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세미나]CJ제일제당 "햇반용기 분리수거 통해 100% 재활용"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05-28 22:48:16
  • -
  • +
  • 인쇄
▲석혜주 CJ제일제당 ESG센터 환경전략팀 스페셜리스트가 28일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된 '녹색금융&ESG세미나'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newstree

즉석밥 '햇반'을 생산판매하는 CJ제일제당은 '햇반' 용기를 재활용하는 순환경제 인프라를 구축했다. 

석혜주 CJ제일제당 ESG센터 환경전략팀 스페셜리스트는 28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인하대학교 녹색금융대학원과 지속가능경영연구소 주최, 뉴스트리와 SDG연구소 주관으로 열린 '녹색금융&ESG세미나'에서 '햇반용기 자원순환 체계' 사례를 소개하며 "많은 사람들이 햇반 용기는 재활용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면서 "CJ제일제당은 햇반 용기를 재활용 소재로 탈바꿈시키는데 성공했다"고 강조했다.

햇반을 비롯한 즉석밥 용기는 혼합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재활용 분류에서 'Other'로 표기되고 있다. 'Other'로 표기된 용기와 포장재는 재활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반 종량재 봉투에 담아 버려야 한다. 석 스페셜리스트는 "즉석밥 용기에는 공기접촉을 차단하고 내열성을 높이기 위해 산소차단필름(EVOH) 소재가 혼합된다"면서 "하지만 EVOH 소재의 비율은 5% 미만인데도 불구하고 Other로 분류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CJ제일제당은 햇반 용기의 95% 이상이 폴리프로필렌(PP) 소재라는 점을 이용해 재활용 가능여부를 타진했다. 그 결과, Other로 분류되지만 PP 비중이 높은 만큼 충분히 재활용 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는 것. 석 스페셜리스트는 "즉석밥 용기 생산량과 전체 PP 선별량 등을 계산해봤을 때, 재생원료 순도를 저하할 수 있는 EVOH 비중은 고작 0.015%에 불과했다"면서 "이에 환경부의 '아이스팩 수거사업'에 착안해 지역자원활용센터를 통해 햇반용기를 수거·세척·파쇄해 100% 재생원료로 전환하는 순환체계를 구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석 스페셜리스트는 "즉석밥 용기가 재활용으로 잘 이어지지 않던 원인은 분리배출 과정에서 폴리에틸렌(PET) 등 다른 플라스틱 소재들과 혼합배출되고, 여기에 선별장에서 소재별 선별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선순환 구조가 형성되지 못했다"면서 "CJ제일제당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자활센터와 손잡고 업사이클링 체계를 구축한 것"이라고 했다. 현재 CJ제일제당은 인천·시흥·포항 등 5개소 지역자활센터와 협업하고 있고, 지난해부터 진천군 내의 아파트에서 배출되는 즉석밥 용기도 수거하는 체계를 마련했다.

석 스페셜리스트는 "깨끗하게 세척된 햇반용기를 고품질 백색 펠릿으로 만드는데 성공했다"면서 "햇반용기 재생원료는 처음에 어린이 보호를 위한 빛반사 키링을 만들어 기부했지만 현재는 가습기 받침대, 응원봉, 소파 등 다양한 제품의 소재로 재활용되고 있다"면서 "앞으로는 자동차·가전제품 등까지 사용처를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행법상 물리적 재활용된 PP 재생원료는 햇반용기로 사용할 수 없다. 환경부와 식약처의 재생원료 활용기준 및 품질관리 규정에 의해 물리적 재활용된 페트(PET) 재생원료만 식품용기에 사용할 수 있다. PP 재생원료를 식품용기로 사용하려면 화학적 재활용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이에 석 스페셜리스트는 "CJ제일제당의 자원순환 체계는 물리적 재활용만 실행하고 있어 햇반용기 재생원료로 햇반용기를 사용할 수 없다"면서 "이같은 제조적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CJ제일제당은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ESG 정책 중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 가장 시급해"

ESG 정책 가운데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가 가장 시급하다는 것이 기업들의 목소리다.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은 지난 17일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한숨돌린 삼성전자...이재용 사법리스크 9년만에 털었다

삼성전자가 이재용 회장의 무죄가 확정되면서 2016년 국정농단 사건 이후 9년째 이어지던 '사법리스크'를 털어냈다. 그동안 1주일에 두번씩 법정에 출두

"잔반 없으면 탄소포인트 지급"...현대그린푸드, 단체급식에 '잔반제로' 보상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종합식품기업 현대그린푸드가 '탄소중립포인트' 제도에 신설된 '잔반제로' 항목을 단체급식업계 최초로 실제 단체급식 사업장에

"노사 칸막이 없는 문화"…LG CNS '노사문화 우수기업'에 선정

AX전문기업 LG CNS가 상호 존중과 대화, 협력을 바탕으로 한 모범적 노사문화를 실천한 공로를 인정받아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2025년 노사문화 우수기

KB국민은행, 금융취약계층 위한 '도움드림창구' 운영한다

KB국민은행이 금융취약계층을 위해 '도움드림창구'를 새롭게 운영한다.KB국민은행은 65세 이상 고령자와 장애인은 물론 7세 이하 자녀를 동반한 보호자

기아, 오토랜드화성 사업장에 PPA 재생에너지 첫 도입

기아가 국내 사업장 중 처음으로 오토랜드화성에 재생에너지 전력을 도입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재생에너지 전력은 지난 2월 한국남동발전과 체결한

기후/환경

+

산불 휩쓴 산청...600㎜ 넘는 물폭탄에 곳곳 산사태

올봄 산불로 큰 피해를 입었던 경남 산청군에 이번에 600㎜가 넘는 물폭탄이 쏟아지면서 산불로 회복되지 못한 산림이 폭우에 깎여 곳곳에 산사태가 발

농경지 1만3000ha 침수 피해…'극한호우'에 밥상물가도 '비상'

한달치 비가 하루에 쏟아지는 '극한호우'로 전국의 농경지 1만3000헥타르(ha)가 침수되면서 농산물 가격폭등이 예상되고 있다.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브라질 의회 '환경허가 완화법' 의결..."환경규제 사실상 붕괴"

올해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가 열리는 브라질에서 환경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환경허가 완화법'이 의회를 통과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이 법

경기도민 절반 '장마철 피해대처 방법' 모른다...소득별 정보격차 커

경기도민의 절반은 장마철 피해를 어떻게 예방하고 대처해야 하는지 모른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또 저소득층의 재해대응 인지도는 고소득층보다 25.

美 재생에너지 심사는 '깐깐하게' 석탄재 정화규제는 '느슨하게'

미국 정부가 풍력·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는 강화하면서 석탄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유독성 석탄재의 정화 시한은 늦추기로 하는 등 재

역대급 '극한호우'...왜 충청과 남부에 비구름대 몰리나?

지난 16일부터 충청권과 남부지역을 강타하고 인명피해까지 낸 폭우의 원인이 지구온난화로 심화된 '대기의 강' 현상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18일 기상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