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나윤 기자가 쓴 기사

thumbimg

코로나 봉쇄로 대기질 좋아졌다?..."미세먼지 농도 변화 없었다"
상당수의 국가들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동안 대기오염 농도가 호전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14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대학에서 발표한 대기질 생활지수(AQLI; Air Quality Life Index) 연구에 따르면 2020년 코로나19로 전세계가 봉쇄됐...2022-06-15 17:19:23 [김나윤]

thumbimg

새로운 해양오염 물질 발견되다...'미세플라스틱 뒤섞인 타르덩어리'
▲에스파냐 카나리아제도의 엘 히에로 섬 해안에서 발견된 플라스티타르. 플라스티타르는 미세플라스틱과 타르가 융합된 새로운 유형의 해양오염이다.(사진=라라구나대학) 미세플라스틱과 타르가 뒤섞인 새로운 유형의 해양오염이 나타나고 있다.에스파냐 라라구나대학 연구진은 ...2022-06-14 16:42:02 [김나윤]

thumbimg

"하수에서 '인' 추출해 재활용해야...곡물생산비 낮추고 수질오염도 완화"
하수에 섞인 인(P) 성분을 활용해 식량가격 상승을 낮추고, 오염문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10일(현지시간) 영국생태수문학센터(UKCEH)와 영국 에든버러대학이 이끄는 40명의 국제연구진은 하수처리장에서 비료의 필수성분인 인을 추출해 식량 생산 비...2022-06-13 17:14:48 [김나윤]

thumbimg

치솟는 에너지가격에 가스생산 급증...1.5℃ 기후목표 '걸림돌'
에너지 가격 상승이 신규 천연가스채굴 증가로 이어지면서 1.5℃ 기후목표가 좌절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8일(현지시간) 기후행동추적기(Climate Action Tracker)는 미국과 독일, 영국, 캐나다 등 각국 정부가 우크라이나 침공 건으로 러시아제재를 ...2022-06-09 14:49:32 [김나윤]

thumbimg

'기후재난 복구비용' 20년동안 800% 늘었다
기후재해를 복구하는데 필요한 자금이 20년동안 800% 이상 증가했다.국제구호단체 옥스팜(Oxfam)은 지구온난화가 고착되면서 유엔 기후재해복구에 필요한 자금이 20년 사이에 800% 이상 늘었고, 필요한 자금의 절반 정도만 부유국에 의해 충당되고 있다는 내...2022-06-09 10:15:58 [김나윤]

thumbimg

지구온도 상승하면 '인간의 크기' 줄어든다?
▲미국 워싱턴D.C 스미소니언 자연사박물관에 전시된 호모 플로레시엔시스(Homo floresiensis) 복원본.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에 살았던 이 종은 자원이 부족해지자 크기를 줄이는 방향으로 진화했다. (사진=세계사백과사전) 기후위기로 인간의 크기가 줄어...2022-06-08 17:15:10 [김나윤]

thumbimg

계속 뿜어대는 이산화탄소..."산업화 이전보다 50% 증가"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수치가 산업화 이전보다 50%나 증가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세계 대기중 이산화탄소 수준이 산업화 이전보다 50% 높아졌다는 연구결과가 6일(현지시간) 네이처기후변화(Nature Climate Change)에 발표됐다. 연구에 ...2022-06-07 17:25:43 [김나윤]

thumbimg

30개국 퍼진 '원숭이두창'...긴 잠복기탓? 의료폐기물 부실관리탓?
▲정부는 원숭이두창 발생국가에서 입국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발열체크 등을 실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아프리카 지역의 풍토병으로 알려졌던 '원숭이두창'(원숭이수두:monkey pox)이 최근 유럽 등 비풍토 지역 30여개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병하자, 이...2022-06-03 17:16:34 [김나윤]

thumbimg

'알프스 만년설' 녹고있다...산악지역 온도 2배 빠르게 상승
하얀 만년설로 덮인 융프라우에서 김이 펄펄 나는 뜨거운 한국 라면을 끓여 먹는 모습. 알프스, 융프라우하면 생각나는 광고 장면 중 하나다. 하지만 머지 않아 이런 경험을 하지 못할 수도 있다. 지구온난화로 알프스까지 녹고 있기 때문이다.스위스 바젤대학의 사빈...2022-06-03 14:34:37 [김나윤]

thumbimg

갈수록 줄어드는 '연어와 송어'...기후변화와 수질오염 때문
지난해 스코틀랜드 연어 어획량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원인은 기후위기와 환경오염, 양식 등으로 꼽히고 있다. 영국 가디언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스코틀랜드 강에서 잡힌 대서양 연어는 3만5693마리로, 1952년부터 데이터를 기록한 이후 최...2022-06-02 18:07:53 [김나윤]

thumbimg

전기차 가격 줄줄이 오르는데...GM은 '볼트EV' 가격 낮췄다
▲쉐보레볼트EV 2022년형.(사진=쉐보레볼트)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전기차 가격이 상승하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1일(현지시간) 쉐보레볼트EV의 가격을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해당 차종은 미국에서 판매되는 가장 저렴한 전기차가 될 전망이다.GM은 쉐보레볼...2022-06-02 14:53:38 [김나윤]

thumbimg

탄소포집기술 '넷제로 달성할 묘책 아니다’
영국 온실가스제거(GGR)기술 전문가들 사이에서 탄소포집기술은 '넷제로'에 도달할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는 회의적 시각이 대두되고 있다. 지구온도가 1.5℃ 이내로 제한되도록 제때 개발되고 확장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런던에서 개최된 온실가스제거허브행...2022-06-01 09:01:01 [김나윤]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바다커튼·유리구슬...지구공학 방법론 온난화 억제 "효과없다"

지구공학 기술을 이용해 지구온난화를 대처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온난화를 막기는커녕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평가다.영국 엑스터대학 마

경기도민 89% "기후위기 심각…적극대응 필요하다"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기후위기 심각성을 인지하며 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경기도는 지

강릉시, 평창 도암댐 비상방류 한시적 수용..."20일 시험방류"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이 평창 도암댐의 물을 한시적으로 수용하기로 했다.강릉시는 환경부 장관 방문 이후 거론됐던 도암댐 도수관로 비상 방

강릉 저수율 12% '간당간당'...단수 상황에 곳곳에서 '아우성'

18만명 강릉 시민의 생활용수 87%를 책임지고 있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 12%가 붕괴되기 직전이다. 10일 오전 6시 기준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전일 같은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