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최대 탄소포집 시설 '오르카'...아이슬란드에서 본격 '가동'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9-10 12:09:50
  • -
  • +
  • 인쇄
年4000톤 CO2 포집해 지하암반에 영구격리
포집량 비해 포집비용 비싸 보완역할 그칠듯
▲연간 4000톤의 탄소를 포집하는 아이슬란드의 탄소포집시설 '오르카' (사진=클라임웍스)


연간 자동차 870대가 내뿜는 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CCUS) 시설이 본격 가동되기 시작했다.

스위스 친환경 솔루션기업 '클라임웍스'(Climeworks)가 개발한 직접공기포집(DAC) 시설 '오르카'(Orca)가 8일(현지시간) 아이슬란드에서 기념식을 갖고 가동에 들어갔다. 이 시설은 연간 4000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다.

아이슬란드어로 에너지를 뜻하는 '오르카'는 아이슬란드 최대 지열발전소 헬리샤이디 근처에 위치해 있다. 덕분에 오르카는 천연가스로 가동되는 기존 CCUS 장치들과 달리 재생에너지로 가동되기 때문에 탄소포집량 대비 10% 이하의 이산화탄소만 배출한다.

오르카는 DAC 기술을 사용한다. 부착된 여러 대의 환풍기가 공기를 빨아들이면 흡착제가 달린 필터를 지나게 된다. 미량의 산성을 띠고 있는 이 흡착제가 이산화탄소를 빨아들인다. 필터가 꽉 차면 100°C까지 가열해 고농도의 이산화탄소 가스를 방출한다.

필터에서 방출된 이산화탄소는 파이프를 타고 다른 시설로 이동한다. 이 시설에서 이산화탄소를 물에 용해시키는 작업이 시작된다. 이산화탄소 1톤당 27톤의 물이 쓰이게 되고, 물에 녹은 이산화탄소는 탄산수 형태로 저장된다.

클라임웍스는 아이슬란드 스타트업 카브픽스(Carbfix)와 협업중이다. 카브픽스는 오르카가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광물화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탄산수 형태로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인근지역 1000m 지하 현무암 암반층에 주입하면 2년 정도의 시간이 지나 암석으로 굳어진다는 것이다.

기존 CCUS 장치에서 포집된 이산화탄소는 탄산음료와 같은 상업용 제품에 사용되면서 도로 배출됐다. 또 석유회사들이 더 많은 석유를 파낼 명분을 얻기 위해 투자하는 일이기도 하다. 반면 오르카는 영구격리 저장방식이어서 탄소를 추가로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CCUS 기술의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는다.

다만 전문가들은 비용을 문제삼았다. 오르카의 이산화탄소 포집비용은 1톤당 1100달러(약 130만원) 규모다. 더욱이 파리기후변화협약의 목표치를 달성하려면 150만~1500만톤의 탄소를 포집해야 한다는 분석을 보면 턱없이 적은 포집양이다. 2019년 기준 미국에서만 51억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됐다.

미국 아메리칸대학교의 탄소제거 법률·정책연구소 데이비드 머로우 소장은 "DAC 기술이 빠른 시일 내에 충분히 저렴해지지는 못할 것"이라며 "어디까지나 보완적인 역할을 맡을 것이며 주력 탄소 제거 사업으로 발전하지는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클라임웍스는 2030년까지 1톤당 이산화탄소 포집비용을 200~300달러(약 23만~35만원) 수준으로 낮출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간] ESG 전략 마스터 클래스: 실전 가이드

전략(S)–공시(D)–성과(P)를 연결하는 ESG 설계 기준서가 출간됐다. 이 책은 ESG 전략이 의무공시 체계에 부합하고 기업가치 제고의 실질적 도구로

KCC·효성중공업 건설PU '콘크리트 탄산화' 억제해 건물 부식 예방한다

응용소재화학기업 KCC가 효성중공업 건설PU와 손잡고 콘크리트 건축물의 탄산화를 억제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융복합 기술을 공동 개발했다고 29일

HD현대오일뱅크, 폐수 처리비 450억 아끼려다 1761억 과징금 '철퇴'

환경부가 특정수질유해물질인 페놀이 함유된 폐수를 불법적으로 배출한 HD현대오일뱅크에 대해 '환경범죄 등의 단속 및 가중처벌에 관한 법률'(이하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실사도 의무화해야"

올 6월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대응 관련조항이 빠져있어, 이를 추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기업인권환경실사법'은 기업의 인권과 환

아워홈, 실온에서 분해되는 ‘자연생분해성 봉투’ 2종 개발

아워홈은 ESG 경영 강화를 위해 친환경 제품 2종을 개발해 전국 단체급식, 외식 매장에 도입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친환경 제품은 자연생분

남양유업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참가 초등학생 1000명 모집

남양유업은 서울·경기권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하반기 교육신청을 오는 9월 9일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한다고 28일 밝

기후/환경

+

이 정도일 줄이야?...매일 미세플라스틱 6만8000개 '꿀꺽'

한 사람이 매일 6만8000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집안이나 차에서 흡입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28일(현지시간) 나디아 야코벤코 툴루즈대학 박사가

상반기 세계 온실가스 또 늘었다..."美 화석연료 사용 증가탓"

올 상반기동안 미국 제조업 분야의 탄소배출량이 증가하면서 전세계 탄소배출량이 늘어나는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나타났다.비영리단체 클라이밋 트

100년에 한번이던 유럽 대형산불..."기후변화로 10년꼴로 발생"

최근 그리스와 튀르키예, 스페인 등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한 가운데 앞으로 유럽에서 이같은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이 10배 높아졌다는 연구결과다.세

해상풍력 확대 필요하지만..."인권·환경 보호장치도 마련해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인권과 환경을 두루 고려해야 지속가능한 전환이 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이 입을 모았다.29일 국회 기후위기탈탄소경제

'톨루엔·자일렌' 화학물질...규제대상 아니라고 배출하다 '딱' 걸렸다

경기도의 일부 산업시설에서 미규제 오염물질을 계속해서 배출해온 것으로 드러났다.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경기 북부 산업시설 5종을 대상

'시베리아 흙탕물' 확산..."원인은 기후변화로 약해진 해류"

기후변화로 북극해 해류 흐름이 변하면서 시베리아 흙탕물이 수백km 밖까지 퍼지고 있다.극지연구소는 전미해·정진영·양은진 박사 연구팀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