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7억3500만명이 '굶고있다'...4년새 6배 증가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07-13 16:38:11
  • -
  • +
  • 인쇄
팬데믹과 우크라 전쟁, 기후위기가 요인
5세 미만 어린이 4500만명도 '영양실조'

코로나19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전쟁 그리고 기후위기로 2019년 이후 전세계 기아 인구가 1억2200만명에서 7억3500만명으로 크게 늘어났다.

12일(현지시간)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기아 인구는 2019년~2020년 급격히 증가했으며, 지금도 서아시아, 카리브해, 아프리카 전역에서 기아 인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보고서는 2030년까지 약 6억명이 만성적인 영양부족에 시달릴 것으로 내다봤다.

쿠 동유(Qu Dongyu) FAO 사무총장은 "팬데믹에서 회복은 고르지 못했고 우크라이나 전쟁은 식량에 영향을 미쳤다"며 "기후변화와 분쟁 그리고 경제적 불안정이 변두리에 있는 사람들을 안전에서 점점 더 멀어지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전세계 인구의 29.6%에 달하는 약 24억명 식량을 지속적으로 확보하지 못했다. 또 전세계 인구의 11.3%에 해당하는 약 9억명이 식량이 부족해 한 해동안 하루종일 식사를 하지 못하는 심각한 식량 불안에 시달리고 있다. 

뿐만 아니라 5세 미만 어린이 가운데 4500만명은 영양실조로 고통받고 있고, 같은 연령대의 1억4800만명은 성장과 발달에 장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과 옥수수, 해바라기유의 주요 생산국인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침공에 휘말려 전세계적으로 식량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한 것도 이같은 결과를 초래한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여기에 기후위기까지 기아 인구를 늘리는데 보태고 있다. 보고서의 주저자인 막시모 토레로(Maximo Torero) FAO 수석경제학자는 "기후위기가 코로나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전쟁만큼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둘보다 훨씬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세계 식량시스템은 심각한 위험과 불확실성에 시달리고 있을만큼 매우 취약하다"며 "예를들어 전세계에서 곡물을 수출하는 국가는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기후 충격으로 인해 이들 국가의 곡물 생산에 차질이 생긴다면 식량 가격이 폭등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폴린 체츄티(Pauline Chetcuti) 옥스팜(Oxfam) 정책책임자는 "풍요로운 세상에서 수십억명의 사람들이 굶주리는 것을 지켜보는 것은 용서할 수 없는 일"이라며 "지난해 식품 및 에너지 기업의 수익은 2배 이상 증가했지만, 전세계 인구의 3분의 1은 식량불안에 시달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영국 적십자사(British Red Cross) 선임 재난관리 코디네이터 알렉스 웨이드(Alex Wade)는 "나이지리아에서는 지난 2년동안에만 심각한 식량부족에 직면한 사람들의 수가 2배로 증가했다"고 말했다. 영국 적십자사에 따르면 서아프리카 국가들은 기후위기와 지역 분쟁의 영향,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치솟은 식량 가격으로 인해 기아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웨이드는 "이같은 기아의 중요한 원인은 기후변화로, 지난해 엄청난 홍수가 발생해 농작물이 파괴되고 식량 가격이 더욱 상승할 가능성이 훨씬 더 높아졌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돈지갑' 나왔다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이 나왔다. 한국조폐공사는 진짜 돈이 담긴 화폐 굿즈 신제품 돈방석·돈지갑을 출시하고, 지난 23일 오후 2시부터 와디

파리크라상 '사업부문'과 '투자·관리부문'으로 물적분할한다

SPC그룹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이 물적분할을 진행한다.SPC그룹은 지난 21일 이사회에서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에 대해 물적 분할을 결정했다고 24일 밝혔

광명시, 포스코이앤씨 공사장 오폐수 무단방류로 고발

포스코이앤씨가 오폐수 무단방류 혐의로 광명시로부터 고발당했다.경기도 광명시는 서울~광명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원광명지하차도 터파기 과정에

'온실가스 배출권' 24일부터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

24일부터 '온실가스 배출권'을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다.지금까지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한국거래소를 통해 배출권을 직접

하나금융, 금융권 최초 '2024 지속가능성 KSSB 보고서' 발간

하나금융그룹은 지속가능성 의무공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금융권 최초로 '2024 지속가능성 KSSB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4일 밝혔다.이번 보고서

농심 조용철 부사장, 신임 대표이사로 내정

농심은 조용철(63) 영업부문장 부사장을 12월 1일부로 신임 대표이사 사장으로 내정했다고 21일 밝혔다.신임 조용철 사장은 내년 3월 열리는 정기주주총

기후/환경

+

[날씨]"마스크 챙기세요"...전국 비·눈에 미세먼지까지 '나쁨'

25일 미세먼지로 서울을 포함한 중부·호남권의 대기질이 나쁘겠다.현재 국외에서 미세먼지가 유입되며 수도권과 강원 영서, 충청, 호남은 미세먼

올겨울 해수온 상승에 덜 춥다...때때로 '한파·폭설'

올겨울은 해수온 상승에 영향을 받아 예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추위가 덜하겠지만 때때로 강력한 한파와 폭설이 찾아올 수 있겠다.24일 기상청이 발표

지금도 난리인데...2100년 '극한호우' 41% 더 강력

탄소배출이 계속 늘어나면 2100년에 '극한호우'가 41% 더 강력해질 것이라는 예측이다.미국 텍사스A&M대학교 핑 창 박사연구팀은 기존 기후모델보다 4

美 민간 기후데이터 시장 '세력확장'...정부 관련조직 축소탓

미국 정부가 기후관련 예산과 조직을 대폭 축소하면서, 민간 기후데이터 기업들이 이를 빠르게 대체하면서 급성장하고 있다.22일(현지시간) 글로벌 분

4만년 잠들었던 알래스카 미생물 '부활'…기후위기 '새 변수'

알래스카 영구동토층에서 4만년간 잠들어있던 미생물이 온난화로 인해 되살아나면서 기후위기의 새로운 변수로 부상할 가능성이 제기됐다.22일(현지

[COP30] 화석연료에 산림벌채 종식 로드맵도 빠졌다

브라질 벨렝에서 지난 22일(현지시간) 폐막한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최종 합의문에는 화석연료뿐만 아니라 산림벌채 종식에 대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