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물담치' 멸종하면 안되는 5가지 이유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3-25 08:00:03
  • -
  • +
  • 인쇄

뉴스;트리는 기후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글로벌 언론인 협력체인 '커버링 클라이밋 나우'(Covering Climate Now:CCNOW) 대한민국 2호 미디어 파트너로 등록된 언론사입니다. CCNOW는 미국 컬럼비아저널리즘리뷰와 더네이션이 주도해 결성한 단체로, 가디언과 블룸버그, AFP, 로이터, CBS, NBC, 알자지라, 아사히신문 등 전세계 578개 언론사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CCNOW에서 공유하고 있는 뉴스와 정보를 아래와 같이 번역해 게재합니다.

▲ 진주담치. 북미에 서식하는 담치종 가운데 35종 이상은 이미 사라졌으며 남아있는 담치종 중 65%도 멸종위기에 처했다. (사진=아메리칸리버스)


지난해 9월 미국 어류야생동물관리국은 23종을 연방 멸종위기종 목록에서 삭제할 것을 제안했다. 개체수가 증가했기 때문이 아니라 멸종된 것으로 간주됐기 때문이다.

관련 뉴스들은 흰부리딱따구리, 바흐만울새(Bachman’s warbler) 등 일부 유명한 생물만 강조했다. 8종의 민물담치인 납작돼지발톱(flat pigtoe), 푸른꽃진주담치(green-blossom pearly mussel), 남조개(southern acornshell), 등자조개(stirrupshell), 덩굴꽃진주담치(tubercled-blossom pearly mussel), 부은꽃진주담치(turgid-blossom pearly mussel), 고지빗조개(upland combshell), 노란꽃진주담치(yellow-blossom pearly mussel)는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지만 제대로 조명되지 않았다.

북미에는 약 300여종의 담치가 서식한다. 세계에서 가장 다양한 민물담치종들이 살고 있다. 하지만 민물담치는 멸종위기에 처한 생물종으로, 북미 담치종 가운데 35종 이상이 이미 사라졌고 남아있는 담치종 중 65%도 멸종위기에 처했다. 멸종 원인으로는 침입종, 오염, 댐 건설과 같은 토지개발로 꼽힌다.

더욱이 민물담치는 강과 하천 생태계 유지에 중요해 이들이 멸종 문제는 훨씬 심각한 문제의 징후로 부각되고 있다. 담치 개체수의 감소는 담수생태계도 위기에 처했음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강과 하천을 지키려면 담치를 보호해야 한다.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선 먼저 담치의 가치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들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 수질정화···화학약품까지 제거

담치는 작은 정수식물과 같다. 담치는 사이펀(siphon)이라고도 하는 흡입관으로 수중 박테리아, 병원균 및 조류를 걸러낸다. 이런 입자들이 담치의 주식이지만, 일부 담치는 화학약품, 제초제 및 내연제까지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특성이 수질 정화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담치에는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여과율은 종류와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연구에 따르면 성체담치 한 마리가 하루에 10갤런(37.85리터) 이상의 물을 정화할 수 있다고 한다. 담치가 물속 조류 양을 줄이고 수질을 정화하면 더 많은 빛이 수면 아래 식물에 도달하고, 식물은 다시 무척추동물, 어류, 오리 및 기타 수생생물들의 먹이가 된다.

민물담치전문가인 캐린 본(Caryn Vaughn) 미국 오클라호마대학 생물학 교수는 "담치를 보호하면 수질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밝혔다. 반대로 수질을 개선하고 유출수를 억제하는 것 또한 위험에 처한 담치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관련 연구분야의 선두주자로는 머셀포클린워터이니셔티브(Mussels for Clean Water Initiative)를 운영 중인 델라웨어강파트너십(Partnership for the Delaware Estuary)이 있다. 이 프로그램은 건강한 생태계 및 수질정화를 목적으로 담치를 양식하고 있으며, 2018년 처음으로 3만마리의 담치를 방생했다.


◇ 담치 배설물은 무척추동물의 먹이

담치의 배설물은 먹이사슬의 기초인 무척추동물의 좋은 먹이가 된다. 캐린 본 교수는 담치가 배설물(생체퇴적물)로 퇴적물 속 박테리아 군집에 유기물을 공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담치 자체도 물고기, 거북이, 새, 너구리, 수달, 사향쥐 등 다양한 포식자들의 먹이가 되며 이 생태계 주기가 계속 반복된다.


◇ 수중건축가···수중생물의 공간

건강한 개울에 사는 담치는 종종 한데 모여들어 '살아있는 구조물'이 된다. 이러한 담치시설과 그 사이사이에 형성된 공간들은 작은 물고기, 조류, 곤충유충, 수생벌레와 달팽이 그리고 다른 무척추동물들에게 피난처가 된다.

2019년의 한 연구는 담치와 빈껍데기 모두 수생생물의 주요 서식지가 되는 틈새공간을 늘린다고 발표했다. 심지어 담치가 죽거나 먹힌 후에도 남은 껍데기가 더 큰 포식자들로부터 피난처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살아있는 담치가 퇴적물을 안정시키고 강의 침식이나 종의 이동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도 나왔다. 본 교수는 "건강한 담치 구조물이 있으면 홍수가 나도 모든 유기체가 제자리를 지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 물고기의 피난처

2019년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민물담치 근처에 있을 때 물고기의 생존율도 증가한다고 한다. 연구진은 마른 웅덩이에서 민물담치와 사는 물고기들이 더 오래 생존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는데, 이는 담치가 형성하는 유기체를 물고기가 먹고 생존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됐다.

연구진은 "성체담치와 담치로 인해 증가하는 자원이 '생태적 위기' 때 물고기에게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담치가 보존되면 물고기 개체군은 가뭄에 더 잘 견딜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기후변화로 가뭄이 악화되면서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 장수하는 담치는 자연환경 기록원

담치는 훌륭한 자연환경 기록원이다. 담치종은 대부분 수명이 길며 어떤 종은 70년 이상 장수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담치는 거의 움직이지 않고 하천 바닥에 잠복한 채 물에서 영양분과 화학물질을 흡수한다. 이 흡수한 물질들이 장기간에 걸쳐 담치의 신체조직과 껍데기에 기록되는 셈이다.

본 교수는 "담치껍데기 고리를 보고 60~70년 전 강에 어떤 화학물질이 있었는지 알 수 있다"며 민물담치를 통해 과거를 밝히고 미래의 환경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게 다가 아니다. 2019년 영국의 한 연구는 담치껍데기가 나무의 나이테처럼 계절별 수온을 기록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이것이 미래 기후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기준선을 확립하고 온도에 민감한 분류군의 보존노력을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데이비드 스트레이어(David Strayer) 민물생태학자는 2017년 연구 논문에서 "담치가 인간에게 수백만 달러의 상당한 가치가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며 이러한 부분이 환경의사결정에 고려되어야 한다고 작성했다.

* 이 내용은 The Revelator의 타라 로한(Tara Lohan) 부편집장이 3월 21일 게재한 기사입니다. This article by Tara Lohan from The Revelator is published here as part of the global journalism collaboration Covering Climate Now.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환경부 '한국형 녹색채권' 3.9조 발행..."녹색산업이 국가경쟁력 좌우"

올 연말까지 총 3조9000억원 규모 한국형 녹색채권이 발행된다.25일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서울 용산구 몬드리안호텔에서 '2024년 한국형 녹색

전력거래소 비상임 3명 고발당했다..."이해충돌방지법 위반"

전력거래소가 선임한 비상임이사 3명이 이해충돌방지법 위반으로 고발당했다.25일 기후솔루션과 18개 태양광협동조합, 대한태양광발전사업자협회, 전

당장 코앞에 닥친 국제환경규제..."대-중소기업 상생으로 대응해야"

급박하게 돌아가는 환경통상규제를 적시에 대응하려면 공급망 전체가 일사불란하게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대중소기업 상생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

빙그레, 탄소중립 실천·자원순환 활성화 MOU

빙그레가 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 E-순환거버넌스와 탄소중립 실천 및 자원순환 활성화를 위한 다자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업무협약

포스코, 해수부와 '바다숲' 조성 나선다

포스코가 블루카본과 수산자원 증진을 위해 바다숲을 조성한다.포스코는 24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해양수산부, 한국수산자원공단 및 포항산업과학연

두나무, 사내 ESG캠페인으로 1년간 1만8000kg 탄소감축

두나무가 임직원 대상 ESG 캠페인을 통해 지난 1년간 약 1만8000kg의 탄소를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24일 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기업 두나무는 지난 1년

TECH

+

LIFE

+

순환경제

+

Start-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