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취 풍기며 바닷가 질식시키는 '모자반'...탄소포집 해조류로 최적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3-09 08:30:02
  • -
  • +
  • 인쇄
2011년 이후 모자반 군락 폭발적 증가 추세
방치하면 환경오염..."탄소흡수력 활용해야"
▲해안을 뒤덮은 모자반. 갈조류의 일종인 모자반은 과도하게 번성하면 해양생물 및 지역사회에 악영향을 미친다.(사진=NASA)


인간의 활동과 기후위기로 '모자반'(sargassum)이 급속도로 번식하면서 해안생태계를 질식시키고 있다.

미국 사우스플로리다대학(USF) 광학·해양학연구소 연구팀은 2011년부터 위성 이미지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모자반 군락의 크기가 폭발적으로 증가해 대서양 일대를 장악하고 있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팀은 2022년 6월 기준 모자반 대규모 군락지인 '그레이트 애틀랜틱 사르가섬 벨트'(Great Atlantic Sargassum Belt)가 이집트 기자에 있는 거대 피라미드보다 약 4배나 큰 2420만톤으로 추정했다. 이 벨트의 규모는 멕시코만부터 콩고의 하구까지 뒤덮고 있어 우주에서도 관측될 정도다.

해조류는 영양이 풍부하고 탄소를 흡수하며 녹색경제에도 유용한 팔방미인이다. 그러나 모자반은 해조류임에도 큰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바다 표면을 따라 황금빛 들판처럼 펼쳐진 모자반 군락은 언뜻 보기에는 아름다운 모습이고 해양생물에게 안전한 은신처가 되기도 하지만, 문제는 성장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것이다.

대규모 모자반 군락은 해안 야생동물과 어류뿐만 아니라 수자원·전력시설 등 핵심 기반시설에 피해를 입힌다. 해안에 상륙한 군락은 수 킬로미터에 걸친 해안선을 온통 뒤덮어 질식시키고, 때로는 몇 미터 높이로 쌓이기도 한다. 모자반이 수면을 뒤덮으면 수면 아래 서식하는 해양생물들은 햇빛을 받지 못하게 되고, 갓 부화한 거북이는 모자반 더미에 가로막혀 바다로 가지 못하게 된다. 게다가 부패하면 악취가 진동한다.

모자반 부패로 방출되는 황화수소는 가벼운 두통이나 눈 떨림 등 건강문제까지 일으킬 수 있다. 지난해는 황화수소가 임신 합병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논문이 발표되기도 했다.

셸리앤 콕스(Shelly-Ann Cox) 바베이도스 정부 소속 최고어업책임자는 "매년 유입 및 관광, 어업, 운송에 큰 피해를 입었다고 보고하는 국가가 늘고 있다"며 "모자반의 환경적, 경제적 여파가 재앙적"이라고 말했다.

▲2018년 7월 관측된 '그레이트 애틀랜틱 사르가섬 벨트' (사진=NASA)


이처럼 모자반이 급속히 퍼지는 원인은 인간의 활동과 기후위기가 맞물린 탓으로 파악됐다. 아메리카와 아프리카 강 유역에서 대두를 재배하는 지역이 늘어나다보니 질소와 인 등이 바다에 무분별하게 흘러들어갔고, 이로 인해 해조류에게 양분이 과도하게 공급됐기 때문이다. 여기에 온난화로 해수면 온도까지 높아지니, 따뜻한 기온에서 번성하는 모자반에게 최적의 생육조건이 형성된 셈이다. 사하라 사막에서 불어오는 모래도 철과 기타 필수 미네랄의 공급원 역할을 했다.

문제는 이 골치덩어리 바이오매스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이다. 일각에서는 모자반을 비료로 사용하자고 제안했지만 비소 등 중금속을 함유하고 있어서 적합하지 않다는 평가다. 퇴비로 만들면, 모자반에 함유된 비소가 지하수로 흘러들어가 식수와 먹이사슬에도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산업용으로 쓰자니, 중금속 제거작업이 상당히 번거로워 비용효율적이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짓 수브라마니암(Ajit Subramaniam) 해양학자는 "카리브해 국가들이 모자반의 위협에 대처할 수 있도록 전세계에서 도와줄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후책임이 가장 적은 이들이 가장 직접적인 영향에 직면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에 모자반의 탄소흡수력을 이용할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로봇을 사용해 탄소포집한 모자반을 해저에 가라앉히는 방안이 대표적이다.

수브라마니암 학자는 "모자반 군락은 약 300만톤의 탄소가 저장돼 있다"며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유기탄소로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바다 밑으로 가라앉히면 그 탄소가 몇 세기동안 저장되면서 지구가 '탄소곡선'을 평평하게 만들 시간을 벌 수 있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영국 스타트업 씨위드제너레이션(Seaweed Generation)은 해초를 탄소흡수원으로 사용하는 기술까지 개발했다. 패트리샤 에스트리지(Patricia Estridge) CEO는 "물이 얕으면 모자반이 썩어서 메탄을 방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심해로 가라앉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브라마니암 학자는 해초를 수심 2000m에서 4000m 깊이로 가라앉히면 수백 년 동안 유지될 것으로 계산했다. 그는 모자반으로 해양 피해가 더 심각해지기전에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투자가 이뤄지기를 기대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대한항공 기내식 용기 '식물성 소재'로 바꾼다

대한항공이 식물성 원료로 만든 기내식 용기를 도입한다.대한항공은 오는 12월부터 밀짚, 사탕수수, 대나무 등 비목재 식물성 원료로 제작된 기내식 용

"배출권거래제, NDC 53% 맞춰 운영"…정부, 산업계 부담 덜어준다

정부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에 대한 산업계 우려를 덜어주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NDC 하한목표인 53%에 맞춰 운영하기로 했다

'젊어지는 삼성전자'...30대 상무·40대 부사장으로 '세대교체'

삼성전자가 지난해보다 24명 많은 161명에 대한 임원승진을 단행했다. 인공지능(AI)와 로봇, 반도체 분야에서 미래기술을 이끌 리더들을 중용했다는 게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돈지갑' 나왔다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이 나왔다. 한국조폐공사는 진짜 돈이 담긴 화폐 굿즈 신제품 돈방석·돈지갑을 출시하고, 지난 23일 오후 2시부터 와디

파리크라상 '사업부문'과 '투자·관리부문'으로 물적분할한다

SPC그룹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이 물적분할을 진행한다.SPC그룹은 지난 21일 이사회에서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에 대해 물적 분할을 결정했다고 24일 밝혔

광명시, 포스코이앤씨 공사장 오폐수 무단방류로 고발

포스코이앤씨가 오폐수 무단방류 혐의로 광명시로부터 고발당했다.경기도 광명시는 서울~광명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원광명지하차도 터파기 과정에

기후/환경

+

1만2000년만에 분화한 화산...연기 14km까지 치솟아

에티오피아 북동부에 위치한 하일리 굽비 화산(Hayli Gubbi volcano)이 약 1만2000년 만에 처음으로 분화했다고 24일(현지시간) AFP, 가디언 등 외신들이 보도했

"초미세먼지 줄여라"…정부, 석탄발전소 가동중단에 출력제한 조치

온화한 날씨로 인해 올겨울 초미세먼지(PM2.5)가 지난해보다 더 짙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정부가 초미세먼지 농도를 낮추기 위해 석탄발전소 최대 17기

탄소배출권 사서 메우자?...배출권 의존기업 탄소감축 '제자리'

온실가스 배출권 시장 확대보다 기업의 직접 감축 노력이 우선이라는 국제보고서가 공개되며 상쇄 전략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대한상의 '재생에너지 벤치마킹 연수' 참여기업 모집

대한상공회의소가 기업 재생에너지 활용현장을 직접 체험하는 '재생에너지 벤치마킹 연수' 참여기업을 모집한다고 25일 밝혔다. 연수는 오는 12월 10일~

'한전이 재생에너지 확대 가로막아..."권한집중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국전력공사(한전) 중심의 전력계통 구조가 재생에너지 확대를 가로막고 있어, 전력망 계획·접속권한을 독립기관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지적이

"배출권거래제, NDC 53% 맞춰 운영"…정부, 산업계 부담 덜어준다

정부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에 대한 산업계 우려를 덜어주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NDC 하한목표인 53%에 맞춰 운영하기로 했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