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한 비영리단체가 지역에서 완전히 사라진 '소똥구리'를 지역 생태계 복원을 위해 다른 지역에서 들여와 방사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유럽 비영리단체 '리와일딩유럽'(Rewilding Europe)은 최근 소똥구리 약 60마리를 프랑스 가스코뉴 지역의 에탕 드 쿠소 습지 자연보호구역에 방사했다. 이들은 소똥구리가 지역 생태계 기능을 회복시킬 것으로 기대했다.
방사된 소똥구리는 식별을 위해 마커펜으로 등에 녹색 점으로 표시했다. 이 소똥구리들은 프랑스 남부 몽펠리에에서 들여온 종(scarabaeus laticollis)으로 최대 2년까지 살고 애벌레를 배설물 덩어리에 낳는다.
리와일딩유럽은 소똥구리 무리 중 한 쌍이 방사 직후 짝짓기하는 것을 목격했다고 전했다. 이는 소똥구리가 에탕 드 쿠소 지역에 자리잡을 수 있는 신호로 해석했다.
프랑스 가스코뉴 지역의 소똥구리는 1960년대 야생 소 개체수가 감소하면서 자취를 감췄다. 크리스텔 샤를릭스(Christelle Charlaix) 에탕 드 쿠소 자연보호구역 부소장은 "전세계적으로 농축산업이 집약화하고 산업에 쓰이는 구충제가 폐기물로 누출되면서 소똥구리 개체수가 크게 줄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이 지역 소에는 약물을 쓰지 않는다"며 "소에게 기생충이 있어도 이는 생명주기와 생물다양성의 일부"라고 말했다.
소똥구리는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5000종 이상이 발견된다. 모든 소똥구리가 배설물을 공 모양으로 만들어 굴리는 습성을 가진 것은 아니다. 어떤 종은 똥 속에 터널을 파는가 하면, 다른 소똥구리가 만든 똥 경단을 훔치거나 아예 배설물 위에 사는 종도 있다. 이들은 생태계에서 분해 및 종자분산 역할을 해 핵심종으로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소똥구리'는 우리나라에서도 사실상 멸종됐다. 지난달 25일 국립생물자연관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소똥구리' 1종은 '지역절멸'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절멸이란 '지역 내 잠재적 번식능력을 가진 마지막 개체가 죽거나 지역 내 야생에서 사라져 버렸다는 점을 의심할 이유가 없는 경우'를 뜻한다.
소똥구리는 원래 농촌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었지만 서식지 훼손과 합성사료 속 화학물질에 노출되면서 개체수가 줄어 1970년대 이후 멸종 판정을 받았다. 현재 국내에 있는 소똥구리는 자연복원을 위해 국립생태원이 몽골에서 들여와 번식시키고 있는 것이 전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