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분야 국감 핫이슈는?…전력시장 혁신·탈원전 논란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2-09-27 11:24:38
  • -
  • +
  • 인쇄
▲원전 신한울 1호기(사진=한국수력원자력)

최근 4년간 에너지 분야 국정감사 핫이슈는 전력시장 혁신과 재생에너지, 탈원전 논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전환포럼은 27일 최근 4년(2018~2021년)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위원회(이하 산자위) 에너지부문 국정감사 질의를 전수조사한 결과 '전력부문 탈탄소화'와 '전력시장 혁신'에 대한 질의가 139건(33.7%)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이 129건(31.3%), '원전 감축과 안전한 핵폐기물 관리'가 57건(13.8%) 순이었다.

'전문가 및 시민 양성' 관련 질의는 4년간 단 2건에 불과해 산자위 국정감사에서 가장 낮은 관심도를 보였다.

▲최근 4년간 산통위 국감 주제별 질의 현황 (자료=에너지전환포럼)

특히 전력부문 탈탄소화와 전력시장 혁신 중에서 가장 관심이 높았던 이슈는 ▲제도개선 부문이 3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탄소배출거래제 ▲수요반응(Demand Response, DR) 제도 ▲RPS 및 REC, PPA, RE100 등의 질의가 많았다. 제도개선 다음으로 관심이 높았던 이슈는 '탄소저감' 부문으로 총 30건의 질의가 있었다. ▲일반적 탄소저감을 위한 방법 ▲그린수소 ▲바이오매스 ▲연료전지 등 4개 분야에 대한 질의가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오매스 관련 질의는 정당간 입장차가 있었다. 민주당 의원은 목재펠릿을 이용한 발전이 석탄화력발전소의 또다른 변형이라고 지적한 반면, 국민의힘 의원은 목재펠릿 혼소율을 높일 것을 요구했다.

탈석탄 관련 질의는 석탄화력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는 발전5사와 산업통상자원부에 질의가 집중됐으며,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구체적인 감축 방안 및 에너지전환 방향 제시를 요구하는 질의가 많았다.

▲정당 간 입장차가 극명하게 갈린 '원전' 관련 질의(사진=에너지전환포럼)

정당간 입장차가 가장 극명하게 갈리는 이슈는 '원전 감축과 안전한 핵폐기물의 관리' 관련 질의였다. 특히 국민의힘 의원들은 탈원전 속도 조절이 필요하며, 현재보다 원전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주를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한국수력원자력에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한 입장을 밝히라거나, 외압성 여부, 원전 감축 속도 조절의 필요성 등에 대해 집요하게 질의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원전과 관련해 가장 많은 질의가 있었던 것은 '안전관리 강화' 부문으로 총 23건의 질의가 있었다. 원전의 전반적인 안전 관리를 위한 전수조사 필요성, 안전 인력 교육,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 대응 관련 이슈가 주된 질의 주제였다.

에너지전환포럼 권상화 연구원은 "국정감사 분석결과 대부분의 국회의원들은 에너지전환 및 탄소중립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하면서도 "그러나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목표 설정 정도와 에너지전환 속도에 대해서는 정당 간 이견을 보였고, 원전과 관련해서는 정치적 차원에서 제기된 이슈가 많아 합리적인 논의가 이뤄지지 않은 점이 아쉬웠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삼성전자, 5년간 6만명 신규채용...'반도체·바이오·AI' 중심

삼성전자가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앞으로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18일 밝혔다. 매년 1만2000명씩 채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장기업 보고, 6개월로 바꾸자"...트럼프 주장에 美 또 '술렁'

미국 상장기업의 보고서가 분기에서 반기로 변경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17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장기업의

카카오, 지역 AI생태계 조성 위해 5년간 '500억원' 푼다

카카오그룹이 앞으로 5년간 5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지역 인공지능(AI) 생태계 육성에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카카오그룹은 지역 AI 육성을 위한 거점

[ESG;NOW] 올해 RE100 100% 목표 LG엔솔 '절반의 성공'

국내 많은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내세우면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 혹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발간하고 있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글로벌 신약개발 역량 고도화"

글로벌 항암제 개발기업 'HLB'와 펩타이드 기반 신약개발 기업인 'HLB사이언스'가 합병한다.HLB와 HLB사이언스는 17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두 회사의 합병

[르포] 플라스틱을 바이오가스로?...'2025 그린에너텍' 가보니

17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개막한 '2025 그린에너텍(GreenEnerTEC)'의 주요 테마는 '바이오플라스틱'이라고 할 수 있었다.올해 4회를 맞이하는 그린에너텍

기후/환경

+

뜨거워지는 한반도...2100년 폭염일수 9배 늘어난다

한반도 기온이 매년 상승하고 있어 2100년에 이르면 여름철 극한강우 영향지역이 37%로 확대되고 강수량도 12.6% 증가한다는 전망이다. 또 폭염일수도 지

국민 61.7%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60% 넘어야"

우리나라 국민의 61.7%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60% 이상 감축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왔다.기후솔루션이 지난달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200

美 트럼프 법무부 '기후 슈퍼펀드법'까지 폐지한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법무부가 석유화학 대기업에 기후피해를 배상하게 하는 '기후 슈퍼펀드법'까지 폐지하려는 것으로 드러났다.17일(현지시

강릉 가뭄 '한숨 돌렸다'...'단비' 덕분에 저수율 23.4%까지 회복

한때 11%까지 내려갔던 강릉의 저수율이 지난 수요일 내린 폭우 덕분에 18일 오전 6시 기준 23.4%까지 회복됐다. 아직도 평년 저수율 71.8%에 크게 못미치는

폭염 '조용한 살인자'...유럽과 호주, 온열질환 사망자 급증

북반구와 남반구 할 것 없이 기후변화로 뜨거워진 폭염에 사람들이 죽어나가고 있다. 올여름 유럽에서 온열질환으로 사망한 사람 3분의 2는 지구온난

[알림]'기후테크 스타트업 혁신어워즈' 6개사 선정...19일 시상식

기후변화에 맞서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 기후테크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을 발굴하는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혁신 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