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주의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40%를 넘어섰다.
7일(현지시간) 가디언에 따르면 지난해 호주의 주요 전력망에서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올 1~3월까지 시드니, 멜버른, 브리즈번 등이 있는 동부 5개 주와 호주 수도 특별구(ACT)에서 사용된 전기의 43%가 재생에너지로 생산됐다. 지난해 호주의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39%였다.
여기에 노후발전소가 정전으로 가동이 중단된 것도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늘리는데 한몫했다는 평가다. 이처럼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늘어나면서 올 1분기 화력발전소 발전량은 사상 최저로 떨어졌다. 재생에너지가 호주 에너지 시장의 사실상 주력으로 등장하면서 동부 해안지역 온실가스 배출량은 5.1% 감소했다.
호주가 재생에너지로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었던 데는 집권 여당인 노동당이 적극적으로 재생에너지 생산량을 높였기에 가능했다. 옥상 태양광 패널의 전력 생산량은 16%, 풍력발전소의 전력 생산량은 18% 그리고 대형 태양광 발전소의 전력 생산량은 10%씩 늘었다. 대형 배터리가 전력망에 연결되면서 배터리 저장용량은 86% 급증했다.
호주의 재생에너지 생산량이 늘면서 전력 수요가 신기록을 경신했음에도 불구하고 전기요금은 크게 오르지 않았다. 빅토리아주와 남호주 주민들의 에어컨 사용량이 늘었지만, 옥상 태양광 발전 등 전국 400만 가구 이상이 태양광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전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었다. 평균 도매 전기 요금은 지난해 마지막 분기보다 6% 하락했지만 2024년 1분기보다는 여전히 9% 높았다. 전년 동기대비 상승한 것은 주로 수력 발전 비용이 급증한 태즈메이니아의 도매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그러나 동부 본토 주들의 평균 전기요금은 전반적으로 2.5% 하락했다. 석탄 및 수력에너지 비용 상승은 저렴한 태양광과 풍력 사용 증가로 대부분 상쇄됐다. 실제로 에너지 경제금융분석연구소의 요한나 보이어 분석가에 따르면 한낮에 태양이 가장 높을 때 도매 전기요금이 0%이거나 마이너스인 경우가 1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넥사 어드바이저리 스테파니 바시르 최고경영자는 "재생에너지 발전과 배터리가 도매 가격 및 배출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에너지 안보, 신뢰, 경제성 측면에서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알바니아 정부가 2030년까지 전력의 82%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추진력을 가속화하는 의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