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온난화에 질식하는 제주 앞바다…하얗게 변했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06-11 17:22:26
  • -
  • +
  • 인쇄
▲하얀 사막처럼 변해버린 제주 남부 연안(영상=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

온난화에 제주도 앞바다가 하얗게 질식하고 있다.

11일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이 공개한 '2023년 마을어장 자원생태환경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제주 남부지역은 석회조류 확산으로 어장 갯녹음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다. 갯녹음은 연안 암반지역에서 해조류가 사라지고 하얀 석회 조류가 달라붙으면서 암반지역이 흰색으로 변하며 사막처럼 황폐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를 '바다 사막화'라고 부른다.

연안 생태계에서 해조류는 어패류와 갑각류의 먹잇감인 동시에 은신처, 산란장을 제공하는 서식처 역할을 하는데, 갯녹음 현상으로 해조류가 사라지면서 해양생태계에 큰 변화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제주도 해수연이 수심별로 갯녹음 단계를 조사한 결과, 10개소 중 서귀포시 위미2리와 신천리 앞바다가 갯녹음 '심화' 단계로 파악됐다. 심화 단계는 갯녹음 진행이 80% 이상인 상황을 말한다. 신천리 앞바다는 수심 4~12m에서 심화 단계를 보였고, 위미2리 앞바다는 수심 4m~8m가 심화 단계였다. 남부해역 일부에서는 어장 내 갯녹음 현상으로 갈조류가 감소했다. 이외에도 고산리, 법환동, 이호동, 일과2리, 추자, 평대 지역에서는 갯녹음이 '진행'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 연안에 갯녹음 현상이 나타나는 원인은 명확히 밝혀진 바 없지만 농사 등에 쓰이는 생석회가 바다로 유입되거나 지구온난화로 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해수온 상승으로 해양의 이산화탄소 용해도가 낮아지면서 탄산칼슘이 석출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해수온 상승으로 아열대성 부착 산호류인 빛단풍돌산호와 거품돌산호가 제주 북동부와 추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해역에서 발견될 정도로 분포대가 넓어지고 있으며, 남부해역은 아열대성 생물의 분포비율이 갈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민 해양수산연구원장은 "이번 보고서가 대학과 연구소 등 관련 기관에서 제주 마을어장에 대한 연구 및 정책 추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면서 "올해부터 마을어장 주변으로 유입되는 농약과 비료 등 물질에 따른 해양수질과 해조류 생태계의 변화에 대한 정밀 조사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SK이노베이션, 2030년까지 베트남 맹그로브숲 복원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이 베트남에서 '아시아의 허파'로 불리는 맹그로브숲 복원사업에 나선다.SK이노베이션은 7일 베트남 짜빈(Tra Vinh)성 정부 및 현지 사회적기

KCC글라스 '2024-25 ESG보고서' 발간...KPI와 연계

KCC글라스가 지속가능경영 성과와 성장전략을 담은 '2024/25 ESG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올해 다섯번째로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ESG 전략목표와

[최남수의 ESG풍향계] 글로벌 기업들 '지속가능 공시' 적극적인 이유

이재명 정부는 ESG 정책에 대해 전향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 가운데 정책의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보이는 정책은 지속가능성 공시다. 윤석

SK케미칼 '2024 지속가능 경영보고서' 발간..."5대 과제 평가 담아"

SK케미칼이 1년간의 ESG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공시 기준으로 통용되는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우리은행 'G.우.주 프로젝트' 시행...경기도 보호아동 위해 6억 지원

우리은행이 'G.우.주 프로젝트'를 통해 보호아동을 위해 4년간 매년 1억5000만원을 지원한다.우리은행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

기후/환경

+

기후변화에 대응해 탄산칼슘 저장하는 무화과 나무...왜?

무화과 나무가 자신의 일부를 돌처럼 만들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일(현지시간) 스위스 취리히대학(UZH) 마이크 로울리 박사 연구팀

녹색전환硏, 노원구와 시민맞춤 ‘탄소중립 안내서’ 발간

서울 노원구에서 전국 최초로 시민 눈높이 '탄소중립 안내서'를 발간했다. 녹색전환연구소와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와 서울 노원구와 함께 '탄소중립

벌채지역 제품 판매금지...유럽 '산림벌채법' 앞두고 회원국들 반발 확산

오는 12월 세계 최초로 '산림벌채법'(EUDR) 시행을 앞두고 있는 유럽연합(EU)에서 주요 회원국들이 규정 완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 법은 벌채된 땅에서

온난화로 빙하 녹으면서…전세계 화산 폭발 더 격렬해진다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면서 그 영향으로 전세계 화산 폭발이 더 빈번하고 규모도 커질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매디슨 위스콘신대 연구

전세계 덮친 가뭄 '지구적 재앙'…강원 동해안도 생활·농업용수 위기

전세계가 폭염뿐 아니라 가뭄의 습격도 받고 있다. 지구 곳곳에서는 최악의 가뭄이 이어지면서 물부족 사태를 겪고 있고, 우리나라 강원도 동해안의

폭염에 카디건·셔츠 매출 '쑥'...이상기후에 뜨는 '시즌리스 상품'

이상기후가 일상화되면서 백화점 소비패턴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장마철 대표 아이템으로 꼽히던 레인부츠와 방수재킷 대신 실내 냉방 환경에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