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로 벽돌 가열했더니...화석연료보다 80% 싼 '열배터리' 탄생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4-11 15:29:42
  • -
  • +
  • 인쇄
美스타트업 론도에너지 '축열시스템' 개발
열손실률 1% 미만...산업용 열로 사용가능
▲론도에너지 축열 시스템 '론도 열 배터리'(RHB) 시설 모형도 (사진=론도에너지)


재생에너지로 벽돌을 1500℃까지 데워 산업용 열을 충당하는 '열 배터리' 스타트업이 등장했다.

10일(현지시간)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테크놀로지 리뷰는 획기적인 '축열시스템'을 개발한 미국 캘리포니아 기반 스타트업 '론도에너지'(Rondo Energy)를 소개했다. 론도에너지는 열 손실률이 극단적으로 낮은 벽돌을 재생에너지 전기로 가열해 산업용 열로 전환하는 시설을 개발·운영하고 있다.

철강, 시멘트, 식품 건조, 통조림 소독 등 쓰이지 않는 곳을 찾기 힘든 '산업용 열'은 산업용 에너지 수요의 3분의 2를 차지한다. 산업용 열을 발생시키기 위해 쓰이는 에너지는 전체 에너지 소비의 20%에 달한다. 산업용 열은 용광로나 보일러와 같은 시설을 통해 생산하기 때문에 큰 효율과 규모를 필요로 하고, 화석연료를 쓰는 곳이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온실가스 직접배출량에서도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기존 열 저장장치와 달리 론도에너지의 축열시스템은 저렴하고 단순하다는 점 그리고 화석연료 대신 재생에너지를 쓴다는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론도에너지의 축열시스템은 거대한 토스터기와 같다. 양측에 태양광패널이나 풍력발전을 통해 가동되는 전기히터가 식빵에 해당하는 벽돌더미를 데우는 방식이다.

▲론도에너지 축열시스템 (자료=론도에너지)


중앙의 벽돌더미는 4시간만에 1500℃까지 가열된다.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꿨을 때 열 손실이 매우 적어 열효율이 90~98%로 유지된다. 열 저장장치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다. 게다가 이렇게 한번 충전된 '열 배터리'는 수일간 유지되고, 하루 손실되는 열에너지는 1% 미만이다. 산업용 열 수요가 있을 때는 터빈이 작동하면서 벽돌 틈새로 바람을 내보내게 되고, 약 1000℃가량의 열 에너지가 공기를 통해 전달된다.

벽돌을 쌓아올리면 되기 때문에 시공시간이 빠르고, 비용 역시 기존 열 저장장치의 20% 수준이라는 게 론도에너지의 설명이다. 특히 미국에서는 태양광·풍력 발전이 화석연료보다 싸기 때문에 운영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게다가 열에너지가 오래 유지되기 때문에 재생에너지의 간헐적인 공급량 변화에도 큰 문제가 없고, 오히려 햇빛이나 풍속이 강해져 재생에너지 공급량이 많아졌을 때를 기해 열을 저장하면 전기요금을 더 절약할 수 있다.

론도에너지 최고경영자(CEO) 존 오도널은 "이제 무언가를 태우지 않아도 열에너지를 더 싼값에 얻을 수 있는 시대가 됐다"며 "탄소제로 경제로 전환하기 위한 수단은 모두 갖춰져 있다"고 밝혔다.

한편 최근 미국 에너지부(DOE)는 산업용 열과 같은 고배출 분야의 탄소절감을 목표로 한 최초의 혁신사례나 상업적 규모 초기단계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60억달러(약 7조9055억원) 예산을 편성했다. 관계자들은 민간부문의 투자도 유치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어 추가 60억달러를 더한 총 120억달러(약 15조8110억원) 규모의 지원기금이 마련될 전망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하나금융, 사회혁신기업 지원한다...'ESG 더블임팩트 매칭펀드' 데모데이

하나금융그룹이 사회혁신기업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하나 ESG 더블임팩트 매칭펀드' 데모데이를 지난 30일 오후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개최했다고

우리은행, 기후취약계층에 한파대응 물품과 김장김치 전달

우리은행이 기후변화 취약계층의 겨울나기를 돕는 데 나섰다.우리은행은 홀몸어르신, 쪽방촌 저소득주민, 장애인 가구 등 기후변화 취약계층이 따뜻

쉐코 해상방제로봇 'CES 2024' 2개부문 혁신상 수상

SK이노베이션이 육성하는 환경소셜벤처 쉐코가 내년 1월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IT 박람회 'CES 2024'를 앞두고 발표된 'CES 혁

토요타·폭스바겐·현대기아...SUV 판매증가로 탄소저감 노력 '물거품'

연비가 낮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판매비중이 늘면서 발생한 탄소배출량이 전기차 판매로 저감된 탄소배출량을 압도하고 있어 자동차 제조기업들

KT, ESG 벤처지원 프로그램 '따뜻한기술더하기' 성과공유회 개최

KT가 '따뜻한기술더하기' 챌린지의 6개월간 일정을 마치고 참여한 기업의 결과물을 공유하는 '최종 성과 공유회'를 진행했다고 29일 밝혔다.따뜻한기술

제주도, 쓰레기로 12억원 벌었다

제주도가 올해 쓰레기를 수거해 12억원 이상 벌었다.28일 제주도는 올해 10월말까지 제주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로 반입된 재활용품 5687톤 가운데 4944톤

TECH

+

LIFE

+

순환경제

+

Start-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