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방 해빙 '심상찮다'...남극과 북극 모두 해빙면적 감소 추세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09-26 11:56:58
  • -
  • +
  • 인쇄

현재 겨울인 남극과 여름인 북극의 해빙이 심각할 정도로 불규칙성을 보이며, 전반적으로 감소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현지시간) 미국 국립빙설자료센터(NSIDC)는 "이번 겨울 남극의 해빙 최대치는 9월 10일에 기록한 1696만㎢(평방킬로미터)다"며 "1986년 겨울에 기록한 기존 최저치보다 약 100만㎢ 적어 45년만에 가장 작은 규모"라고 밝혔다.

남극 해빙은 9월 중 가장 크게 발달하고 여름동안 서서히 녹기 시작해 일반적으로 3월초에 가장 많이 줄어든다.

NSIDC에 따르면 2010년까지만 해도 평균적으로 9월 23일에 해빙이 최대치에 도달했는데 올해는 9월 10일에 최대치에 도달했다는 것이다. 예년보다 열흘 빨라졌다. 이는 높은 온도로 인해 해빙이 충분히 얼지 못하고 다시 녹아내리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NSIDC는 "전세계적 해양온난화로 인해 남극에 따뜻한 물이 계속 혼입되고 있다"며 "해빙 감소의 시작이라는 점에서 우려스럽다"고 했다.

다만 NSIDC는 "이번 수치는 콜로라도볼더대학교(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가 발표한 예비수치"라며 "10월에 최종값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올겨울 남극 해빙 면적 (출처=미국 국립빙설자료센터)

과학자들은 남극 해빙이 줄어들면 남극 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고 경고하고 있다. 해빙은 남극 생물들의 거주지 겸 피난처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해빙은 태양빛과 열을 반사시켜 지구온난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데, 해빙이 줄어들면 그만큼 더 많은 태양열을 흡수한 바다가 다시 해빙을 녹이는 악순환이 발생하게 된다.

미국 워싱턴대학(University of Washington)의 해빙전문 기후학자 세실리아 비츠(Cecilia Bitz) 교수는 "지난 3~4개월간의 해빙 추세는 우리가 이전에 보았거나 예상했던 것과는 전혀 다르다"며 "이것은 우리가 보고있는 기후변화가 우리의 경험 범위를 벗어났으며 자연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말해준다"고 우려했다.

현재 여름철인 북극의 해빙 상황도 심각하다. NSIDC는 "올여름 북극 해빙도 423㎢에 불과해 기록상 6번째로 낮은 수치"라고 밝혔다. 지난 17년동안 북극의 해빙도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에 과학자들은 남극과 북극 해빙 결빙의 불규칙성이 지역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우려하고 있다.

미국 코넬대학교(Cornell University)에서 지구 및 대기과학을 가르치는 플라비오 레너 (Flavio Lehner) 교수는 "수 십 년동안의 추세가 분명히 감소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특정 해에 해빙이 더 많거나 적다"며 "이러한 변화는 원주민 공동체부터 육상 및 해양동물, 아주 작은 동식물에 이르기까지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가령 북극곰의 경우 해빙의 얼마나 빨리 어는지에 따라서 사냥이나 이동 시기가 결정된다. 그는 "국립공원이나 해양보호구역도 기후변화로 인한 서직지 파괴 앞에서는 무용지물"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구글 DC 하나가 57만톤 배출?…AI로 英 탄소감축 '빨간불'

영국에 설립될 구글의 신규 데이터센터(DC)가 연간 57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할 것으로 추정되자, 환경단체와 기후전문가들이 환경 영향에 대해 강력히

인천 온실가스 49% 비중 영흥화력..."2030년 문 닫아야" 촉구

수도권 내 유일한 석탄발전소인 인천 영흥화력발전소의 2030년 폐쇄를 촉구하는 시민사회 목소리가 모였다. 기후위기인천비상행동과 전국 시민연대체

'2035 NDC' 뜸 들이는 EU...기후 선도그룹 위상 '흔들'

유럽연합(EU)이 올해 유엔(UN)에 제출해야 할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한 감축목표를 기한내에 확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회

태양빛으로 방사능 오염된 토양 정화하는 '인공식물' 개발

태양빛으로 방사능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인공식물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울산과학기술원(DGIST) 화학물리학과 김성균 교수연구팀은 태

강릉 저수율 16.5%까지 상승...수요일 또 강릉에 '반가운 비'

강릉 시민들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6일 오전 6시 기준 16.5%를 기록했다. 주말 전후 오봉저수지 인근에 내린 81㎜의 비가 지

폭염 극심했던 유럽...올해 이상기후로 입은 피해 '70조원'

올해 극한기후로 인해 유럽이 약 430억유로(약 70조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독일 만하임대학과 유럽중앙은행(ECB) 연구팀은 올여름 폭염과 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