닮은꼴 '투명페트vs투명페트병'...함께 버리면 안된다고?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2-03-11 18:32:43
  • -
  • +
  • 인쇄
투명페트 재질도 용도에 따르 종류 천차만별
다른 재질 함께 섞이면 고품질 재활용 방해돼


아파트에 사는 A씨는 분리배출을 위해 플라스틱에 붙어있는 라벨을 일일이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분류한다. 특히 '투명 페트병' 분리배출 제도가 시행된 이후에는 '페트' 표시가 돼 있는 투명 플라스틱은 항상 따로 모아서 배출한다. A씨는 자신의 행동으로 재활용률이 높아진다 생각하니 뿌듯했다. 그런데 얼마 후 자신이 한 분리배출이 오히려 고품질 플라스틱 재활용에 방해가 된다는 사실을 알고 황당했다.

'투명 페트병' 별도 분리배출 제도가 시행된지 15개월이 지났다. 처음엔 귀찮다는 이유로 그냥 버렸지만 지금은 페트병을 헹구고 라벨까지 떼서 버리는 사람들이 늘었다.

투명 페트병만 따로 모으는 이유는 플라스틱을 고품질로 재활용하기 위해서다. 페트(PET)는 고품질 재활용이 가능한 재질이지만 색이 들어갔거나 라벨, 접착제 등 이물질이 붙어있으면 품질이 떨어진다. 그래서 '투명 페트병'만 따로 모으는 제도를 2020년 12월 25일부터 아파트에서 시행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12월 25일부터는 단독주택에서도 분리배출하도록 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뉴스트리와 통화에서 "민간 선별장에 들어온 투명 페트병이 2020년 12월 461톤에서 2021년 11월 1233톤으로 늘었다"며 "이에 따라 투명 페트병을 비롯한 국내 고품질 플라스틱 재생원료 생산량은 같은 기간 약 2.2배 늘었다"고 밝혔다.

그런데 '투명 페트병' 수거함에 투명페트 재질의 플라스틱을 버리면 안된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마트에서 과일이나 채소를 담은 투명페트는 분명 '페트'로 표시돼 있지만 생수를 담은 투명 페트병과 다르다고 한다. 

▲분리배출된 투명 페트병, 대부분 라벨까지 제거돼 있다.


◇ 'PET'는 한 종류가 아니다


'PET'라고 하면 대부분 페트병을 먼저 떠올린다. 그러나 페트의 종류는 의외로 다양하다. 페트병을 만드는 재질도 있고, 카페에서 사용하는 일회용컵에 쓰이는 페트 재질도 있다. 식품 포장재나 세제통, 심지어 필름도 페트로 만든다. 색이 입혀진 것도 있지만 대부분 투명한 재질이다. 눈으로 보면 다 같은 재질처럼 보이지만 각 용도에 따라 재질이 다르다는 게 전문가들의 얘기다. 이 때문에 환경부는 '투명 페트병'에 한정해서 분리배출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페트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의 약자로, 탄소중합체로 이뤄진 고분자 물질이다. 투명도, 물성(경도) 등을 조절하기 위해 분자량을 늘리거나 줄이기 때문에 화학적으로 같은 페트 재질이지만 종류가 구별돼 있는 것이다. 같은 밀가루라도 분맥법에 따라 강력분이나 소맥분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과 같다.

모든 페트 재질은 재활용이 가능하다. 다만 종류가 서로 다른 재질이 섞이면 고품질 재활용을 할 수가 없다. 일정한 성질을 갖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만약 카페의 페트컵을 고품질 재활용하고 싶으면 동일한 용도의 컵만 모아야 한다.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은 "따로 배출해야 하는 투명페트병의 종류를 명확하게 홍보해야 한다"며 "투명한 페트재질이면 모두 투명 페트병에 배출하면 되는줄 아는 소비자가 아직도 많기 때문에 정확한 기준을 알려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많은 페트 재질 가운데 '투명 페트병'만 분리배출하는 이유도 소비자들이 헛갈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무엇보다 소비자들이 육안으로 페트 재질을 구분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카페의 일회용 플라스틱 컵도 'PET·PP·PS'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된다. 그러나 모두 투명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같은 재질이라고 착각한다. 게다가 일부 플라스틱은 복합재질로 돼 있어서 분리배출을 더 어렵게 만든다.

그러나 음료나 생수를 담는 '페트병'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단일 재질을 사용한다. 투명재질이므로 이물질 여부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 '페트병'이 다른 페트 재질에 비해 세척도 쉽다.

환경부는 "이물질이 묻어있으면 고품질 재활용에 방해가 된다"며 "음료나 생수는 물로 간단히 세척할 수 있지만 간장, 식초같은 양념이나 세제 등을 보관했던 용기는 기름 성분이 남아 있어 깨끗하게 세척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어 "페트병은 라벨을 떼고 이물질을 제거해 배출하면 입구 부분의 뚜껑만 제거해 쉽게 재활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양념류, 식용유, 식품 포장 용기 등은 투명한 PET지만 일반 플라스틱으로 버려진다.(사진=서울특별시)


◇ 다른 플라스틱도 '페트병'처럼


소비자들이 분리배출하는데 헷갈리지 않도록 '페트' 마크를 재질별로 구별할 수는 없을까?

아쉽게도 이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한다. 전문가에 따르면 화학적 표기는 모두 같은 'PET'이고, 용도에 따른 미세한 차이에 의해 수많은 재질로 나뉘어지기 때문에 이를 구별하는 마크가 오히려 소비자들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오동엽 한국화학연구원 박사는 "분리배출에 대해 시민들에게 요구하는 것이 많아질수록 혼란이 가중되고 참여율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투명 페트병 분리배출이 성공적으로 시행될 수 있었던 건 페트병이 PET로 된 단일 소재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른 플라스틱 제품들도 페트병처럼 용도에 적합한 소재로 단일화한다면 플라스틱 재활용률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아워홈, 실온에서 분해되는 ‘자연생분해성 봉투’ 2종 개발

아워홈은 ESG 경영 강화를 위해 친환경 제품 2종을 개발해 전국 단체급식, 외식 매장에 도입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친환경 제품은 자연생분

남양유업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참가 초등학생 1000명 모집

남양유업은 서울·경기권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하반기 교육신청을 오는 9월 9일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한다고 28일 밝

SPC, 야간근로 8시간 제한...新근무제 9월부터 시범운영

SPC그룹이 각 계열사별로 생산직 야간근로를 8시간 이내로 제한하는 새로운 근무제도를 9월부터 시범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SPC그룹은 이재명 대통령

대한항공-아시아나, 폐유니폼으로 만든 파우치 판매수익금 전액 기부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과 함께 업사이클링(Up-cycling·새활용) 보조배터리 파우치를 제작해 판매한 수익금 전액을 포함한 기부금을 사단법인 소

현대백화점그룹, ESG 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 그룹 내 계열사의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체계적으로 통합관

우리은행 'K-택소노미 AI' 도입으로 녹색금융 지원 강화

우리은행은 시중은행 최초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여신 심사에 활용하는 'K-택소노미 전문상담 AI'를 도입했다고 25일 밝혔다. 'K-택소노미'는 지난 202

기후/환경

+

英 141년만에 가장 더운 여름…10년새 평균기온 1.54°C 상승

영국은 올여름 10년전에 비해 평균기온이 1.54℃ 상승하면서 1884년 기상관측 이래 가장 더운 여름을 기록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영국 기상청은 지난 2

산림벌채로 20년간 열대지방 50만명이 사망...왜?

지난 20년간 벌채 등 토지개간으로 국지적 기온이 상승하면서 열대지방에서 50만명이 사망했다고 연구결과가 나왔다. 숲이 사라지면서 기온이 오르고

토양 미생물에서 '슈퍼박테리아' 잡을 항생물질 발견

일반 항생제가 듣지 않는 '슈퍼박테리아' 황색포도알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생물질이 발견됐다.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이 자생 방선균 '스트렙

선체 수중청소시 발생하는 중금속 부산물 "해양생태계에 악영향"

선박을 로봇으로 청소하는 과정에서 떨어져나오는 부산물이 바닷물을 오염시켜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해양과학기술원(

"韓 2035 온실가스 60% 감축 가능"...국내 연구진이 방법 제시

'2050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는 우리나라가 203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 60%까지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환

[영상]"새로 개봉한 종말 영화인줄"...美 애리조나 덮친 거대 모래폭풍

미국 서남부 애리조나주에 거대 모래폭풍이 덮쳐 항공편이 지연되거나 건물이 파손되는 등 피해가 잇따랐다.26일(현지시간) AP통신, 가디언 등 주요 외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