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억달러 유치한 '헬리온'..."핵융합발전, 기후위기 최선책"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11-08 13:32:48
  • -
  • +
  • 인쇄
자원고갈·환경파괴 없는 '꿈의 에너지'
화물컨테이너 크기서 50MW 전력생산
▲헬리온 에너지의 6번째 핵융합발전기 '트렌타'(Trenta). 지난 6월 헬리온 에너지는 민간업체 최초로 핵연료 플라즈마 1억°C 가열에 성공했다. (사진=헬리온 에너지)


미국 핵융합발전 스타트업 '헬리온 에너지'(Helion Energy)가 지난 5일(현지시간) 5억달러(약 5925억4000만원) 규모의 시리즈E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상용화 추진일정을 달성해 나간다면 추가적으로 최대 17억달러(약 2조151억원)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

핵융합발전은 핵분열을 이용하는 원자력발전과 달리 폐기물 처리가 곤란하지 않고, 원료가 풍부해 자원고갈과 환경파괴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어 '꿈의 에너지'로 불린다. 다만 핵융합발전이 경제성을 갖추려면 '자기점화'가 가능해야 한다. '자기점화'는 핵융합 연료가 1억°C에 이르러 외부가열없이 스스로 핵융합 반응을 유지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때 필요한 전력 주입량이 생산량을 넘어서기 때문에 상용화에 큰 걸림돌이 존재하는 상황이다.

지난 6월 민간기업 최초로 1억°C 가열에 성공해 핵융합 플라즈마를 만들어낸 헬리온 에너지는 화물컨테이너 크기에 50MW 규모의 전력량을 발전할 수 있는 핵융합발전기 제작을 목표로 하고 있다. 50MW는 국내 기준 약 7만명이 연간 가정용으로 쓸 수 있는 전력량이다. 인공항성을 구현하기 위해 축구장 60개 크기의 토카막 방식을 채택한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와는 대조적이다.

헬리온 에너지는 '펄스자기핵융합' 방식을 활용한다. 알루미늄 자석으로 플라즈마 핵연료를 압축하고 다시 확장시켜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헬리온 에너지 최고경영자(CEO) 데이비드 커틀리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기존 핵융합발전기가 모닥불이라면 헬리온의 핵융합발전기는 디젤 엔진과 비슷하다"며 "모닥불은 열을 발생시키기 위해 불을 지펴야 하지만 디젤 엔진의 경우 컨테이너에 연료를 넣고 연료가 연소할 때까지 압축하고 가열한다"고 비유했다.

이번 시리즈E 투자금액 5억달러 가운데 3억7500만달러(약 4443억원)를 투자해 가장 큰 지분을 차지한 미국 인공지능(AI) 개발사 오픈AI(OpenAI) CEO 샘 알트만은 이번 투자가 "지금껏 투자해왔던 금액 규모 중 가장 컸다"며 "(핵융합발전이) 기후위기를 벗어나는 데 있어 최선책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자원 한계가 없는 염가의 '녹색 에너지'를 이상향을 이룰 수 있는 3가지 요소 가운데 하나로 꼽았다. 나머지 둘은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AI', 탄소중립 전환으로 생겨나는 소외계층을 위한 생계비 차원의 '기본소득'이다. 알트만 CEO는 "에너지 가격을 줄이는 것이 사람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구글 DC 하나가 57만톤 배출?…AI로 英 탄소감축 '빨간불'

영국에 설립될 구글의 신규 데이터센터(DC)가 연간 57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할 것으로 추정되자, 환경단체와 기후전문가들이 환경 영향에 대해 강력히

인천 온실가스 49% 비중 영흥화력..."2030년 문 닫아야" 촉구

수도권 내 유일한 석탄발전소인 인천 영흥화력발전소의 2030년 폐쇄를 촉구하는 시민사회 목소리가 모였다. 기후위기인천비상행동과 전국 시민연대체

'2035 NDC' 뜸 들이는 EU...기후 선도그룹 위상 '흔들'

유럽연합(EU)이 올해 유엔(UN)에 제출해야 할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한 감축목표를 기한내에 확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회

태양빛으로 방사능 오염된 토양 정화하는 '인공식물' 개발

태양빛으로 방사능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인공식물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울산과학기술원(DGIST) 화학물리학과 김성균 교수연구팀은 태

강릉 저수율 16.5%까지 상승...수요일 또 강릉에 '반가운 비'

강릉 시민들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6일 오전 6시 기준 16.5%를 기록했다. 주말 전후 오봉저수지 인근에 내린 81㎜의 비가 지

폭염 극심했던 유럽...올해 이상기후로 입은 피해 '70조원'

올해 극한기후로 인해 유럽이 약 430억유로(약 70조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독일 만하임대학과 유럽중앙은행(ECB) 연구팀은 올여름 폭염과 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