뻥 뚫린 공항부지 '태양광발전소'로 변신한다

김현호 기자 / 기사승인 : 2021-05-25 07:00:02
  • -
  • +
  • 인쇄
세계 각국 공항 앞다퉈 태양광 패널 설치
인천공항도 "2040년까지 RE100 달성할것"

높은 탄소배출량, 소음 그리고 미세먼지 등 다양한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공항이 태양광에너지 발전소로 변신하고 있다.
 
공항은 넓은 부지에 공간이 뻥 뚫려있다. 이런 공항의 부지를 이용해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면 그만큼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실제로 호주 RMIT대학 연구원들은 공항 부지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면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지 연구를 통해 확인했다.

연구팀은 "호주정부가 소유한 공항 가운데 21곳만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도 1만7000개의 주거용 태양광 패널보다 10배 많은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면서 "이를 통해 15만2000톤의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15만2000톤의 탄소는 7만1000대에서 뿜어내는 탄소배출과 맞먹는 양이다.

연구에 참여한 체인 선(Chayn Sun) 연구원은 "모든 공항은 적절한 유형의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면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다"며 "전세계에 위치한 공항은 물론 대형 건물도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어마어마한 양의 전력을 소비하는 공항이 태양광에너지 발전소로 변신할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것이다. 게다가 태양광에너지 발전소는 대부분 농지와 삼림에 건설되기 때문에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그러나 공항은 이같은 지적에서 자유롭다.

사실 인천공항만 해도 2019년 배출한 탄소배출량은 147만5422톤에 달했다. 이는 30년생 소나무 2억2500만그루가 1년동안 흡수하는 탄소량이다. 이를 의식한듯 인천국제공항공사는 개항 20주년을 맞은 올해 아시아 공항 최초로 'RE100' 캠페인을 도입했다.

RE100은 '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 100%'의 약자로,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량의 100%를 2050년까지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충당하겠다는 목표의 국제 캠페인이다.

또 인천국제공항공사는 2040년까지 재생에너지 전환비율을 100%로 끌어올려 '에너지 자립 공항'으로 거듭나겠다고 밝히면서 태양광 발전계획을 공개했다. 현재 인천국제공항은 제2여객터미널 장기주차장에 캐노피형태(지붕에 설치하는 형태)의 태양광 발전시설을 약 1200kW 규모로 설치하는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2022년에는 동일 주차장에 동일 형태로 1500kW를 추가 설치할 예정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지난해 7315kW의 전력을 태양광을 통해 생산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도입해 공항의 에너지 자립을 이뤄나가겠다"고 밝혔다.

▲인천국제공항 곳곳에 태양광 발전시설이 설치돼 있다. (사진=인천국제공항공사)


다른 나라의 공항들도 마찬가지로 태양광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호주 멜버른공항은 축구장 26개 크기의 태양광 발전소가 있다. 호주내 최대 규모다. 공항에서 연간 사용되는 에너지의 15~20%가 이곳에서 생산되고 있다.
 
인도 코친국제공항은 지난 2015년부터 태양광 발전을 시작했다. 넓은 공항부지에 4만6000개가 넘는 태양광 패널을 설치했다. 이를 통해 앞으로 20년 이내로 30만톤의 탄소를 줄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캐나다 에드먼턴국제공항에도 30만개가 넘는 태양광 패널이 설치돼 있다. 지난해 설치된 이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되는 전기는 앞으로 공항뿐 아니라 인근지역 2만7000여가구에도 공급될 예정이다. 세계 최대 규모의 공항 태양광 발전소 건설을 계획하고 있는 캐나다는 앞으로 공항 태양광 발전소를 통해 연간 10만6000톤의 탄소를 줄일 계획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HD현대오일뱅크, 폐수 처리비 450억 아끼려다 1761억 과징금 '철퇴'

환경부가 특정수질유해물질인 페놀이 함유된 폐수를 불법적으로 배출한 HD현대오일뱅크에 대해 '환경범죄 등의 단속 및 가중처벌에 관한 법률'(이하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실사도 의무화해야"

올 6월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대응 관련조항이 빠져있어, 이를 추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기업인권환경실사법'은 기업의 인권과 환

아워홈, 실온에서 분해되는 ‘자연생분해성 봉투’ 2종 개발

아워홈은 ESG 경영 강화를 위해 친환경 제품 2종을 개발해 전국 단체급식, 외식 매장에 도입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친환경 제품은 자연생분

남양유업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참가 초등학생 1000명 모집

남양유업은 서울·경기권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하반기 교육신청을 오는 9월 9일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한다고 28일 밝

SPC, 야간근로 8시간 제한...新근무제 9월부터 시범운영

SPC그룹이 각 계열사별로 생산직 야간근로를 8시간 이내로 제한하는 새로운 근무제도를 9월부터 시범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SPC그룹은 이재명 대통령

대한항공-아시아나, 폐유니폼으로 만든 파우치 판매수익금 전액 기부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과 함께 업사이클링(Up-cycling·새활용) 보조배터리 파우치를 제작해 판매한 수익금 전액을 포함한 기부금을 사단법인 소

기후/환경

+

강릉, 식수고갈 직전에 '숨통'...바닥난 상수원 하류의 물로 '콸콸'

강릉 시민들의 상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5.9%까지 떨어져 계량기를 75%까지 잠그는 제한급수를 시작하려던 찰나에 하류 남대천의 물을 저수지

바다의 포식자 '상어의 위기'...이빨이 사라질 수 있다

해양 산성화로 인해 상어의 이빨이 사라질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독일 하인리히 하이네대학 막시밀리안 바움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산성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실사도 의무화해야"

올 6월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대응 관련조항이 빠져있어, 이를 추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기업인권환경실사법'은 기업의 인권과 환

英 141년만에 가장 더운 여름…10년새 평균기온 1.54°C 상승

영국은 올여름 10년전에 비해 평균기온이 1.54℃ 상승하면서 1884년 기상관측 이래 가장 더운 여름을 기록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영국 기상청은 지난 2

산림벌채로 20년간 열대지방 50만명이 사망...왜?

지난 20년간 벌채 등 토지개간으로 국지적 기온이 상승하면서 열대지방에서 50만명이 사망했다고 연구결과가 나왔다. 숲이 사라지면서 기온이 오르고

토양 미생물에서 '슈퍼박테리아' 잡을 항생물질 발견

일반 항생제가 듣지 않는 '슈퍼박테리아' 황색포도알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생물질이 발견됐다.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이 자생 방선균 '스트렙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