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에 대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호감도가 3년째 상승하고 있다. 기업은 국가경제에 기여하고 일자리를 만들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꼽았다. 또 국민의 74%는 기업의 사회적 역할은 '사회구성원으로서 필수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기업호감지수(Corporate Favorite Index, CFI)' 조사에서 기업 호감도가 100점 만점에 56.3점으로 집계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해당 조사를 처음 실시한 2003년 이후 가장 높은 점수이며, 3년 연속 호감의 기준선인 50점을 상회하는 결과다.
'기업호감지수'는 국민들이 기업에 대해 호의적으로 느끼는 정도를 지수화한 것으로, 생산성, 국제경쟁력, 국가경제 기여, 윤리경영, 지역사회공헌, 기업문화, 친환경 등 7대 요소와 전반적 호감도를 합산해 산정한다. 100에 가까우면 호감도가 높은 것이고, 0에 가까우면 낮은 것을 의미한다.
이번 조사에서는 일하는 방식 등 기업문화 개선, 윤리경영 실천 노력 그리고 지역사회와 환경을 위한 경영이 예년에 비해 국민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다.
'기업문화 개선'은 50.9에서 55.8로 4.9포인트(p) 상승해 7대 평가요소 중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고 '윤리경영 실천'과 '지역사회공헌'도 각각 3.1p, 2.3p 상승했다. 전반적 호감도 역시 3.1p 상승하며 전체적인 점수 상승을 이끌었다. 이는 '신기업가정신'이 기업 내부에 확산돼 활발한 실천이 이어진 결과로, 경제계의 자발적인 노력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생산성 향상·기술개발' 지표는 유일하게 감소했다. 글로벌 공급망 불안에 대내외의 불확실성, 첨단산업 경쟁까지 더해지면서, 우리 기업의 경쟁력이 약해질 수 있다는 국민들의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지는 주된 이유를 묻는 질문에 '국가경제에 기여'가 40.8%로 가장 많았고, '일자리 창출'이 26.5%, '사회적 공헌활동'이 11.8% 그리고 'ESG 경영 확산'이 9.2%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호감이 가지 않는 이유로는 '기업문화 개선노력 부족'이 31.6%로 가장 많았고 '준법·윤리경영미흡'이 26.3%로 그 다음을 차지했다. '상생경영부족'의 비중도 21.1%로 나타났다.
국민들이 기업에게 바라는 우선과제로 경제적 분야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39.7%로 가장 많았고 '적극적 R&D 통한 신기술 개발'(20.6%)과 '글로벌 기업으로의 성장'(16.1%)이 그 다음을 차지했다. 이외 '수출 통한 국부 기여'(9.7%), '스타트업 등에 대한 적극적 투자'(8.2%)에 대한 요구도 있었다.
사회적 분야는 '근로자 복지 향상과 안전한 근로환경'이 31.7%로 꼽혔다. 이어 '대기업-중소기업 상생'(17.8%)과 '준법경영 및 일탈방지'(14.7%), '기후위기 대응한 친환경 경영실천'(11.1%), '다양성 포용 등 기업문화 개선'(11.1%)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업이 각종 사회문제 해결에 나서는 것에 대해서는 '사회구성원으로서 필수적이다'는 응답이 무려 74%로 나타났다. 상의는 "이는 작년 조사(58.6%)에 비해 크게 높아진 수치"라며 "기업이 경제적 역할을 넘어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기를 바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대내외 불확실성 속에서도 국민의 기업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진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며 "기업이 생산성·기술 향상 등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정부의 규제 개선과 R&D 지원 등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기업의 사회적 역할 확대를 통해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도록, 신기업가정신 확산에도 지속적으로 힘쓰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