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무역전쟁 중에도 성장률 5.4%↑…생산·소비 전망치 웃돌았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4-16 15:34:47
  • -
  • +
  • 인쇄
▲베트남 방문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과 토 람 베트남 사무총장(사진=AP 연합뉴스)

미중 관세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중국 경제가 시장 전망치를 상회하는 '깜짝 실적'을 기록했다. 미국의 대(對)중 관세 발효 전 대대적인 '밀어내기 수출'로 미래 실적을 끌어온 결과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 영향이 나타나기 시작할 2분기부터 타격을 얼마나 완화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올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한 31조8758억위안(약 6187조원)으로 집계됐다고 16일 밝혔다. 시장 전망치는 5.2%로 이를 웃도는 성장세를 보인 것이다.

이날 함께 발표된 중국의 3월 산업생산도 전년 대비 7.7% 늘어나며 시장 컨센서스를 대폭 상회했다. 1~2월 5.9% 성장에 비해 성장폭이 2%포인트(p)에 달한 것이다. 1~3월 누적 고정자산투자 역시 지난해보다 4.2% 늘어나며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성라이윈 국가통계국 부국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중국이 달성한 1분기 5.4% GDP 성장률은 세계 주요 경제국 가운데 단연 상위권에 속하는 숫자"라며 "내수와 혁신을 중심으로 한 중국의 새로운 경제 구도가 형성되고 있다"고 말하며 중국 경제의 성취를 자찬했다.

다만 이번 성장은 관세 발효 이전에 발빠르게 미국으로의 수출물량을 늘린 결과로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마약성 진통제 펜타닐 관련 문제로 중국에 20% 관세를 부과했고, 지난 2일부터는 상호관세도 부과하기 시작했다. 처음 34%였던 대중 상호관세는 중국의 보복관세 조치에 따라 급격히 오르면서 총 125%까지 상승했다. 총 145% 관세가 추가돼 미국이 중국에 부과한 평균 관세율이 167%에 달한다.

전문가에 따르면 중국에서 제품들이 미국 시장으로 수출돼 재고로 적재됐다가 판매되는데 2~3개월의 시차가 있어 본격적인 관세 영향이 나오는 건 2~3분기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올해 초 부과된 20% 관세는 4~5월부터 영향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중국 내에서 생산량과 수출량이 급격히 증가했다. 앞서 14일 발표된 중국의 3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2.4% 늘었다. 관세 발효 이전에 미국으로 수출물량을 늘렸다는 의미이며, 동시에 1분기 실적이 미래 실적을 당겨쓴 결과라는 반증이다.

경제 전문가들은 중국이 관세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관세 전쟁 양상이 달라질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프랑스 투자은행 나틱시스는 "트럼프 관세폭탄으로 중국 경제 성장 둔화가 예상되며 이 여파는 상당히 길게 작용할 것"이라며 "연초에 반짝 성장 후 2분기부터 꺾이는 이른바 '서머 블루'(우울한 여름) 현상이 재현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은 우선 내수 시장 활성화 기조를 유지하면서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 등 아세안 국가들과 유럽연합(EU) 등과 연계해 무역 대상을 확장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14일부터 오는 18일까지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그리고 캄보디아를 국빈방문 중이며, 왕원타오 상무부장은 마로시 셰프초비치 유럽연합(EU) 무역·경제안보 담당 집행위원과 중국산 전기차에 부과되는 40%대 관세를 폐기하고 최저가격제를 도입하는 협상을 재개하기로 합의하면서 EU와의 관계 개선에 나서는 등 외교에 힘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역시 경제 상황 악화를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여, 미중 양국 중 누가 상대적으로 덜 우울한 여름을 보내느냐에 따라 관세 전쟁의 종착점이 보일 전망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롯데케미칼-현대케미칼, 석화공장 합친다...울산과 여수도 통폐합 속도?

롯데케미칼과 HD현대케미칼의 석유화학 사업이 합쳐진다. 지난 8월 20일 10개 석유화학 기업이 사업재편을 위한 자율협약을 맺은 이후 첫번째 구조조정

엑손모빌 '화학적 재활용' 놓고 '그린워싱' 공방 격화

플라스틱 화학재활용을 둘러싼 엑손모빌과 환경단체의 충돌이 격화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엑손모빌은 플라스틱 폐기물

우리銀, 사회적경제기업 10곳 선정…최대 2000만원 지원

우리은행이 사회적경제기업을 발굴해 최대 2000만원을 지원하는 '임팩트 챌린지' 공모를 시작했다.우리은행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과 함께 '2025년 우

위생행주·인조잔디까지...CJ제일제당, PHA 적용제품 확대

CJ제일제당이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Polyhydroxyalkanoates)'의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CJ제일제당은 PHA를 적용한 '빨아쓰는 생분해 위생행주', '생분

LS, LS전선에 1500억 유증 참여..."美 생산거점 확보 차원"

㈜LS가 미국 내 생산거점 확보를 위해 LS전선의 주주배정 유상증자에 참여, 약 1500억원 규모의 출자를 결정했다.LS는 25일 열린 이사회에서 LS전선 보통주

[ESG;NOW] 매일유업 재생에너지 3%...수질지표 더 악화

매일유업은 온실가스 감축, 물 사용효율 개선, 포장재 절감 등을 ESG 핵심목표로 제시해 왔다. 그러나 본지가 2024년 환경자료와 회사 측 회신을 종합 분

기후/환경

+

엑손모빌 '화학적 재활용' 놓고 '그린워싱' 공방 격화

플라스틱 화학재활용을 둘러싼 엑손모빌과 환경단체의 충돌이 격화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엑손모빌은 플라스틱 폐기물

태평양 참치에서 검출된 '수은' 오염경로 추적해봤더니...

참치 등 태평양에서 서식하는 해양어류 몸속에 수은이 어떻게 축적되는지 그 경로가 밝혀졌다.포항공대(POSTECH) 환경공학부 권세윤 교수연구팀과 한국

알프스·안데스·히말라야가 위험하다...기후변화로 곳곳이 '흔들'

험준한 산악지대로 유명한 히말라야를 비롯해 알프스, 안데스산맥이 기후변화가 불러온 기온과 강수패턴 변화로 인해 무너져내리고 있다. 25일(현지시

폭염에 열받은 젖소들...우유 생산량 줄고 있다

젖소들이 폭염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우유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줄고 있어 낙농가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25일(현지시간) 푸드앤와인(Food & Wi

[ESG;NOW] 매일유업 재생에너지 3%...수질지표 더 악화

매일유업은 온실가스 감축, 물 사용효율 개선, 포장재 절감 등을 ESG 핵심목표로 제시해 왔다. 그러나 본지가 2024년 환경자료와 회사 측 회신을 종합 분

땅속에서도 죽지 않는다...북극 동토층 '좀비 산불'로 몸살

땅속으로 파고든 불씨가 죽지않고 타는 '좀비 산불'이 시베리아와 캐나다, 알래스카 등 북극의 새로운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 '좀비 산불'은 유기토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