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클론 '일사' 강타한 서호주섬 '바닷새 90% 감소'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06-07 18:38:54
  • -
  • +
  • 인쇄
▲갈색얼가니새 (사진=언스플래시)

지구온난화로 열대 저기압이 증가하면 바닷새 개체수가 급격하게 감소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호주 자연사박물관 연구원 제니퍼 레이버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2023년 4월 5등급 열대성 저기압인 사이클론 일사(Cyclone Ilsa)가 서호주 베다웃섬(Bedout Island)을 강타하면서 섬에 서식하던 바다새 개체군의 80~90%가 붕괴했다고 보고했다.

연구팀은 폭풍 후 수개월간 항공 및 지상조사로 갈색얼가니새, 군함새조, 섬 고유종인 푸른얼굴얼가니새의 폐사율을 조사한 결과 17헥타르 규모의 베다웃섬에서 최소 2만마리의 새가 사라진 것으로 추정됐다.

자연사박물관의 조류 담당 수석 큐레이터인 알렉스 본드 박사는 "사이클론이 닥친 4월은 많은 바닷새가 둥지를 틀기 가장 좋은 시기였다"며 "전례가 없는 폐사율"이라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섬의 거의 모든 갈색얼가니새와 푸른얼굴얼가니새가 사이클론 일사에 의해 죽은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사이클론의 규칙성과 강도가 증가하고 극심한 바람, 폭우, 거대한 파도가 번식 주기를 방해하면서 바닷새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바닷새는 열대 산호초를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며, 새들이 사라지면 생태계에 더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레이버스 박사는 "2만마리 이상이 눈 깜짝할 사이에 목숨을 잃었다"며 "3개월에 걸쳐 섬을 조사한 결과 (망가진 섬 생태계의) 회복도 더디고 이마저도 사이클론이 또 들이닥치면 도로 초토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열대성 저기압이 바닷새를 포함한 야생동물 개체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일은 일반적이지만,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서 이같은 일의 빈도 및 강도가 증가해 개체수의 회복능력까지 저해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일사는 서호주와 베다웃섬에 상륙하기 직전 최소 시속 217km의 바람을 기록했다.

본드 박사는 "이 새들은 사이클론이 있는 지역에서 진화했다"며 "문제는 기후붕괴로 강력해지는 폭풍의 강도와 더뎌지는 회복 기간"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커뮤니케이션 어스&인바이어런먼트'(Communications Earth & Environment) 학술지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카카오 '장시간 노동' 의혹...노동부, 근로감독 착수

카카오가 최근 불거진 장시간 노동 문제를 두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됐다.고용노동부 관할지청인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이달초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JYP, 美 타임지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

JYP엔터테인먼트가 미국 타임지 선정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에 올랐다.JYP는 미국 주간지 타임과 독일 시장분석기업 스태티스타가

우리은행, 1500억 녹색채권 발행…녹색금융 지원 확대

우리은행이 15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친환경 분야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우리은행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

"페트병 모아 사육곰 구한다"...수퍼빈, 곰 구출 프로젝트 동참

AI 기후테크기업 수퍼빈이 이달 1일 녹색연합과 함께 사육곰 구출프로젝트 '곰 이삿짐센터'를 시작하며, 전국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기

기후/환경

+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예정대로 내년부터 시행

내년부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땅에 매립하지 못한다. 17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따르면 기후부 및 수

미세플라스틱 '만성변비' 유발한다…장 건강 영향 첫 규명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면 변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 황대연 교수 연구팀은 캐나다 토

"공적금융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하면 일자리 2배 증가"

공적 금융기관들이 화석연료 대신 청정에너지 사업에 투자를 늘리게 되면 국내 일자리가 대폭 늘어나 취업난의 새로운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이 왜 받아?...엉뚱한 나라로 흘러가는 기후재원

부유국 기후자금이 최빈국보다 중소득국에 더 많이 흘러간 것으로 나타났다.1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과 카본브리프가 공동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아열대로 변하는 한반도 바다...아열대 어종 7종 서식 확인

우리나라 연안의 바다 수온이 계속 상승하면서 전에 없었던 아열대 어종들이 줄줄이 발견되고 있다.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우리나라 배타적경제수역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