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변 콘크리트 걷어냈더니...삵·황조롱이가 돌아왔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01-08 11:25:51
  • -
  • +
  • 인쇄
서울시, 내년까지 한강변 복원해 '한강숲' 조성
멸종위기 생물 회복세...15년 새 450여종 늘어
▲자연형 호안 조성 전후 모습 (사진=서울시)


46.9km에 달하는 한강변 콘크리트를 걷어내고 8만그루의 나무를 심는 '한강숲 조성사업'을 시작하자 삵과 황조롱이 등 멸종위기종들이 돌아왔다.

서울시는 2025년까지 콘크리트로 조성된 호안을 흙과 자갈, 바위 등 자연소재로 복원하는 '자연형 호안 조성 사업'을 2025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한강변의 호안 길이는 총 82㎞에 이른다. 이 가운데 교량, 접안시설 등 안전상의 이유로 복원할 수 없는 지역을 제외한 57.1㎞를 모두 복원한다. 지난 2023년에는 46.9㎞까지 복원을 완료했다.

'자연형 호안'으로 복원하면 단순히 호안의 형태만 바뀌는 게 아니라 생물들의 서식지가 복원된다. 흙과 바위로 수변 완충지대가 마련되고, 나무 장대가 설치돼 조류가 휴식할 수 있다. 특히 강가의 비탈면에는 물억새, 수크렁 같은 물과 친밀한 식물이 자라면서 하천 생태계를 형성하게 된다.

서울시는 지난해 '한강숲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8만그루의 나무를 심었다. '한강숲 조성사업'은 한강 호안과 둔치에 숲을 조성해 자연성을 회복하고, 미세먼지저감, 기후위기 대응 등 도시환경 개선을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서울시는 물가에 생물다양성을 높이기 위한 '생태숲', 시민이 이용하는 공간에 시원한 그늘을 제공하는 '이용숲', 도로 근처에는 소음과 먼지를 차단하는 '완충숲' 등 2025년까지 총 371만그루의 숲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올해는 7만그루를 식재한다.

▲한강 '이용숲' 모습 (사진=서울시)


서울시는 조성된지 평균 18년이 지나 노후된 5개 한강생태공원(고덕수변·암사·여의도샛강·강서습지생태공원, 난지생태습지원)도 2026년까지 재정비한다. 습지가 많아 맹꽁이들의 서식처로 이용되는 곳은 퇴적물을 걷어내 적정한 수심을 확보하고, 수달이 종종 발견되는 여의도샛강생태공원에는 일광욕을 즐기는 수달의 습성을 고려해 '수달모래톱' 공간을 확대할 계획이다.

실제로 서울시의 이같은 노력에 힘입어 지난 2007년 1608종이던 한강의 생물종은 2022년 2062종으로 늘었다. 한강생태공원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이자 천연기념물 330호인 수달,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삵, 맹꽁이를 비롯해 천연기념물인 황조롱이와 수리부엉이 등이 관찰된 것이다. 서울시 보호야생생물종인 오색딱따구리, 청딱따구리, 흰눈썹황금새 등도 잇따라 확인되고 있다.

▲강서습지생태공원에서 발견된 천연기념물 황조롱이 (사진=서울시)


서울시는 앞으로 각 생태공원의 환경을 종합적으로 조사·분석해 △한강 노을 명소 조성 △자연형물놀이장 조성 △생태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 시민과 자연이 서로 건강하게 마주할 수 있는 특화공원으로 재정비한다는목표다.

서울시는 "2014년 '한강 자연성 회복 기본계획'을 수립한 이후 다양한 노력으로 여러 생물종이 발견되면서 생태계 건강에 청신호가 켜졌다"며 "앞으로도 한강의 자연성 회복을 위한 사업을 지속해 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두나무 인수한 네이버...AI와 블록체인 앞세워 '글로벌 금융' 노린다

세계 3위 가상자산거래소 두나무가 네이버 품에 안기면서 20조원 규모의 금융플랫폼이 탄생했다. 26일 네이버와 두나무 이사회는 네이버파이낸셜과 두

'비상경영' 롯데 인적쇄신...부회장 전원 용퇴에 CEO 20명 '물갈이'

롯데그룹이 부회장단 전원 교체와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20명을 교체하는 대대적인 '물갈이' 인사를 단행했다.롯데그룹은 2026년 임원인사에서 9

롯데케미칼-현대케미칼, 석화공장 합친다...울산과 여수도 통폐합 속도?

롯데케미칼과 HD현대케미칼의 석유화학 사업이 합쳐진다. 지난 8월 20일 10개 석유화학 기업이 사업재편을 위한 자율협약을 맺은 이후 첫번째 구조조정

엑손모빌 '화학적 재활용' 놓고 '그린워싱' 공방 격화

플라스틱 화학재활용을 둘러싼 엑손모빌과 환경단체의 충돌이 격화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엑손모빌은 플라스틱 폐기물

우리銀, 사회적경제기업 10곳 선정…최대 2000만원 지원

우리은행이 사회적경제기업을 발굴해 최대 2000만원을 지원하는 '임팩트 챌린지' 공모를 시작했다.우리은행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과 함께 '2025년 우

위생행주·인조잔디까지...CJ제일제당, PHA 적용제품 확대

CJ제일제당이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Polyhydroxyalkanoates)'의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CJ제일제당은 PHA를 적용한 '빨아쓰는 생분해 위생행주', '생분

기후/환경

+

플라스틱 문제 일으키는 '조화'...인천가족공원서 반입 금지될듯

인천가족공원에 플라스틱 조화(造花) 반입을 자제하도록 하는 조례 제정이 추진된다.26일 인천시의회에 따르면 전날 산업경제위원회를 통과한 '인천시

'2.5°C' 상승한 우즈베키스탄…극심한 가뭄에 이미 위기상태

우즈베키스탄 일부 지역의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대비 2.5°C까지 상승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온난화로 인한 가뭄과 물부족이 심해질 것으로 전망되

엑손모빌 '화학적 재활용' 놓고 '그린워싱' 공방 격화

플라스틱 화학재활용을 둘러싼 엑손모빌과 환경단체의 충돌이 격화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엑손모빌은 플라스틱 폐기물

태평양 참치에서 검출된 '수은' 오염경로 추적해봤더니...

참치 등 태평양에서 서식하는 해양어류 몸속에 수은이 어떻게 축적되는지 그 경로가 밝혀졌다.포항공대(POSTECH) 환경공학부 권세윤 교수연구팀과 한국

알프스·안데스·히말라야가 위험하다...기후변화로 곳곳이 '흔들'

험준한 산악지대로 유명한 히말라야를 비롯해 알프스, 안데스산맥이 기후변화가 불러온 기온과 강수패턴 변화로 인해 무너져내리고 있다. 25일(현지시

폭염에 열받은 젖소들...우유 생산량 줄고 있다

젖소들이 폭염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우유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줄고 있어 낙농가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25일(현지시간) 푸드앤와인(Food & Wi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