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가 앗아간 봄...인도-파키스탄 50℃ 폭염 '맹위'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5-18 15:29:08
  • -
  • +
  • 인쇄
300년에 한번 오던 폭염, 기후위기로 3년에 한번꼴
불평등·경제피해 확산..."조기경보시스템 구축해야"
▲더위를 식히고 있는 파키스탄 카라치의 한 보행자 (사진=연합뉴스)

파키스탄과 인도 일부 지역에서 봄이 사라지고 있다. 여름이 시작하기도 전에 기온이 50℃ 넘게 오르면서 펄펄 끓는 '살인폭염'이 맹위를 떨치는 가운데 앞으로 이같은 기상이변이 100배 더 잦아질 것이라는 분석까지 나온다.

올 3월부터 석달째 파키스탄과 인도 서북부 지역에서는 122년 관측사상 최악의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상황이 심상치 않음을 감지한 영국 국립기상청 메트오피스는 1900년부터 지금까지 기상관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의 4~5월 기온 분석에 착수했고, 18일 그 결과를 공개했다.

메트오피스에 따르면 현재 파키스탄과 인도 일부지역에서 벌어지는 '열파현상'은 312년에 한번꼴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도는 2010년에 50℃가 넘나드는 찜통더위가 발생한 적이 있다. 폭염의 강도뿐 아니라 빈도가 잦아지고 있는 것이다. 메트오피스는 앞으로 3년마다 비슷한 규모의 열파현상이 해당 지역을 덮칠 것으로 전망하며 '기후위기'를 그 원인으로 꼽았다.

기후위기로 인한 폭염은 불평등을 확산시키고 있다. 2021년 파키스탄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세계 배출량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그럼에도 국제기후위기 독립평가기관인 저먼워치는 파키스탄을 극한 기상이변으로 발생한 피해규모가 8번째로 큰 국가로 지목했다. 일례로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주 산간지방은 수원이 모두 말라붙어 주민들은 녹슨 수도관에서 흘러나오는 오염된 물을 마시고 있다. 이 까닭에 2000여명이 콜레라에 감염됐고 6명이 숨졌다.

경제 피해도 심각하다. 지난 13일 인도 대외무역총국(DGFT)은 밀 수출을 전면 금지시켰다. 올 4월 '인도의 빵 바구니'로 불리는 펀자브 지방의 밀 수확량이 1헥타르(㏊)당 500kg이나 감소하면서 인도의 밀 가격이 20~40% 폭등한 데 따른 특단의 조치였다. 올 4월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식량가격지수'는 158.5로, 지난해 같은 기간 122.1에 비해 수직상승하며 식량발 인플레이션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른 피해는 지속적으로 누적될 전망이다. 맥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는 온도와 습도 상승으로 근로시간이 줄어들면서 총 2500억달러(약 317조원)의 피해가 발생하고, 2030년에 이르면 인도 국내총생산(GDP)이 4.5% 역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폭염으로 좌초자산으로 전락하는 사회기반시설이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로 지난 7일 파키스탄 길기트 지역에 위치한 하사바드 다리는 파키스탄 북부 쉬스퍼 빙하가 이상고온으로 녹아내리면서 발생한 홍수로 붕괴됐다.

전문가들은 기후위기로 인한 피해규모를 사전에 파악하고 대비책을 강구할 수 있는 '기후조기경보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인도와 파키스탄 정부는 접경지역 강 수위를 비롯한 정보와 연구자료를 유엔(UN) 전문기구인 세계기상기구(WMO)와 함께 공유하며 협력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WMO는 지난 3월 '세계 기상의 날'을 맞아 기후조기경보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국내 일부 지방자치단체들도 이상고온에 대비하는 모습이다. 경기도는 이달 20일부터 9월 30일까지 '폭염대책기간'으로 지정하고 각종 폭염 종합대책을 시행한다고 18일 밝혔다. 인명피해 우려지역 774개소를 재해 우려지역으로 지정하고, 공무원과 이·통장을 현장관리책임자로 지정해 기상특보시 위험상황을 신속히 전파, 통제와 주민대피를 시행할 예정이다. 또 41개소에 둔치주차장 침수 신속알림시스템, 하천진입 차단시설, 침수위험 지하차도 출입 자동차단시설을 설치해 모니터링과 자동 통제가 가능한 현장관리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두나무 인수한 네이버...AI와 블록체인 앞세워 '글로벌 금융' 노린다

세계 3위 가상자산거래소 두나무가 네이버 품에 안기면서 20조원 규모의 금융플랫폼이 탄생했다. 26일 네이버와 두나무 이사회는 네이버파이낸셜과 두

'비상경영' 롯데 인적쇄신...부회장 전원 용퇴에 CEO 20명 '물갈이'

롯데그룹이 부회장단 전원 교체와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20명을 교체하는 대대적인 '물갈이' 인사를 단행했다.롯데그룹은 2026년 임원인사에서 9

롯데케미칼-현대케미칼, 석화공장 합친다...울산과 여수도 통폐합 속도?

롯데케미칼과 HD현대케미칼의 석유화학 사업이 합쳐진다. 지난 8월 20일 10개 석유화학 기업이 사업재편을 위한 자율협약을 맺은 이후 첫번째 구조조정

엑손모빌 '화학적 재활용' 놓고 '그린워싱' 공방 격화

플라스틱 화학재활용을 둘러싼 엑손모빌과 환경단체의 충돌이 격화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엑손모빌은 플라스틱 폐기물

우리銀, 사회적경제기업 10곳 선정…최대 2000만원 지원

우리은행이 사회적경제기업을 발굴해 최대 2000만원을 지원하는 '임팩트 챌린지' 공모를 시작했다.우리은행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과 함께 '2025년 우

위생행주·인조잔디까지...CJ제일제당, PHA 적용제품 확대

CJ제일제당이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Polyhydroxyalkanoates)'의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CJ제일제당은 PHA를 적용한 '빨아쓰는 생분해 위생행주', '생분

기후/환경

+

플라스틱 문제 일으키는 '조화'...인천가족공원서 반입 금지될듯

인천가족공원에 플라스틱 조화(造花) 반입을 자제하도록 하는 조례 제정이 추진된다.26일 인천시의회에 따르면 전날 산업경제위원회를 통과한 '인천시

'2.5°C' 상승한 우즈베키스탄…극심한 가뭄에 이미 위기상태

우즈베키스탄 일부 지역의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대비 2.5°C까지 상승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온난화로 인한 가뭄과 물부족이 심해질 것으로 전망되

엑손모빌 '화학적 재활용' 놓고 '그린워싱' 공방 격화

플라스틱 화학재활용을 둘러싼 엑손모빌과 환경단체의 충돌이 격화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엑손모빌은 플라스틱 폐기물

태평양 참치에서 검출된 '수은' 오염경로 추적해봤더니...

참치 등 태평양에서 서식하는 해양어류 몸속에 수은이 어떻게 축적되는지 그 경로가 밝혀졌다.포항공대(POSTECH) 환경공학부 권세윤 교수연구팀과 한국

알프스·안데스·히말라야가 위험하다...기후변화로 곳곳이 '흔들'

험준한 산악지대로 유명한 히말라야를 비롯해 알프스, 안데스산맥이 기후변화가 불러온 기온과 강수패턴 변화로 인해 무너져내리고 있다. 25일(현지시

폭염에 열받은 젖소들...우유 생산량 줄고 있다

젖소들이 폭염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우유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줄고 있어 낙농가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25일(현지시간) 푸드앤와인(Food & Wi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