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거나 혹은 말거나…'뉴 폼팩터 폰' 시장의 승자는 누가 될까?

백진엽 기자 / 기사승인 : 2021-05-18 19:23:50
  • -
  • +
  • 인쇄
LG전자, CES 2021에서 마는 'LG 롤러블' 영상공개
삼성전자, 올해 폴더블폰 대중화 위해 제품군 확대
스마트폰 시장에서 보다 다양한 형태의 기기가 등장하면서 이른바 '뉴 폼팩터' 제품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특히 세계 최고의 디스플레이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삼성과 LG 등 국내 업체들이 이 시장을 선도하는 모습이다.

11일(미국 동부시간) 열린 LG전자의 'CES 2021' 프레스 콘퍼런스에서 가장 관심을 끈 제품은 'LG 롤러블'이다. 2년전 CES에서 돌돌 말리는 '롤러블 TV'를 공개해 주목받았던 LG전자는 올해 CES에서 말리는 스마트폰 'LG 롤러블'을 공개했다. 다만 온라인으로 진행된 간담회에서 'LG 롤러블'은 잠깐 모습을 비쳤고, 구체적인 사양 등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삼성전자의 폴더블폰 시리즈(사진=삼성전자)

그럼에도 말리는 디스플레이를 휴대폰에 적용해 화면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커졌다 작아졌다 한다는 것만으로도 사람들의 관심을 받기에는 충분했다. IT업계나 관련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LG의 롤러블 TV 이후 롤러블폰은 언제 나올 것인지가 관심사였던 것이다.

이와 관련 업계에서는 LG 롤러블에 대한 구체적인 사양 등은 3월쯤 공개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LG전자는 LG 롤러블로 추측되는 'LM-R910N'을 이통3사 전산망에 등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정황상 LG 롤러블은 올해 상반기 안으로 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LG에 앞서 새로운 폼팩터 시장을 이끌고 있는 곳은 삼성이다. LG가 디스플레이를 마는 것으로 혁신을 꾀했다면 삼성은 접었다 폈다하는 폴더블폰에 힘을 싣고 있다.

삼성전자는 최근 지속해서 폴더블폰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계 폴더블폰 출하량은 280만대에 이른다. 삼성전자는 폴더블폰 전체 출하량 중 73%를 차지했다.

노태문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은 지난달 삼성전자 뉴스룸 홈페이지 기고문에서 "더 많은 고객이 혁신적인 폴더블 기기를 경험할 수 있도록 폴더블 제품군의 다양화와 대중화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보다 낮은 가격대의 폴더블폰이 나올 것임을 시사한 것이다. 업계에서는 현재 갤럭시Z폴드와 Z플립인 폴더블폰 후속작으로 보다 라이트하고 다양한 모델이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2024년에는 총 19억2920만대 스마트폰이 팔릴 것으로 전망했다. 스마트폰 호황기라고 불리는 2017년도 18억8370만대를 뛰어넘는 숫자다. 5G 확산과 함께 새로운 폼팩터의 등장이 스마트폰 시장을 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애플과 화웨이 등 해외 업체들도 뉴 폼팩터 시장에 합류하고 있다. 화웨이는 폴더블폰 '메이트X' 시리즈를 출시했고, 오포와 비보 등 다른 중국 업체들도 폴더블폰 개발에 나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애플 역시 폴더블폰 생산을 앞둔 것으로 알려졌다. 롤러블 역시 삼성을 비롯한 다수의 업체들이 개발 가능성을 검토중이다. 

▲ '쫙' 펼쳐지는 LG 롤러블폰...CES 2021에서 첫 공개

이런 추세를 볼 때 당분간 뉴 폼팩터 시장은 접는 폰과 마는 폰의 양강 구도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관건은 내구성과 가격이다. 특히 가격적인 면에서 현재 폴더블은 초기보다 가격이 많이 내려온 상황이다. 반면 'LG 롤러블'은 세계 첫 롤러블폰이라는 점에서 가격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초기 시장 형성에서 폴더블이 롤러블보다 유리할 것으로 보는 이유다.

아울러 폴더블과 롤러블 모두 아직 내구성이나 배터리 등에 대한 검증이 부족하다는 것도 업계의 지적이다. 실제로 Z플립 사용자들의 불만 중 상당수는 빠른 배터리 소모와 화면의 내구성 등이다. 이는 롤러블폰에서도 이어질 공산이 크다.

한 업계 관계자는 "뉴 폼팩터가 새로운 시장을 형성해 스마트폰 시장 규모를 키우려면 얼마나 빨리 소비자들이 만족하는 가격대를 맞출 수 있는지, 그리고 배터리나 내구성에 대한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백진엽 기자 jinebito@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광복적금부터 기부까지...은행들 독립유공자 후손돕기 나섰다

최고금리 8.15%에 가입만 해도 독립유공자 단체에 815원 기부되는 등 시중은행들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다채로운 지원에 나서고 있다.8일 KB국민·신

SK이노·카카오·빙그레...광복 80년 독립유공자 후손 지원에 '한뜻'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기업들이 애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고 독립유공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펼치고 있다.SK이노베이션은

정부, 사망자 1명만 나와도 공공입찰 제한 추진

정부가 중대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1명이라도 발생하면 공공입찰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7일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국

[최남수의 ESG풍향계] 삼성전자vsTSMC...ESG 성적은?

세계 최상위권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TSMC.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의 최강자이고 TSMC는 파운드리 1위 기업이다. 이들 두 기업은 글로벌 선두권

ESG평가원 "포스코, 계열사 잇단 인명사고...ESG등급 하락 전망"

포스코홀딩스가 비상장 자회사 포스코이앤씨의 반복된 인명사고로 인해 ESG평가에서 종합등급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잦은 인명사

한전, 2028년 사채발행한도 초과한다..."화석연료 탈피해야"

한국전력공사의 취약한 채무구조가 고착되고 수요 감소가 겹치면서 2028년까지 사채발행한도가 초과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화석연료

기후/환경

+

日 규슈 400mm '물폭탄'…잠기고 무너지고 '아비규환'

11일 일본 규슈지역에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져 침수와 산사태, 하천 범람 피해가 잇따르며 사망·실종자가 속출했다. 일본기상청은 구마모토현 다

캐나다 1주일째 '활활'...720건 넘는 산불에 '속수무책'

캐나다가 1주일째 대형산불로 신음하고 있다.10일(현지시간) 캐나다산불센터에 따르면 현재 전국적으로 725건의 산불이 진행중이다. 연방 정부는 군과

튀르키예 규모 6.1 지진...200km 떨어진 이스탄불도 '흔들'

튀르키예 서부 발르케시르 부근에서 10일 오후 7시 53분쯤(현지시간) 규모 6.1의 지진이 발생했다.이날 튀르키예 재난위기관리청(AFAD)에 따르면 지진의

"韓 10대 기업 폭염 책임액 161조원...발전5사가 58% 비중"

지난 13년간 전세계 폭염으로 인한 피해에서 국내 10대 기업들이 차지하는 책임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161조원에 달한다는 계산이 나왔다. 161조원 가운데

하늘의 공포 '난기류'...가장 심한 항공 노선은 어디?

기후변화로 난기류가 더 잦아지고 있는 가운데 전세계에서 난기류가 가장 심한 항공노선은 193km 거리의 아르헨티나 멘도사-칠레 산티아고 노선인 것으

EU, 해외 탄소크레딧 구매로 탄소감축?..."탄소투자 위축" 비판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전문가들의 자문도 거치지 않고 개발도상국 등 해외에서 탄소크레딧을 구매해 탄소감축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