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인 3380만명이 침몰하는 땅에 살고있다는 충격적인 연구결과가 나왔다.
8일(현지시간) 미국 콜롬비아대학 레너드 오헨헨 연구팀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미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시카고, 뉴욕, 디스트로이트 등 28개 도시 중 25개 도시에서 육지 면적의 최소 65%가 가라앉고 있으며, 약 3380만명이 이 가라앉고 있는 땅에서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안 도시들이 매우 빠르게 가라앉으면서 다음 세기에는 해안 지역이 해수면보다 낮아질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베이징, 멕시코시티, 테헤란 등의 대도시를 포함해 전세계 다수의 도시들이 주의가 필요할 정도로 심각한 지반 침하를 겪고 있다. 점차 땅이 가라앉을수록 건물, 도로, 다리, 댐 등이 무너지고 홍수 등 대규모 재난이 발생할 위험이 커지는 것이다.
미국 텍사스주의 휴스턴, 포트워스, 댈러스에서 연간 4mm 이상의 침하율이 관찰됐다.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침하하는 도시는 휴스턴으로, 국토의 40% 이상이 연간 5mm 이상의 속도로 침하했다. 특히 휴스턴-갤버스턴 지역에서 장기간 지하수추출과 석유 및 가스 추출로 인해 연간 최대 5cm의 침하 속도가 발생하기도 했다. 2017년 기록적인 강우량과 폭풍 해일을 몰고 온 허리케인 하비가 초래한 홍수는 휴스턴 지역의 지반 침하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밝혀지기도 했다. 땅이 점차 가라앉아 지형 경사도를 변화시켜 홍수를 더 심각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오헨헨 연구원은 "느리게 가라앉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쌓여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며 "1년에 4mm씩 가라앉다가 10년 후에는 4cm가 되는 식으로 계속 누적되면 엄청난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건물 밀도와 지형 변형을 분석한 결과, 텍사스주 샌안토니오가 가장 큰 위험에 처해 있으며, 45개 건물 중 1개가 막대한 피해를 겪을 위험이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지반 침하의 상당 부분은 지하수 추출 및 새로운 사회기반 시설 건설과 같은 인간 활동에 의해 촉진된다고 밝혔다. 특히 침하의 80%는 지하수 추출과 관련이 있다. 지하수를 추출하면서 암석과 퇴적물 사이 공간의 압력이 줄어 들어 빈 공간이 서서히 붕괴되면서 지반이 가라앉는 것이다. 기후 변화로 인해 미국 일부 지역의 가뭄이 심해지면서, 지하수 추출로 인한 지반 침하는 사회 기반 시설에 더욱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대학 패트릭 바나드 지질학자는 "잠재적인 장기적 영향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무작정 땅을 파서는 안된다"며 "지반 침하로 인한 위험은 전국의 지하수 관리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 변화를 요구할 만큼 크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과학저널 네이처(Nature) 5월 8일자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