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자국에 총질?"...수입폰 25% 관세에 美 소비자들 '뿔났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5-27 17:18:17
  • -
  • +
  • 인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산 스마트폰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자, 미국 내 스마트폰 판매가 인상을 우려하는 소비자들의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27일 미국 최대 온라인 커뮤니티인 레딧에는 트럼프 대통령을 향한 날선 비판들이 쏟아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3일(현지시간) 6월말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스마트폰에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이 관세는 삼성전자와 중국 화웨이, 샤오미 등 외국 스마트폰 제품뿐 아니라 자국의 기업인 애플 스마트폰 제품에도 적용된다. 애플은 중국을 비롯한 인도, 베트남에서 스마트폰을 생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입산 스마트폰에 대한 관세 25%가 부과되면 애플 등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소비자 가격을 인상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는 "스마트폰에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스마트폰 가격이 31%가량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CTA 최고경영자인 게리 샤피로 부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는 결국 미국 소비자들이 지불하게 될 것"이라고 일갈했다.

스마트폰 관세 부과 소식이 미국 소비자들도 제품가 상승에 대한 우려에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미국 누리꾼들은 "정신 나갔나, 애플은 미국 기업이다", "왜 미국에서 생산하지 않는지 이해도 못하는 멍청이", "결국 돌고 돌아 소비자로부터 관세를 뜯어내겠다는 거 아니냐" 등 격한 반응을 보였다.

한 누리꾼은 "만약 미국 북부에 살고 있다면 잠깐 캐나다를 들러 새 스마트폰을 사는 게 훨씬 저렴할 것"이라며 "살다살다 우리 제품을 해외 직구로 구하게 될 줄은 몰랐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스마트폰 제품에 관세 부과를 결정한 의도는 자동차와 철강 등 다른 품목과 마찬가지로 스마트폰 생산공장도 리쇼어링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25% 관세부과를 발표하면서 "미국에서 생산하면 관세는 없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관련업계에서는 트럼프의 이같은 노림수에 대해 '망상'으로 치부하고 있다. 현실성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웨드부시의 애널리스트 댄 아이브스는 "미국에서 아이폰을 생산한다면 복잡한 공급망과 고비용 구조로 가격이 3500달러(약 511만원)까지 치솟을 것"이라고 했다. 이는 최신기종 '아이폰16프로'의 가격은 999달러(약 146만원)보다 3배 이상 높다.

이에 일각에서는 스마트폰 관세가 미국의 경쟁력 강화라는 목적을 이루지 못하고, 되레 미국 기업인 애플의 부담만 늘리는 꼴이 될 것으로 분석했다. 앞서 애플은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산 관세폭탄에 대비해 인도와 베트남 공장의 생산규모를 늘렸는데, 관세부과가 모든 수입산으로 확대되면서 헛수고를 한 셈이 됐다.

캐나다 경제학자 짐 스탠포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해 "(미국)기업과 소비자 모두를 공격하는 멍청한 정책"이라며 "세계 최대 무역 시장인 미국을 고립시키고 있다"고 맹렬히 비판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오는 28일 정례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품목관세 파급 효과와 대응방향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SK이노베이션 신임 대표에 SK E&S 추형욱 대표 선임

SK이노베이션이 추형욱 SK이노베이션 E&S 사장을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에는 장용호 SK(주) 대표이사가 신규 선임됐다.SK이

"탄소중립 정책, 韓 규제 중심인데 美日은 성장지향형 전략"

한국의 탄소중립 정책이 규제에 갇혀있는 사이, 미국과 일본은 탄소감축을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우리나라도 이제 탄소중립을 규

EU '탄소세' 2027년으로 연기...적용대상도 '50톤 이상 기업'

유럽연합(EU)이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적용시점을 2027년으로 1년 미뤘다. 또 적용대상 기업도 연간 50톤 이상의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비료 등을 수출

우리은행, 국내 최초 '기후금융포털' 사이트 오픈

우리금융은 국내 처음으로 기후금융을 테마로 한 종합정보포털인 '기후금융포털'을 오픈했다고 28일 밝혔다.이 기후금융포털은 △뉴스와 정책 △리서

SK이노베이션 '탄소저감' 기술 스타트업 10곳 선발

SK이노베이션이 '탄소저감' 기술력을 갖춘 스타트업 10곳을 선발했다.SK이노베이션은 환경기술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인 '에그' 5기 발대식을 개최했다

쿠팡·마켓컬리·SSG, 6월 '녹색소비주간'에 친환경 제품 기획전

쿠팡과 마켓컬리, SSG닷컴이 6월 한달동안 환경부가 인증한 녹색제품을 한데 모아 판매하는 기획전을 진행한다.이를 위해 환경부는 27일 오후 서울 은평

기후/환경

+

기후변화로 대기 중 '오존 줄이기' 점점 어려워진다

지구온난화로 대기 중 오존을 줄이기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최근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연구팀은 기후변화로 인해 북

"차기 5년 평균기온 1.5℃ 넘을 확률 70%"...WMO의 섬뜩한 경고

앞으로 5년동안 지구의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대비 1.5℃ 초과할 확률이 70%로 예측됐다. 또 5년안에 지구 평균기온이 2℃를 넘어설 가능성도 처음으로

EU '탄소세' 2027년으로 연기...적용대상도 '50톤 이상 기업'

유럽연합(EU)이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적용시점을 2027년으로 1년 미뤘다. 또 적용대상 기업도 연간 50톤 이상의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비료 등을 수출

우리은행, 국내 최초 '기후금융포털' 사이트 오픈

우리금융은 국내 처음으로 기후금융을 테마로 한 종합정보포털인 '기후금융포털'을 오픈했다고 28일 밝혔다.이 기후금융포털은 △뉴스와 정책 △리서

[새 정부에 바란다] "에너지전환 서둘러야 경쟁력 회복 가능"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美 역대 최악의 더위 닥친다...기후취약 도시들 '각자도생'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기후관련 예산과 인력을 대폭 삭감한 올해 전례없는 더위가 닥칠 것이라는 예보다.26일(현지시간)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