)이 인스타그램 광고를 통해 해외쇼핑몰에 접속한 것으로 확인됐다. 패션 브랜드의 주요 소비층이자 사회 관계망(SNS)을 활발히 이용하는 20대가 68.9%로 피해를 입은 소비자 중 다수를 차지했다. 사기사이트 피해사례 중 연령대가 확인되는 45건을 분석한 결과, 소비자 연령대가 10대 1건, 20대 31건, 30대 10건, 40대 3건이었다.
사기사이트들은 유명 브랜드 상품을 지나치게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고, 소비자가 구매한 후에는 주문 취소 방법을 마련하지 않거나 제품을 배송하지 않은 채 연락이 두절되는 등 소비자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판매자의 정확한 정보 확인이 어려워 피해구제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처음 접하는 쇼핑몰이나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의 광고를 통해 판매 사이트에 접속했다면 해당 브랜드 또는 공식 유통업자가 운영하는 쇼핑몰이 맞는지 검색 포털 등을 통해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또한 해외쇼핑몰 이용 시 피해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차지백 서비스같은 해외 거래 취소 요청이 가능한 신용카드를 사용하고, 해외쇼핑몰과 분쟁이 원만히 해결되지 않으면 국제거래 소비자포털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와 협력하여 사기사이트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모니터링과 국내 접속 차단 조치를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공표된 사기사이트는 국제거래 소비자포털(crossborder.kca.go.kr)과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 누리집(ecc.seoul.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