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난 '집콕생활' 미디어 판도 바꿨다...넷플릭스 이용률 3배 '껑충'

백진엽 기자 / 기사승인 : 2021-02-02 17:40:40
  • -
  • +
  • 인쇄
TV 영향력 낮아지고 스마트폰을 필수매체로 인식
젊을수록 스마트폰 이용높고 고령일수록 TV 높아

국내에서 온라인동영상제공서비스(OTT)인 넷플릭스 이용률이 1년 사이에 3배 이상 늘었다. 코로나19 팬데믹로 인해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진 것이 넷플릭스 이용률을 대폭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스마트폰으로 유튜브나 넷플릭스 등 OTT 서비스를 보는 사람이 94.8%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OTT 서비스를 주 5일 이상 시청하는 사람도 61.7%에 달했다.

2일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가 발표한 '2020년도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에 따르면,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을 필수매체로 인식하는 비율이 67.2%로, 29.5%를 기록한 TV와 격차가 더 벌어졌다. 특히 10대는 96.2%로 다른 연령대보다 더 높게 나왔다.

                                              (자료=방송통신위원회)

이번 실태조사는 전국 4042가구에 거주하는 만 13세 이상 남녀 6029명을 대상으로 '매체보유 현황'과 '매체 중요도' '매체별 이용량 및 이용행태' 등을 직접 면접방식으로 조사한 결과로,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가구조사 ±2.9%p, 개인조사 ±2.5%p였다.

조사결과, 10대~50대 스마트폰 보유율은 98% 이상으로 포화된 상태다. 60대는 전년보다 6.3%포인트 늘어난 91.7%이며, 70대 이상 고령층의 스마트폰 보유율도 전년보다 11.1%포인트 증가한 50.8%에 달했다.

이처럼 고령층의 스마트폰 보유율이 확대되면서 스마트폰은 개인화된 미디어로서 영향력이 점점 커지고 있다. 스마트폰 이용빈도는 10대가 98.2%로 절대적이며, 70대 이상에서도 43.6%로 나타났다. 반면 TV 이용빈도는 70대가 97.8%이고 10대는 34.8%로 대비됐다.

                                            (자료=방송통신위원회)

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해 OPP 이용률은 급증했다. OTT 이용률은 66.3%로 전년보다 14.2%포인트 증가했다. 주로 시청하는 방송프로그램은 오락·연예가 69.8%로 가장 많았고, 드라마가 37.2%로 그 뒤를 이었다. 뉴스(27.8%) 시청자도 TV 등 다른 매체를 앞질렀다. OTT 이용장소는 집이 91.6%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OTT 채널은 유튜브로, 62.3%에 달했다. 이는 전년의 47.8%에서 14.5%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이용률이 급격하게 늘어난 OTT 채널은 넷플릭스다. 넷플릭스는 2019년까지만 해도 이용률이 4.9%에 머물렀지만 지난 한해동안 16.3%로 껑충 뛰었다. 1년새 3배 이상 폭증했다. 토종 OTT인 네이버TV 이용률이 1년 사이에 6.1%에서 4.8%로 감소한 것과 대조적이다. 페이스북 이용률도 9.9%에서 8.6%로 소폭 줄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OTT 정액제에서 추가요금을 지불하고 이용한 비율도 14.4%로, 전년 7.8%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이 가운데 넷플릭스가 7.7%로 가장 높았고, 유튜브가 5.4%로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웨이브(Wavve)는 1.6%에 그쳤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방송과 OTT 등 미디어 이용률이 늘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32.1%로 나왔고, 이용률이 감소했다는 응답비율은 2.3%에 그쳤다. 또 코로나19 관련 뉴스나 정보를 주로 얻는 매체는 스마트폰이 52.5%로, TV 44.6%를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료방송 시청자 중 주문형비디오(VOD)를 이용한 비율은 30.3%로 증가세를 이어갔다.

유료방송 가입가구는 전체의 92.2%로, 인터넷(IP)TV 가입률은 50.1%로 전년 45.1%보다 증가하고 케이블방송 가입률은 41.7%로 전년 47.5%보다 감소했다.

1인 가구 가운데 연령이 낮을수록 TV와 유료방송 가입률이 저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1인 가구의 TV 보유율을 86%지만, 20대 이하의 1인 가구는 58.7%에 그쳤다. 또 1인 가구의 유료방송 가입률은 82.7%지만, 20대 이하 1인 가구는 55.5%에 머물렀다.

이번 조사 보고서는 방송통계포털(mediastat.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광복적금부터 기부까지...은행들 독립유공자 후손돕기 나섰다

최고금리 8.15%에 가입만 해도 독립유공자 단체에 815원 기부되는 등 시중은행들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다채로운 지원에 나서고 있다.8일 KB국민·신

SK이노·카카오·빙그레...광복 80년 독립유공자 후손 지원에 '한뜻'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기업들이 애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고 독립유공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펼치고 있다.SK이노베이션은

정부, 사망자 1명만 나와도 공공입찰 제한 추진

정부가 중대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1명이라도 발생하면 공공입찰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7일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국

[최남수의 ESG풍향계] 삼성전자vsTSMC...ESG 성적은?

세계 최상위권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TSMC.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의 최강자이고 TSMC는 파운드리 1위 기업이다. 이들 두 기업은 글로벌 선두권

ESG평가원 "포스코, 계열사 잇단 인명사고...ESG등급 하락 전망"

포스코홀딩스가 비상장 자회사 포스코이앤씨의 반복된 인명사고로 인해 ESG평가에서 종합등급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잦은 인명사

한전, 2028년 사채발행한도 초과한다..."화석연료 탈피해야"

한국전력공사의 취약한 채무구조가 고착되고 수요 감소가 겹치면서 2028년까지 사채발행한도가 초과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화석연료

기후/환경

+

튀르키예 규모 6.1 지진...200km 떨어진 이스탄불도 '흔들'

튀르키예 서부 발르케시르 부근에서 10일 오후 7시 53분쯤(현지시간) 규모 6.1의 지진이 발생했다.이날 튀르키예 재난위기관리청(AFAD)에 따르면 지진의

"韓 10대 기업 폭염 책임액 161조원...발전5사가 58% 비중"

지난 13년간 전세계 폭염으로 인한 피해에서 국내 10대 기업들이 차지하는 책임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161조원에 달한다는 계산이 나왔다. 161조원 가운데

하늘의 공포 '난기류'...가장 심한 항공 노선은 어디?

기후변화로 난기류가 더 잦아지고 있는 가운데 전세계에서 난기류가 가장 심한 항공노선은 193km 거리의 아르헨티나 멘도사-칠레 산티아고 노선인 것으

EU, 해외 탄소크레딧 구매로 탄소감축?..."탄소투자 위축" 비판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전문가들의 자문도 거치지 않고 개발도상국 등 해외에서 탄소크레딧을 구매해 탄소감축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

佛 파리 면적의 1.5배가 '잿더미'…기후변화가 빚은 산불

프랑스 남부에 산불이 크게 번지면서 파리의 1.5배에 달하는 면적이 잿더미가 됐다. 기후변화로 발생한 이례적인 가뭄이 산불로 이어졌다는 것이다.프

[주말날씨] 천둥·번개 동반한 '국지성 호우'...남부지방 최대 150㎜

이번 주말에 또다시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한 국지성 호우가 내리겠다. 토요일인 9일 오후부터 일요일인 10일 오후 사이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